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담간호사 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통합적 연구
A integrated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physician assistant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6 no.3, 2020년, pp.159 - 165  

문혜경 (호서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PA(전담간호사)의 업무 실태를 파악하여 PA제도에 대한 정책 수립의 방향 및 근거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체계적 문헌 고찰적 방법론을 통해 'PA(전담간호사, 의사보조인력)' 검색어로 KISS, 국회도서관, NDSL, RISS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국내에 출판된 논문을 검색하였고 국내 주요 일간지 11개와 의료계 전문지인 청년의사신문 등 총 12개 신문에 보도된 전담간호사 관련 주요 사건 관련 기사 15편 등 총 23편을 분석하는 연구 방법론적 융복합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8편의 논문 분석 결과, PA의 업무와 관련된 소진, 직무스트레스 및 불명확한 업무범위 및 규정 부재는 직무 만족도를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15편의 보도기사를 통해 관련 기관들의 긍정적, 부정적 의견 대립 속에 전문의료인으로서의 자격과 업무에 대한 법제화 및 교육제도 확립이 시급함을 파악하였다. 향후 PA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한국 실정에 적합한 제도적 장치를 확보하고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dentify the status of the work of the PA and provide the direction and evidence of policy making on the PA scheme. A convergenc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a total of 23 articles of papers and Internet news through systematic review methodology. A literature search w...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기사에서 PA(전담간호사)가 어떻게 기술되었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기사에 표현된 간호사 관련 내용을 수집하고 반복적으로 읽으며 주제를 추출하는 과정을 반복한 결과 2개의 주제와 4개의 하부주제, 10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 본 연구는 PA의 업무, 정책 및 인식에 대한 최근 5년 이내 국내 문헌 및 인터넷 신문기사를 분석하여 PA의 운영실태 및 법적 제도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내용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국내문헌 및 인터넷 기사를 통한 연구방법론적 융복합적 접근을 통해 PA의 업무현황을 파악하고 올바른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병원협회, 의사협회 및 간호사협회 등 관련 기관들의 첨예한 대립 속에 PA 관련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PA의 업무관련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PA의 업무, 정책 및 인식에 대한 관련문헌 및 인터넷 신문기사를 분석하여 전담간호사 제도의 문제점과 법제화 및 프로그램 개발 등을 위한 통한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PA들에 관한 국내 문헌 및 인터넷 뉴스를 분석하여 PA 운영에 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법제화 및 교육제도 마련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종합병원의 전문지원인력은 어떻게 분류되나요? 국내 종합병원의 전문지원인력은 전문간호사, PA(전담간호사), 단순 보조인력으로 분류된다. 1980년대부터 외과계 전공의 수급 불균형 문제 등의 해결방안으로 전담간호사라는 명칭으로 PA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4].
PA(Physician Assistant) 제도는 어디에서 처음 도입되었나요? PA(Physician Assistant) 제도가 1960년대 처음 도입된 미국은 현재 130개 이상의 인증된 교육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으며 석사학위 프로그램으로 발전하고 있다. 빈민지역의 부족한 의사인력과 제대 군인들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1] 처음 도입된 미국의 PA는 신체검진, 질병에 대한 진단과 처치, 검사처방과 해석, 시술 수행, 수술 보조, 환자교육 제공 등을 하며 [2] 일부 주에서는 처방 또한 가능하도록 법제화 되어있다[3].
현재 PA는 어떤 역할을 수행하고 있나요? 1980년대부터 외과계 전공의 수급 불균형 문제 등의 해결방안으로 전담간호사라는 명칭으로 PA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4]. 대한전공의협의회의 2018년 전국 전공의 병원평가 결과와[5] 병원간호사회의 병원간호인력 배치현황 실태조사 보고서를 통해[6] PA 인력의 지속적인 증가를 알 수 있으며 환자만족도 증가와 전공의 인력 문제의 해결책으로 그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들의 업무는 검사결과확인, 개별 환자 라운딩, 경과기록 작성, 위임된 검사처방, 프로토콜내 약처방, 위임된 약처방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외과계 업무가 주된 업무였던 초창기와 달리 PA들은 신경외과, 정형외과, 비뇨기계 뿐 아니라 내과계에서도 꾸준히 그 수가 증가되고 있으며 상급종합병원에서 일하는 PA는 총 2,175명이며 외과계 1,628명, 내과계 547명이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uchan, J., O'May, F., and Ball, J. (2007). New Role, New Country: introducing US physician assistants to Scotlnd. Human Resources for Health, 5(13), 1-8. http://dx.doi.org/10.1186/1478-4491-5-13 

  2. American Academy of Physician Assistants. Retrieved August 12, 2012, http://www.aapa.org 

  3. Y.D. Kwon, Y.H. Sung, I.G. Kwon, and M.S. Hwang. (2008).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Clinical Nurses with Expanded Rol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4(3), 99-115. 

  4. G.C. Lim, G.O. Park, and B.J. Kim. (1997). A investigative study of role expectation on the clinical nurse specialis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3(1), 65-82. 

  5. S.S. Kim, W.H. Kwak, S.M. Moon, and Y.H. Sung. (2006). Development of a Role Model for Physician Assistant in Korea.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2(1), 67-80. 

  6. Y.M. Kim, K.J. Jeon, and J.Y. Kim. (2011). Business report: Analysis of Hospital Nursing Manpower Arrangements and Tendency for Working Conditions. Seoul: Hospital Nurses Association. 

  7.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8). A Survey of Hospital Nursing Personnel. https://khna.or.kr. 

  8. S.C. Song. (2018.11.02.). https://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6141 

  9. C.Y. Kwak, and J.A. Park. (2014). Current roles and administrative facts of the Korean physician assistant. Digital Contents Society, 14(10), 583-595. http://dx.doi.org/10.5392/JKCA.2014.14.10.583 

  10. S.H. Kim. (2019.04.06.). http://www.medifonews.com/news/article.html?no145255 

  11. S.Y. Song. (2019.04.06.).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67016 

  12. G.N. Lee, and K.S. Jang. (2018). The Effect of Role Conflict and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of Physician Assistant Nurses in University Hospitals. Nursing & Health Issues, 23(1), 46-55. 

  13. KS. Lee, and E. Park. (2017). Influencing Effects of Role Conflict, Resilience on Burnout in Physician Assistants.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9(5), 1424-1434. http://dx.doi.org/10.13000/JFMSE.2017.29.5.1424 

  14. H.G. Kim, H.S. Kang. (2019). Effects of Visual Media Programs on Job Stress and Burnout in Emergency Room Nurses.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7(4), 32-39. https://doi.org/10.17703/IJACT.2019.7.4.32 

  15. T.U. Jang, and E.J. Choi. (2016). Relationships between Occupational Stress,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of Physician Assista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0(1), 122-135. https://doi.org/10.5932/JKPHN.2016.30.1.122 

  16. S.K.Kwak, and S.Hyun. (2019). Exploring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the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5(2). 22-30.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583 

  17. J.H. Lee. (2000). Mass media and Society. Seoul : Yangji Publishing. 

  18. H.J. Kim, and J.Y. Jang. (2011). Discovering News Keyword Associations Using Association Rule Mining.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11(6), 63-71. https://doi.org/10.7236/JIWIT.2011.11.6.063 

  19. Cochrane Collaboration. 2011. Available from www.cochrane-handbook.org. 

  20. S.Y. Kim, J.E. Park, H.J. Seo, H.S. Seo, H.J. Son, C.M. Shin, Y.J. Lee, B.H. Jang, and D.S. Heo. (2011). NECA'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or intervention.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8, 1-287. 

  21. Braun, V. and Clarke,V. (2006).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3, 77-101. 

  22. J.J. Kim. (2011). Planning a physician assistant system for Korea.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4(12), 1240-1244. 

  23. L. Hall, J. Angus, E. Peter, and L. O'Brin-Pallas. (2003). Media portrayal of nurses' perspectives and concerns in the SARS crisis in Toronto.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5(3), 211-216. https://doi.org/10.1111/j.1547-5069.2003.00211.x| 

  24. S. Park, S. Park, C. Lee, M. Yun, and K. Hwang. (2017). Image of Nurses Portrayed in Internet Newspapers. Culture and Convergence, 39(6), 677-700. 

  25. E.Y. Choi. (2018). Ethical Dilemma and Professionalism of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4(1), 153-163. https://doi.org/10.17703/JCCT.2018.4.1.1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