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생의 과학 탐구 활동에서 역할 부여가 언어적 상호작용의 유형 변화와 양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ole Assignment on the Types and Patterns of Verbal Interactions in 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Inquiry Activities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4 no.2, 2020년, pp.167 - 182  

임유진 (경북대학교) ,  김영신 (경북대학교) ,  임수민 (경북대학교)

초록

소집단 과학 탐구 활동에서의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활발한 상호작용은 과학 학습의 효과를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소집단 내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소집단 구성원들에게 역할을 부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의 과학 탐구 활동에서 역할 부여가 언어적 상호작용의 유형 변화와 양상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역시 소재 2개 중학교 학생 17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역할을 부여한 소집단 18개, 역할을 부여하지 않은 소집단 15개를 분석하였다. 역할 부여에 따라 탐구 활동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의 변화는 크게 소외형과 참여형으로 구분하였다. 역할을 부여한 경우에 참여형이 소외형에 비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언어적 상호작용의 양상은 인지적, 정의적 측면에서 역할을 부여하였을 때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바탕으로 역할 부여가 과학 탐구의 유형과 탐구 단계에 따라 언어적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소집단 구성과 역할 부여 방식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도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ctive participation and active interaction of learners in small group science inquiry activities are the main factors that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science learning. Roles can be assigned to members of a small group to facilitate interaction between members within the small group. The pu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집단 과학 탐구 활동에서 학습자들 간의 상호작용이 적게 일어난다면 무엇이 야기되는가? 소집단 과학 탐구 활동에서 학습자들 간의 상호작용이 적게 일어난다면 학생들의 이해도 및 학업성취도 향상에 어려움을 겪게 되고, 특정 학습자에게만 상호작용이 집중된다면 학습 성취도의 불균형이 야기된다(Noh et al., 2002).
본 연구결과, 탐구 활동에서 소외되는 학생을 줄이기 위해서 역할을 부여할 필요가 있는 근거는? 첫째, 탐구 활동에서 소외되는 학생을 줄이기 위해서는 역할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역할을 부여하였을 때 소외 학생이 형성되거나 처음부터 소외 학생이 존재하는 소외형의 비율이 낮았으며, 소외 학생이 사라지거나 처음부터 모든 학생이 참여하는 참여형의 비율이 높았다. 또한 역할을 부여한 경우에 소집단 구성원들의 역할 불균등으로 인한 갈등의 발생이 적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소집단 과학 탐구 활동에서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소외되는 학생의 비율을 감소시켜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촉진하며, 소집단 구성원들 사이의 갈등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구성주의적 관점에 의하면 학습은 어떤 활동을 의미하는가? 구성주의적 관점에 의하면 학습은 학습자들 사이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자기 스스로 나름의 의미를 구성해나가는 활동을 의미한다(Vygotsky, 1978). 사회적 상호작용은 주로 언어를 매개로 이루어지며, 이는 개인의 인지 발달 뿐 아니라 지식의 구성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Howe, Rodgers, & Tolmie, 1990; Kwak,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Belbin, M. (1981). Management teams. Oxford: Butterworth Heinemann. 

  2. Chang, H. P., & Lederman, N. G. (1994). The effects of levels of cooperation within physical science achieve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2), 167-181. 

  3. Cho, H., Seo., M, Nam, J., Kwon, J., Son, J., & Park, J. (2017). Analysis of character competency change in high school students by role assignment in argument-based inquiry(ABI) science clas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7(4), 763-773. 

  4. Choi, Y., & Choi, O. (2010). Analysis of the operational activities within the social enterprises network.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14(1), 63-76. 

  5. Driver, R., Newton, P., & Osborne, J. (2000). Establishing the norm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classroom. Science Education, 84(3), 287-312. 

  6. Fox, W. M. (1995). Sociotechnical system principles and guidelines: Past and present. Journal of Applied Behavioral Science, 31(1), 91-105. 

  7. Han, D. (2014). Student's role and rol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interaction during small group scientific inquiry activity(Master thesis).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8. Heller, P., & Hollabaugh, M. (1992). Teaching problem solving through cooperative grouping. Part 2: Designing problems and structuring groups. American journal of Physics, 60(7), 637-644. 

  9. Hogan, K. (1999). Sociocognitive roles in science group discours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8), 855-882. 

  10. Howe, C., Rodgers, C., & Tolmie, A. (1990). Physics in the primary school: Peer interaction and the understanding of floating and sinking.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y of Education, 5(4), 459-475. 

  11. Johnson, D. W., & Johnson, R. T. (1994). Learning together and alone cooperative, competitive, and individualistic learning. Needham Heights, MA: Allyn and Bacon. 

  12. Kang, S., Lim, J., Kong, Y., Nam, J., & Choi, B. (2004). The development of students argumentation in science context.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48(1), 85-93. 

  13. Kim, S. (2011). Teaching method using job assignment as a solution on the adverse effects of peer evaluation in team-based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6), 2543-2547. 

  14. Kim, H., & Choi, B. (2009). Development of the instructional model emphasizing discuss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verbal interactions during its implementation in a science high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9(4), 359-372. 

  15. Kim, M., & Kim, Y. (2015). An analysis of the verbal interaction patterns of sciencegifted students in science inquiry activ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2), 333-342. 

  16. Kim, Y. (2018). Analysis of verbal interaction types and stability in science inquiry activities in 7th grade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6), 563-584. 

  17. Kim, Y. (2019). Verbal interaction types and stability by science process skills in science gifted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16), 335-353. 

  18. Kim, Y., Kim, M., Ha, M., & Lim, S. (2017). Analysis of changes in verbal interaction types of science-gifted students.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 Technology Education, 13(6), 2441-2457. 

  19. Kirschner, P., Strijbos, J.-W., Kreijns, K., & Beers, P. J. (2004). Designing electronic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52(3), 47-66. 

  20. Ku, Y., Park, K., Shin, A., Choi, B., & Lee, K. (2006). Characteristics of verbal interactions according to the leader style in MBL experiment class in which discussion was emphasized.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0(6), 494-505. 

  21. Kuhn, D., & Udell, W. (2003). The development of argument skills. Child Development, 74(5), 1245-1260. 

  22. Kwak, Y. (2001). Theoretical background of constructivist epistemology.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2(5), 427-447. 

  23. Lim, E. (2013). Student's role composition and co-construction of argumentation during small inquiry activity(Master thesis).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4. Lim, S., Park, K., Ha, M., Lee, H., & Kim, Y. (2019). Verbal interaction types in science inquiry activities by group size.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 Technology Education, 15(7), em1720. 

  25. Lin, E. (2006). Cooperative learning in the science classroom. Science Teacher, 73(5), 34-39. 

  26. Lumpe, A. T., & Staver, J. R. (1995). Peer collaboration and concept development: Learning about photosynthesi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2(1), 71-98. 

  27. Maloney, J. (2007). Children's roles and use of evidence in science: an analysis of decision-making in small groups. British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3(3), 371-401. 

  28. Noh, T., Kang, S., Han, S., Han, J., Jeon, K., & Seong, E. (2002). The effects of assigning cognitive roles in small-group discussion for science concept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46(1), 76-82. 

  29. Osborne, J., Erduran, S., & Simon, S. (2004). Enhancing the quality of argumentation in school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10), 994-1020. 

  30. Park, S. (2005). Students' perception of teaching activities and verbal interaction in science classes at the gifted science high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6(1), 30-40. 

  31. Pella, M. O. (1961). The laboratory and science thinking. The Science Teacher, 28, 20-31. 

  32. Resnick, L. (Ed.). (1989). Knowing, Learning, and instruction. New York, NY: Routledge. Retrieved from https://doi.org/10.4324/9781315044408 

  33. Richmond, G., & Striley, J. (1996). Making meaning in classrooms: Social processes in small-group discourse and scientific knowledge build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8), 839-858. 

  34. Sadler, T. D. (2004). Informal reasoning regarding socio scientific issues: A critical review of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5), 513-536. 

  35. Seong, S. (2005). Change and characteristics of verbal interaction in science inquiry experiments emphasizing social interactio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ju, Korea. 

  36. Shin, A. (2006). Characteristics of students' verbal interaction in small group activities of MBL classes(Master thesis). Graduate School of G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Korea. 

  37. Strijbos, J. W., Martens, R. L., Jochems, W. M. G., & Broers, N. J. (2004). The effect of functional roles on group efficiency: Using multilevel modelling and content analysis to investigate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on in small groups. Small Group Research, 35(2), 195-229. 

  38. Tobin, K., McRobbie, C., & Anderson, D. (1998). Dialectical constraints to the discursive practices of a high school physics communit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4(5), 491-507. 

  39. Vye, N. J., Goldman, S. R., Voss, J. F., Hmelo, C., & Williams, S. (1997). Complex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by individuals and dyads. Cognition and Instruction, 15(4), 435-484. 

  40. Vygotsky, L. S. (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41. Watson. J., Swain, J., & McRobbie, C. (2004). Students' discussion in practical scientific inqui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6(1),24-45. 

  42. Zohar, A., & Nemet, F. (2002). Fostering students' knowledge and argumentation skills through dilemmas in human genet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1), 35-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