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경기도 일개 종합병원에서 Pro-Brain Natriuretic Peptide와 통상적 혈액검사 인자간의 상관성 조사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rain Natriuretic Peptide and Routine Blood Test Factors at a General Hospital in Gyeonggi-do원문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N-말단 프로-뇌 나트륨 이뇨 펩타이드(N-terminal pro-brain natriuretic peptide, NT-proBNP)의 결과와 통상적인 혈액검사와의 상관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는 것이다. NT-proBNP는 심부전의 병태 생리학에 관여한다. 본 연구결과는 연령과 NT-proBNP의 관계는 양의 상관관계(r=0.163)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NT-proBNP 농도는 총 단백질(r=-0.250)과 알부민(r=-0.270)은 음의 상관관계, 적혈구수와 혈색소 그리고 적혈구 용적률은 음의 상관관계로 나타난 결과로 나타났다(P<0.01). NT-proBNP는 호중구와 양의 상관관계(r=0.227)와 림프구는 음의 상관관계(r=-0.236)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P<0.01). NT-proBNP와 크레아티닌은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r=0.594, P<0.01), 다중회귀분석결과 가장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관찰되었다(B=0.53, t=7.65, P<0.01). NT-proBNP와 요산의 농도는 양의 상관관계로 유의한 관계를 나타냈다(r=0.180, P<0.05). 젖산탈수소효소가 NT-proBNP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관찰되었다(B=0.20, t=3.28, P<0.01). 이러한 설명력은 43%의 영향력을 나타내어 NT-proBNP의 정확한 검사와 관련인자들은 심장표지자로서 임상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N-말단 프로-뇌 나트륨 이뇨 펩타이드(N-terminal pro-brain natriuretic peptide, NT-proBNP)의 결과와 통상적인 혈액검사와의 상관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는 것이다. NT-proBNP는 심부전의 병태 생리학에 관여한다. 본 연구결과는 연령과 NT-proBNP의 관계는 양의 상관관계(r=0.163)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NT-proBNP 농도는 총 단백질(r=-0.250)과 알부민(r=-0.270)은 음의 상관관계, 적혈구수와 혈색소 그리고 적혈구 용적률은 음의 상관관계로 나타난 결과로 나타났다(P<0.01). NT-proBNP는 호중구와 양의 상관관계(r=0.227)와 림프구는 음의 상관관계(r=-0.236)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P<0.01). NT-proBNP와 크레아티닌은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r=0.594, P<0.01), 다중회귀분석결과 가장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관찰되었다(B=0.53, t=7.65, P<0.01). NT-proBNP와 요산의 농도는 양의 상관관계로 유의한 관계를 나타냈다(r=0.180, P<0.05). 젖산탈수소효소가 NT-proBNP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관찰되었다(B=0.20, t=3.28, P<0.01). 이러한 설명력은 43%의 영향력을 나타내어 NT-proBNP의 정확한 검사와 관련인자들은 심장표지자로서 임상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retrospective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s of the N-terminal pro-brain natriuretic peptide (NT-proBNP) and a routine blood test using a hospital information system. The NT-proBNP is involved in the pathophysiology of heart failure. The results show that the relations...
This study investigated retrospective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s of the N-terminal pro-brain natriuretic peptide (NT-proBNP) and a routine blood test using a hospital information system. The NT-proBNP is involved in the pathophysiology of heart failure. The results show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NT-proBNP was significant (P<0.01) with a positive correlation (r=0.163). The peptide concentrat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protein (r=-0.250) and albumin (r=-0.270),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rythrocyte count and hemoglobin and hematocrit (P<0.01). NT-proBNP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neutrophils (r=0.227)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lymphocytes (r=-0.236), showing significant results (P<0.01). NT-proBNP and creatinin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r=0.594, P<0.01), and it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0.53, t=7.65). P<0.01). The concentrations of NT-proBNP and uric acid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r=0.180, P<0.05). Lactate dehydrogenase was observed as a factor affecting the NT-proBNP (B=0.20, t=3.28, P<0.01). This explanatory power had an influence of 43%. Therefore, the accurate test and related factors of the NT-proBNP have significant clinical value.
This study investigated retrospective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s of the N-terminal pro-brain natriuretic peptide (NT-proBNP) and a routine blood test using a hospital information system. The NT-proBNP is involved in the pathophysiology of heart failure. The results show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NT-proBNP was significant (P<0.01) with a positive correlation (r=0.163). The peptide concentrat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protein (r=-0.250) and albumin (r=-0.270),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rythrocyte count and hemoglobin and hematocrit (P<0.01). NT-proBNP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neutrophils (r=0.227)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lymphocytes (r=-0.236), showing significant results (P<0.01). NT-proBNP and creatinin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r=0.594, P<0.01), and it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0.53, t=7.65). P<0.01). The concentrations of NT-proBNP and uric acid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r=0.180, P<0.05). Lactate dehydrogenase was observed as a factor affecting the NT-proBNP (B=0.20, t=3.28, P<0.01). This explanatory power had an influence of 43%. Therefore, the accurate test and related factors of the NT-proBNP have significant clinical valu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각기 다른 생화학적 지표이나 여러 가지를 동시에 측정하여 위험도 평가에 사용하는 접근 방법이 환자의 예후 예측에 도움을 준다[20]. 따라서 본 연구는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24시간 이내에 측정한 NT-proBNP를 측정한 환자를 대상으로 심장과 관련된 임상적, 생화학적 지표들과 비교하여 복합인자들과의 연계성을 분석하여 진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일개 종합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가 받은 통상 적인 혈액검사와 심장표지자 검사로 NT-proBNP의 결과와의 상관성을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LIS를 활용한 후향적 연구로 진행하였다. 나트륨 이뇨 펩티드는 혈관 확장 및 나트륨 이뇨 작용을 하는 분자이며, NT-proBNP는 프로호르몬(prohormone) 프로-뇌 나트륨 이뇨 펩타이드의 산물로 심실 벽 자극과 심근허혈에 반응하여 좌심실 근세포에서 주로 합성되어 심장혈관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심장에서 분비되므로 심부전의 병태 생리학에 관여한다[21, 22].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N-말단 프로뇌 나트륨 이뇨 펩타이드(N-terminal pro-brain natriuretic peptide, NT-proBNP)의 결과와 통상적인 혈액검사와의 상관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는 것이다. NT-proBNP는 심부전의 병태 생리학에 관여한다.
혈액응고검사는 혈액응고시간분석기(Sysmex CS-1600, Sysmex Co., Kobe, Japan)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측정항목은 프로트롬빈 시간(prothrombin time, PT), PT 국제 정상화 비율 (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 INR), 부분 트롬보플라스틴시간(partial thromboplastin time, PTT)이다.
, Kobe, Japan)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측정항목은 프로트롬빈 시간(prothrombin time, PT), PT 국제 정상화 비율 (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 INR), 부분 트롬보플라스틴시간(partial thromboplastin time, PTT)이다.
, Basel, Switzerland)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측정항목은 NT-proBNP와 심장형 크레아티닌 카이네이스(creatinine kinase-muscle and brain, CK-MB), 트로포닌(troponin I, TnI)이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에서는 2019년 경기도 남부에 위치한 일개 종합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익명화를 통해 진행하는 후향적 연구로 검사실 정보 시스템(laboratory information system, LIS)을 활용하였으며, IRB 심의면제로 진행하였다 (1041479-HR-202004-004).
2019년 7월부터 12월까지 6개월 동안 경기도 남부 일개 종합병원의 응급실에 방문하여 NT-proBNP 등 혈액검사를 받은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동의 없이 무작위로 184명을 선별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데이터처리
연속형 데이터의 경우 independent t-test 또는 Wilcoxon’s rank-sum test를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고 검정하였다.
연속형 데이터의 경우 independent t-test 또는 Wilcoxon’s rank-sum test를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고 검정하였다. 범주형 자료는 기술통계량으로 빈도, 백분율을 제시하였다, 변수들은 상관관계분석을 통하여 검정한 결과와 비교하고 이에 따른 다중회귀분석으로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은 SPSS Ver.
범주형 자료는 기술통계량으로 빈도, 백분율을 제시하였다, 변수들은 상관관계분석을 통하여 검정한 결과와 비교하고 이에 따른 다중회귀분석으로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은 SPSS Ver.21.0 (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P-value<0.05인 경우로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P<0.05, **P<0.01 by Pearson’s correlation t-test.
이론/모형
심장 표지자검사(cardiac marker)는 면역화학분석기(Cobas e411, Roche Diagnostics International Ltd., Basel, Switzerland)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측정항목은 NT-proBNP와 심장형 크레아티닌 카이네이스(creatinine kinase-muscle and brain, CK-MB), 트로포닌(troponin I, TnI)이다.
성능/효과
대상자의 전체혈구검사 결과의 평균은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수치와 호중구, 림프구, 단핵구, 호산구, 호염구의 남녀 차이는 없었다. 혈색소와 적혈구용적율 두 가지 결과는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
대상자의 전체혈구검사 결과의 평균은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수치와 호중구, 림프구, 단핵구, 호산구, 호염구의 남녀 차이는 없었다. 혈색소와 적혈구용적율 두 가지 결과는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혈소판은 평균 222.
62 103/μL으로 여성에게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프로트롬빈 시간은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프로트롬빈 시간 국제 정상화 비율과 부분 트롬보플라스틴시간은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Table 2).
심장형 크레아티닌 카이네이스는 전체 평균 2.60±2.98 ng/mL, 남성 3.12±3.75 ng/mL, 여성 1.97±1.47 ng/mL로 남성이 여성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백혈구 감별검사(WBC differential count)의 결과와 NT-proBNP의 관계는 호중구와 양이 상관관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r=0.227, P<0.01), 림프구는 음의 상관관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r=−0.236, P<0.01).
대상자의 전제혈구검사에서 적혈구(r=−0.329)와 혈색소 (r=−0.324) 그리고 적혈구 용적율(r=−0.282)은 NT-proBNP와 각각 음의 상관관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P<0.01).
총 단백질(r=−0.250)과 알부민(r=−0.270)은 NT-proBNP와 음의 상관관계로 통계적으로 각각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P<0.01).
대상자의 연령은 NT-proBNP와 양의 상관관계(r=0.163)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총 단백질(r=−0.
01). 염화물은 트로포닌 I와 양의 상관관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P<0.01) (Table 4).
백혈구 감별검사와 트로포닌 I는 호중구는 음의 관계(r=−0.173, P<0.05), 림프구(r=0.165)와 단핵구(r=0.187)는 통계적으로 양의 관계를 나타내었으며(P<0.05), 혈액응고검사와 트로포닌 I의 관계는 프로트롬빈 시간과 양의 관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r=0.244, P<0.01) (Table 5).
통상적인 혈액검사와 NT-proBNP와의 상관관계가 있는 항목과 다중 회귀분석 결과 F값은 11.80으로 분산분석은 유의한 결과로 회귀분석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P<0.01). Durbin-Waton 분석은 2.
09로 잔차들 간의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회귀분석으로 적합한 모형으로 나타났다(Table 6). 통상적인 혈액검사 중 상관관계가 있는 항목들과의 다중회귀 분석은 NT-proBNP와의 r 값은 0.66으로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43%의 영향력을 나타내었다(Figure 1). 통상적인 혈액 검사 중 크레아티닌은 베타값이 0.
본 연구에서 혈중 NTproBNP 농도는 총 단백질(r=−0.250)과 알부민(r=−0.270)은 음의 상관관계로 통계적으로 각각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P<0.01).
66으로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43%의 영향력을 나타내었다(Figure 1). 통상적인 혈액 검사 중 크레아티닌은 베타값이 0.53, t 값은 7.65로 P<0.01 수준에서 NT-proBNP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Figure 2). 젖산탈수소효소는 베타값이 0.
NT-proBNP 농도는 총 단백질(r=−0.250)과 알부민(r=−0.270)은 음의 상관관계, 적혈구수와 혈색소 그리고 적혈구 용적률은 음의 상관관계로 나타난 결과로 나타났다(P<0.01).
본 연구에서 NT-proBNP와 백혈구 감별검사 결과 중 호중구와 양의 상관관계(r=0.227)와 림프구는 음의 상관관계(r=−0.236)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P<0.01).
NT-proBNP는 호중구와 양의 상관관계(r=0.227)와 림프구는 음의 상관관계(r=−0.236)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P<0.01).
본 연구에서 NT-proBNP와 크레아티닌은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r=0.594, P<0.01), 다중회귀분석결과 가장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관찰되었다(B=0.53, t=7.65, P<0.01). 이러한 결과는 2012년 중국에서 고령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와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26].
본 연구에서 NT-proBNP와 크레아티닌은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r=0.594, P<0.01), 다중회귀분석결과 가장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관찰되었다(B=0.53, t=7.65, P<0.01). 이러한 결과는 2012년 중국에서 고령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와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26].
혈청 크레아티닌의 농도는 만성 또는 급성 울혈성 심부전에서 콩팥기능으로서 불량한 예후의 독립적인 예측인자이며, 심부전에서 콩팥 손상이 발생하는 초기단계로 인식되었으나 심부전에서 콩팥기능이 악화되는 병태 생리학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27]. 본 연구에서 NT-proBNP와 요산의 농도는 양의 상관관계로 유의한 관계를 나타냈다(r=0.180, P<0.05). 슬로바키아의 심부전 환자 집단에서 요산 농도는 남녀 모두 연령, BMI 및 크레아티닌 청소율과 관계없이 NT-proBNP 농도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혈청 크레아티닌의 농도는 만성 또는 급성 울혈성 심부전에서 콩팥기능으로서 불량한 예후의 독립적인 예측인자이며, 심부전에서 콩팥 손상이 발생하는 초기단계로 인식되었으나 심부전에서 콩팥기능이 악화되는 병태 생리학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27]. 본 연구에서 NT-proBNP와 요산의 농도는 양의 상관관계로 유의한 관계를 나타냈다(r=0.180, P<0.05). 슬로바키아의 심부전 환자 집단에서 요산 농도는 남녀 모두 연령, BMI 및 크레아티닌 청소율과 관계없이 NT-proBNP 농도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05). 슬로바키아의 심부전 환자 집단에서 요산 농도는 남녀 모두 연령, BMI 및 크레아티닌 청소율과 관계없이 NT-proBNP 농도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요산 농도는 심부전 증상, 수축기 기능 및 이완기 기능 장애, 좌심실 비대와 관련이 있다.
젖산탈수소효소는 경쇄아밀로이드증을 진단하기 위한 심장바이오마커로서 예후 가치인자로 연구에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9]. 본 연구에서도 NT-proBNP와 젖산탈수소 효소는 NTproBNP와 각각 양의 상관관계로 유의한 관계를 나타냈으며(r=0.273, P<0.01), 젖산탈수소효소가 NT-proBNP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관찰되었다(B=0.20, t=3.28, P<0.01). 본 연구에서 NT-proBNP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통상적인 혈액검사 중 크레아티닌과 젖산탈수소효소로 나타났다.
273, P<0.01), 젖산탈수소효소가 NT-proBNP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관찰되었다(B=0.20, t=3.28, P<0.01). 본 연구에서 NT-proBNP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통상적인 혈액검사 중 크레아티닌과 젖산탈수소효소로 나타났다.
01). 본 연구에서 NT-proBNP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통상적인 혈액검사 중 크레아티닌과 젖산탈수소효소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NT-proBNP와 통상적인 혈액검사와의 상관성으로 단순한 혈액 매개 변수가 질병을 진단하는 귀중한 추가 예후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최근 NT-proBNP는 POC (pointof-care) 방법으로 심부전 관리를 하고 있으며, 진단 정확도가 80% 이상 증가하였다[30]. 따라서 본 연구에서 혈청 크레아티닌과 젖산탈수소효소가 NT-proBNP에 미치는 영향은 임상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NT-proBNP는 심혈관 질환, 특히 심부전 및 심장 기능 장애에서 NT-proBNP의 중대한 기여도를 설명하고 있다.
NT-proBNP는 심부전의 병태 생리학에 관여한다. 본 연구결과는 연령과 NT-proBNP의 관계는 양의 상관관계(r=0.163)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NT-proBNP 농도는 총 단백질(r=−0.
후속연구
NT-proBNP는 심혈관 질환, 특히 심부전 및 심장 기능 장애에서 NT-proBNP의 중대한 기여도를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응급실에 방문한 환자를 대상으로 LIS를 활용하여 무작위로 선별하여 연구를 진행한 후향적 분석으로 선별된 대상들의 임상적 소견인 증상 및 징후를 확인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NT-proBNP는 중요한 진단, 치료 및 예후 역할을 기반으로 임상 및 법의학적으로 중대한 바이오 마커로 사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부전의 5년이내 사망률은 얼마인가?
심부전은 심실 충만(filling) 또는 혈액 방출(ejection)의 구조적 또는 기능적 손상으로 인한 복잡한 임상증후군으로 호흡곤란과 피로가 주요증상일 수 있으며, 운동부하 및 체액저류를 제한하여 폐 혹은 내장 울혈과 말초부종으로 이어질 수 있다[2]. 심부전은 5년 이내 사망률이 44∼77% 정도이다. 2015년 국내 심부전 유병률은 성인 인구의 약 1.
심부전(heart failure)은 심장의 정상적인 완충압(filling pressure)에도 불구하고 조직이 대사될 수 있는 산소 공급 요구에 못 미치는 심장의 구조나 기능적 이상이라고 정의한다[1]. 심부전은 심실 충만(filling) 또는 혈액 방출(ejection)의 구조적 또는 기능적 손상으로 인한 복잡한 임상증후군으로 호흡곤란과 피로가 주요증상일 수 있으며, 운동부하 및 체액저류를 제한하여 폐 혹은 내장 울혈과 말초부종으로 이어질 수 있다[2].
참고문헌 (30)
McMurray JJ, Adamopoulos S, Anker SD, Auricchio A, Bohm M, Dickstein K, et al. ESC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acute and chronic heart failure 2012: The Task Force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Acute and Chronic Heart Failure 2012 of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Developed in collaboration with the Heart Failure Association (HFA) of the ESC. Eur Heart J. 2012;33:1787-1847. https://doi.org/10.1093/eurheartj/ehs104
Yancy CW, Jessup M, Bozkurt B, Butler J, Casey DE, Drazner MH, et al. 2013 ACCF/AHA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heart failure: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Foundation/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Practice Guidelines. J Am Coll Cardiol. 2013;62:147-239. https://doi.org/10.1161/CIR.0b013e31829e8776
Lee JH, Lim NK, Cho MC, Park HY. Epidemiology of heart failure in Korea: present and future. Korean Circ J. 2016;46:658-664. https://doi.org/10.4070/kcj.2016.46.5.658
Davie AP, Francis CM, Love MP, Caruana L, Starkey IR, Shaw TR, et al. Value of the electrocardiogram in identifying heart failure due to left ventricular systolic dysfunction. BMJ. 1996;312:222. https://doi.org/10.1136/bmj.312.7025.222
Khunti K, Squire I, Abrams KR, Sutton AJ. Accuracy of a 12-lead electrocardiogram in screening patients with suspected heart failure for open access echocardiograph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ur J Heart fail. 2004;6:571-576. https://doi.org/10.1016/j.ejheart.2004.03.013
Madias JE. Why recording of an electrocardiogram should be required in every inpatient and outpatient encounter of patients with heart failure. Pacing Clin Electrophysiol. 2011;34:963-967. https://doi.org/10.1111/j.1540-8159.2011.03131.x
Kirkpatrick JN, Vannan MA, Narula J, Lang RM. Echocardiography in heart failure: applications, utility, and new horizons. J Am Coll Cardiol. 2007;50:381-396. https://doi.org/10.1016/j.jacc.2007.03.048
Dokainish H, Nguyen JS, Bobek J, Goswami R, Lakkis NM. Assessment of the American Society of Echocardiography-European Association of Echocardiography guidelines for diastolic function in patients with depressed ejection fraction: an echocardiographic and invasive haemodynamic study. Eur J Echocardiogr. 2011;12:857-864. https://doi.org/10.1093/ejechocard/jer157
Groenveld HF, Januzzi JL, Damman K, van Wijn gaarden J, Hillege HL, van Veldhuisen DJ, et al. Ane mia and mortality in heart failure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Am Coll Cardiol. 2008;52:818-827. https://doi.org/10.1016/j.jacc.2008.04.061
Schrier RW. Water and sodium retention in edema tous disorders: role of vasopressin and aldosterone. Am J Med. 2006;119:47-53. https://doi.org/10.1016/j.amjmed.2006.05.007
Gheorghiade M, Abraham WT, Albert NM, Gattis Stough W, Greenberg BH, O'Connor CM, et al. Relationship between admission serum sodium concen tration and clinical outcomes in patients hospitalized for heart failure: an analysis from the OPTIMIZE-HF registry. Eur Heart J. 2007;28:980-988. https://doi.org/10.1093/eurheartj/ehl542
Campbell RC, Sui X, Filippatos G, Love TE, Wahle C, Sanders PW, et al. Association of chronic kidney disease with outcomes in chronic heart failure: a propensity-matched study. Nephrol Dial Transplant. 2009;24:186-193. https://doi.org/10.1093/ndt/gfn445
Dries DL, Exner DV, Domanski MJ, Greenberg B, Stevenson LW. The prognostic implications of renal in sufficiency in asymptomatic and symptomatic patients with left ventricular systolic dysfunction. J Am Coll Cardiol. 2000;35:681-689. https://doi.org/10.1016/s0735-1097(99)00608-7
Januzzi JL, Jr., Camargo CA, Anwaruddin S, Bag gish AL, Chen AA, Krauser DG, et al. The N-terminal pro-BNP investigation of dyspnea in the emergency department (PRIDE) study. Am J Cardiol. 2005;95:948-954. https://doi.org/10.1016/j.amjcard.2004.12.032
Doust JA, Glasziou PP, Pietrzak E, Dobson AJ. A systematic review of the diagnostic accuracy of natriuretic peptides for heart failure. Arch Intern Med. 2004;164:1978-1984. https://doi.org/10.1001/archinte.164.18.1978
Maisel A, Mueller C, Adams K, Jr., Anker SD, Aspro monte N, Cleland JG, et al. State of the art: using natriuretic peptide levels in clinical practice. Eur J Heart Fail. 2008;10:824-839. https://doi.org/10.1016/j.ejheart.2008.07.014
Kelder JC, Cramer MJ, Verweij WM, Grobbee DE, Hoes AW. Clinical utility of three B-type natriuretic peptide assays for the initial diagnostic assessment of new slow-onset heart failure. J Card Fail. 2011;17:729-734. https://doi.org/10.1016/j.cardfail.2011.04.013
Sopenaa AC, Fontana A, Lalanaa ME, Sancheza M, Crespob A, Tapiaa A. Correlation study of a new method for measuring NT-proBNP. Clinica Chimica Acta. 2019;493:170-198. https://doi.org/10.1016/j.cca.2019.03.374
Hirata T, Arai Y, Yuasa S, Abe Y, Takayama M, Sasaki T, et al. Associations of cardiovascular biomarkers and plasma albumin with exceptional survival to the highest ages. Nat Commun. 2020;11:1-17. https://doi.org/10.1038/s41467-020-17636-0
Schulz H, Langvik TA, Lund Sagen E, Smith J, Ahmadi N, Hall C. Radioimmunoassay for N-terminal probrain natriuretic peptide in human plamsa. Scand J Clin Lab Invest. 2001;61:33-42. https://doi.org/10.1080/00365510151067947
Karakoyun I, Colak A, Arslan FD, Hasturk AG, Duman C. Anemia considerations when assessing natriuretic peptide levels in ED patients. Am J Emerg Med. 2017;35:1677-1681. https://doi.org/10.1016/j.ajem.2017.05.048
Farzaneh F, Faghih N, Hosseini MS, Arab M, Ashrafganjoei T, Bahman A. Evaluation of neutrophil-lymphocyte ratio as a prognostic factor in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recurrence. Asian Pac J Cancer Prev. 2019;20:2365-2372. https://doi.org/10.31557/APJCP.2019.20.8.2365
Cui H, Huo G, Liu L, Fan L, Ye P, Cao J, et al. Association of cardiac and renal function with extreme N-terminal fragment pro-B-type natriuretic peptide levels in elderly patients. BMC Cardiovac Disord. 2012;12:57. https://doi.org/10.1186/1471-2261-12-57
Sabaka P, Dukat A, Gajdosik J, Caprnda M, Bendzala M, Simko F. Uric acid level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NT-proBNP concentration in Slovak heart failure patients. Physiol Res. 2019;68:767-774. https://doi.org/10.33549/physiolres.934186
He H, Liu J, Jiang H, Du J, Li L, et al. High serum lactate dehydrogenase adds prognostic value to cardiac biomarker staging system for light chain amyloidosis. J Cancer. 2019;10:5622-5627. https://doi.org/10.7150/jca.30345
Alawieh H, El Chemaly T, Alam S, Khraiche M. Towards point-of-care heart failure diagnostic platforms: BNP and NT-proBNP biosensors. Sensors. 2019;19:5003. https://doi.org/10.3390/s19225003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