$\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시티 위험요인과 저항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mart City Risk Factors and Resistance 원문보기

융합보안논문지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v.20 no.2, 2020년, pp.15 - 28  

박현애 (단국대학교 IT법학협동과정) ,  유영천 (단국대학교 IT법학협동과정) ,  이환수 (단국대학교 산업보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스마트시티는 기존 도시의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큰 기대를 받고 있으나, 보안위험 증가에 우려 또한 증가하고 있다. 보안위험 인식에 따른 스마트시티에 대한 부정적 태도는 4차산업혁명 기술 활성화 및 스마트시티의 발전을 위해서도 개선해야 하는 문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각된 위험 이론과 사용자 저항이론을 바탕으로 스마트시티 내 위험요인과 스마트시티 저항 태도 간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288명의 연구 표본을 대상으로 한 실증 분석결과에 따르면, 보안 위험, 사회적 위험, 신체적 위험요인은 스마트시티 저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경제적, 성능, 사생활 침해에 대한 위험은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안위험이 다른 위험에 선행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으며, 스마트시티 환경에서는 사생활 침해 위험과 보안 위험에 대해 구분해서 논의할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인들 관점에서 스마트시티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논의함으로써, 스마트시티 활성화를 위해 보안 및 안전 문제와 더불어 사회적 교류를 위한 정책적 방안 마련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mart City is highly anticip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existing cities and create new added value, but there is also increasing concern about security risks. The negative view of smart city according to security risk awareness is a problem that needs to be improved in order to activate the four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Bauer(1960)의 지각된 위험 이론을 바탕으로 스마트시티 내 발생 가능한 위험요인을 체계화하고, 사용자 저항이론 관점에서 위험요인들은 저항 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에 대한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스마트 위험요인과 저항 태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스마트시티 활 성화를 위해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하는 위험요인들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

가설 설정

  • 가설1(H1): 스마트시티의 보안위험은 저항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10(H10): 스마트시티에 대한 신체적 위험은 저항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2(H2): 스마트시티의 보안위험은 경제적 위험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3(H3): 스마트시티의 보안위험은 성능 위험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5(H5): 스마트시티의 보안위험은 신체적 위험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6(H6): 스마트시티의 보안위험은 사생활 침해 위험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9(H9): 스마트시티에 대한 사회적 위험은 저항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시티가 기대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스마트시티는 기존 도시의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큰 기대를 받고 있으나, 보안위험 증가에 우려 또한 증가하고 있다. 보안위험 인식에 따른 스마트시티에 대한 부정적 태도는 4차산업혁명 기술 활성화 및 스마트시티의 발전을 위해서도 개선해야 하는 문제이다.
스마트시티의 특징은 무엇인가? 전통적인 도시의 문제를 해결하고 혁신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안으로 스마트시티라는 개념이 등장하였다. 스마트시티는 미래학자들이 예측한 새로운 도시 유형으로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도시 구성원들 간의 네트워크가 완벽하게 갖춰져 있고 교통망이 잘 연결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연구자들은 현재 미국의 실리콘 밸리를 모델로 삼아 앞으로 다가올 스마트 시티의 모습을 그려나가고 있다[1].
스마트시티의 보안위험에 대한 부정적 평가는 무엇인가? 그러나 스마트시티 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에 반해 부정적인 평가 또한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다양한 영역이 융합되어 공격 침입 경로가 많아지면서 보안 위협이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2], 정보시스템 오작동 문제, 개인정보 공개 문제에 대한 우려 수준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3]. 스마트시티의 통합 시스템에 개인정보를 제공하면서 실제 사생활 침해 문제 또한 발생하는 등 부정적 시선도 증가하고 있다[4]. 이러한 스마트시티의 보안위험에 대한 부정적 평가는 스마트시티 자체에 대한 저항 인식을 형성하고 이는 스마트시티 주거의 도 및 활성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최봉문, "스마트 용어의 적용사례 분석을 통한 '스마트시티'의 개념정립을 위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2호, pp. 943-949, 2011. 

  2. 김현진, 손태식, "스마트시티의 보안을 위한 사이버보안위협정보 활용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제20권, 제6호, pp. 1173-1180, 2019. 

  3. 김용국, 송유미, 조상규, "유비쿼터스도시 거주민 인식조사를 통한 스마트도시 정책 개선 방향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제20권, 제3호, pp. 83-93, 2019. 

  4. Adel S. Elmaghraby, Michael M. Losavio , "Cyber security challenges in Smart Cities: Safety, security and privacy", Journal of Adavnced Research, Vol. 5, No. 4, pp. 491-497, 2014. 

  5. 박현선, 김상현, "간편 결제 서비스의 지각된 위험과 기술적 특성이 사용갈등과 수용저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7권, 제4호, pp. 119-138, 2017. 

  6. 조대연, "스마트시티 개념과 이슈", 도시문제, 제52권, 제580호, pp. 22-25, 2017. 

  7. https://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id95083430 

  8. 이면성, "사물인터넷(IoT) 기반 스마트시티 실증 서비스 주요 현황 및 사례", 한국통신학회지(정보와 통신), 제34권, 제9호, pp. 3-8, 2017. 

  9. https://www.c-its.kr/introduction/introduction.do, 

  10.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79250 

  11. Bauer, Raymond A, "Consumer behavior and risk taking, in Dynamic Markeing for a Changing World", R.S.Hancock, Ed., American Marketing Accociation, Chicago, pp. 389-398, 1960. 

  12. Bauer, Raymond A, "Consumer behavior as risk taking, in Risk Taking and Information Handling in Consumer Behavior", Donald F. Cox, ed., Harvard University Press, Boston, pp. 23-33, 1967. 

  13. Margy p. Conchar, Ceorage M. Zinkhan, Caraperters, and Sergio Olavarrieta, "An integrated framework for the conceptualization of consumers' perceived-risk processing",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pp. 418-438, 2004. 

  14. Cunningham, S., "The major dimensions of perceived risk. In: D. Cox (Ed.), Risk Taking and Information Handling in Consumer Behavior", Harvard University Press, 1967. 

  15. Jacoby, J., & Kaplan, V, "The components of perceived risk in product purchase: A cross-valid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59, No. 3, pp. 287-291, 1972. 

  16. 최지은, 강주영, 이환수, "증강현실 게임에서 연령에 따른 위험 인식 차이 연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7권, 제3호, pp. 401-410, 2017. 

  17. Sangwon Park, "Multidimensional Facets of Perceived Risk in Mobile Travel Booking", Journal of Travel Research, 2016. 

  18. Mauricio S.Featherman, Pavlou, "Predicting e-services adoption: a perceived risk facets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pp. 451-474, 2003. 

  19. https://www.busan.go.kr/ecodelta 

  20. 이기성, 안효범, 이수연, "개인정보 노출을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 융합보안논문지, 제12권, 제1호, pp. 71-77, 2012. 

  21. 신영진, "사물인터넷시대에 적합한 개인정보보호정책의 우선순위분석",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제22권, 제2호, pp. 25-57, 2019. 

  22. 유우영, "IoT 보안에 대한 국내외 연구 동향 분석", 융합보안논문지, 제18권, 제1호, pp. 61-67, 2018. 

  23. 이환수, 임동원, 조항정, "빅데이터 시대의 개인정보 과잉이 사용자 저항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지능정보연구, 제19권, 제1호, pp. 125-139, 2013. 

  24. 김문선, 김현정, 김문오, 김효진, "IPTV 사용자저항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제15권, 제2호, pp. 205-217, 2010. 

  25. 김상현, 박현선, "개인 및 기술 특성이 모바일 결제 서비스의 지각된 위험과 수용저항에 영향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5권, 제12호, pp. 239-253, 2017. 

  26. Anita Lifen Zhao, Stuart Hanmer-Lloyd, Philippa Ward, Mark M.H. Goode, "Perceived risk and Chinese consumers' internet banking services adop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Bank Marketing, Vol. 26, No. 7, pp. 505-525, 2008. 

  27. 손영성, 박준희, "홈 IoT 기술 현황과 발전 방향", 한국통신학회지(정보와 통신), 제32권, 제4호, pp. 23-28, 2015. 

  28. 김홍범, 임지영, 김나은, "위험지각이 관광객의 걱정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제19권, 제6호, pp. 171-19, 2010. 

  29. 노시춘, "u-헬스케어시스템의 정보보안 체계확보를 위한 5단계 보안위험도 평가모델 설계", 융합보안논문지, 제13권, 제4호, pp. 11-17, 2013. 

  30. https://news.imaeil.com/InnerColumn/2020051416405058069 

  31. 정연택, 김재태, 김종원, "소형주택 주거만족 요인 연구: 인구통계변인에 따른 고객특성그룹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제17권, 제4호, pp. 488-499, 2017. 

  32. 정만수, "연령과 인지욕구가 스마트폰 사용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스마트폰 의존도, 앱 활용도, 앱 호감도, 사생활침해 우려, 광고회피행동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25권, 제6호, pp. 105-133, 2014. 

  33. 정보람, 전인수, 소득수준과 문화적 여건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문화정책논총, 제31권, 제1호, pp. 30-51, 2017. 

  34. 송재호, 고승식, "관광호텔기업 위기관리 연구", 관광경영연구, 제12권, 제3호, pp. 21-43, 2008. 

  35. Harridge-March, S., Lifen Zhao, A., Hanmer-Lloyd, S., Ward, P. and Goode, M, "Perceived risk and Chinese consumers' internet banking services adop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Bank Marketing, Vol. 26, No. 7, pp. 505-525, 2008. 

  36. http://www.smartcity1st.com/survey/intro.php 

  37. Chin, w. w., "The partial least squares approach to structual equation modeling", Modern methods for business research, Vol. 295, No. 2, pp. 295-336, 2008. 

  38. 양지윤, 안중호, 박철우, "인지된 위험이 모바일 뱅킹 수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술혁신연구, 제14권, 제3호, pp. 183-208, 2006. 

  39. 이주택, "주거환경만족도 요인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제31권, 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