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상현실과 전통적 균형훈련이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 Training and Traditional Balance Training on Balance in Patient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원문보기

PNF and movement, v.18 no.2, 2020년, pp.183 - 194  

김수현 (전주대학교 의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박소희 (전주대학교 의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김다정 (전주대학교 의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곽유진 (전주대학교 의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신연진 (전주대학교 의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김수진 (전주대학교 의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FAI) causes tension in the joints, ligaments, and tendons, and the impact on visual and vestibular organs leads to imbalance.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s of a traditional balance training program to virtual reality training to improve FAI. Methods: Twenty-f...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만성적 발목의 불안정성을 가진 대상자의 전통적 균형훈련과 가상현실을 활용한 균형훈련 효과를 비교한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동일한 훈련 빈도와 시간을 설정하였을 때, 가상현실과 균형훈련 프로그램 중 어떤 것이 만성적 발목의 불안정성을 가진 대상자의 균형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대상자 24명에게 가상현실과 전통적 방법의 균형훈련 방법을 4주간 적용했을 때, 균형능력 향상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대상자에게 균형훈련과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두 그룹 모두 압력중심의 이동길이와 이동속도에 있어 훈련 전과 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본 연구는 기능적 발목 불안정이 있는 대상자들에게 가상현실 균형훈련과 전통적 균형훈련을 적용시킨 결과 한발 서기 할 때 압력중심의 이동길이와 이동속도를 변화를 알아보았다. 두 그룹 모두 훈련 전후로 압력중심의 이동길이와 이동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 그룹 간 차이는 없었다.
  • 하지만 훈련을 받지 않은 대조군도 보행 기능의 향상을 보였는데, 이는 급성시기 대상자들에게 자발적 회복(spontaneous recovery)이 일어났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는 다르게 만성적인 발목 기능적 불안정성을 가진 젊은이들을 대상자로 하였고 훈련을 받지 않은 대조군이 없기에 자발적 회복이 일어난 것을 제외하고 결과를 신중하게 해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가상현실과 균형훈련이 선행연구와 비슷한 효과를 보인 이유는 다음과 같이 생각된다.

가설 설정

  • 또한 바로선 상태에서 오른쪽과 왼쪽 다리의 체중지지가 대칭/ 비대칭인지 측정할 때 사용된다. 본 실험에서는 한발 서기 시 압력 중심의 이동 길이 및 평균속도를 균형 훈련 전, 후로 측정하였고, 압력 중심 이동 길이가 길거나 이동 속도가 높을수록, 균형 능력이 떨어지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Hong et al., 2013). Biorescue는 균형 측정뿐만 아니라 운동선수, 뇌졸중 환자들의 균형 훈련을 위해 사용되기도 하며(Hong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목이 불안정하게 되면 어떠한 어려움이 따르는가? 발목 염좌로 인한 발목의 손상은 인대의 구조물 뿐만 아니라 관절, 인대, 힘줄에 압박과 긴장감을 줌으로써 관절 운동과 자세 감각에 도움이 되는 시각 및 전정기관에 영향을 미치고, 반복적인 염좌는 만성적인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functional ankle instability, FAI)으로 이어질 수 있다(Holmes & Delahunt, 2009). 발목이 불안정하게 되면 통증, 균형 저하 및 반복되는 발목 염좌로 인해 걷기, 계단 오르기, 방향 바꿔 걷기 등의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축구, 농구 등 스포츠 활동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Eng & Chu, 2002). 따라서 발목의 기능적 불안정성을 감소시키는 균형훈련이 반드시 필요하다.
전통적 균형훈련 방법이 가지는 단점은 무엇인가? 또한, 불안정한 발목을 가진 환자에게 균형훈련을 하였을 때, 염좌가 재발되는 것을 감소시켜 발목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용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Clark & Burden, 2005). 하지만 이러한 균형훈련은 균형 감각 향상의 효과가 입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소 지루하고 참가자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Vernadakis et al., 2012).
발목 염좌로 인한 발목의 손상이 가져올 수 있는 결과는 무엇인가? 발목 염좌는 운동 인구 내에서 가장 흔한 부상 중 하나이며 발병률은 80%에 이른다(Smith & Reischl, 1986). 발목 염좌로 인한 발목의 손상은 인대의 구조물 뿐만 아니라 관절, 인대, 힘줄에 압박과 긴장감을 줌으로써 관절 운동과 자세 감각에 도움이 되는 시각 및 전정기관에 영향을 미치고, 반복적인 염좌는 만성적인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functional ankle instability, FAI)으로 이어질 수 있다(Holmes & Delahunt, 2009). 발목이 불안정하게 되면 통증, 균형 저하 및 반복되는 발목 염좌로 인해 걷기, 계단 오르기, 방향 바꿔 걷기 등의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축구, 농구 등 스포츠 활동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Eng & Chu,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assett SF, Prapavessis H. Home-based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with adherence-enhancing strategies versus clinic-based management for patients with ankle sprains. Physical Therapy. 2007;87(9):1132-1143. 

  2. Burcal CJ, Trier AY, Wikstrom EA. Balance training versus balance training with STARS in patien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Sport Rehabilitation. 2017;26(5):347-35. 

  3. Clark VM, Burden AM. A 4-week wobble board exercise programme improved muscle onset latency and perceived stability in individuals with a functionally unstable ankle. Physical Therapy in Sport. 2005;6(4):181-187. 

  4. Cone BL, Levy SS, Goble DJ. Wii Fit exer-game t raining improves sensory weighting and dynamic balance in healthy young adults. Gait & Posture. 2015;41(2):711-715. 

  5. Eng JJ, Chu KS. Reliability and comparison of weight-bearing ability during standing tasks for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2;83(8):1138-1144. 

  6. Freeman M. Instability of the foot after injuries to the lateral ligament of the ankle. 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 1965;47(4):669-677. 

  7. Granacher U, Schellbach J, Klein K, et al. Effects of core strength training using stable versus unstable surfaces on physical fitness in adolesc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MC Sports Science,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14;6(1):40. 

  8. Hiller CE, Refshauge KM, Bundy AC, et al. The Cumberland ankle instability tool: a report of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ing.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6;87(9):1235-1241. 

  9. Hiller CE, Kilbreath SL, Refshauge KM. Chronic ankle instability: evolution of the model.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2011;46(2):133-141. 

  10. Holmes A, Delahunt E. Treatment of common deficits associated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Sports Medicine. 2009;39(3):207-224. 

  11. Hong SH, Im S, Park GY. The effects of visual and haptic vertical stimulation on standing balance in stroke patients.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13;37(6):862-870. 

  12. Horlings CG, Carpenter MG, Kung UM, et al. Influence of virtual reality on postural stability during movements of quiet stance. Neuroscience Letters. 2009;451(3):227-231. 

  13. Joshua AM, D'Souza V, Unnikrishnan B, et al. Effectiveness of progressive resistance strength training versus traditional balance exercise in improving balance among the elderly -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Clinical and Diagnostic Research. 2014;8(3):98-100. 

  14. Karamians R, Proffitt R, Kline D, et al. Effectiveness of virtual reality- and gaming-based interventions for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poststroke: a meta-analysi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20;101(5):885-896. 

  15. Kim JH, Choi BR. Intra- and inter-rater reliability of BioRescue.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8;18(11):348-352. 

  16. Kim JH, Uhm YH. Effect of ankle stabilization training using biofeedback on balance ability and lower limb muscle activity in football player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2016;28(3):189-194. 

  17. Kim KJ, Heo M. Effects of virtual reality programs on balance in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The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015;27(10):3097-3101. 

  18. Kim YW, Kim EJ, Song YG, et al. The effects of functional instability of the ankle joint on balance. Physiotherapy Practice and Research. 2016;37(1):3-9. 

  19. Lohse KR, Hilderman CG, Cheung KL, et al. Virtual reality therapy for adults post-strok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xploring virtual environments and commercial games in therapy. PLoS One. 2014;9(3):e93318. 

  20. McGuine TA, Keene JS. The effect of a balance training program on the risk of ankle sprains in high school athletes.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2006;34(7):1103-1111. 

  21. McKeon PO, Ingersoll CD, Kerrigan DC, et al. Balance training improves function and postural control in those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2008;40(10):1810-1819. 

  22. Metin Okmen B, Dogan Aslan M, Nakipoglu Yuzer GF, et al. Effect of virtual reality therapy on functional development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single-blind, prospective, randomized-controlled study. Turkish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19;65(4):371-378. 

  23. O'Driscoll J, Kerin F, Delahunt E. Effect of a 6-week dynamic neuromuscular training programme on ankle joint function: a case report. Sports Medicine Arthroscopy Rehabilitation Therapy & Technology. 2011;3(1):13. 

  24. Pourkazemi F , Hiller CE, Raymond J , et al. Predictors of recurrent sprains after an index lateral ankle sprain: a longitudinal study. Physiotherapy. 2018;104(4):430-437. 

  25. Punt IM, Armand S, Ziltener JL, et al. Effect of Wii $Fit^{TM}$ exercise therapy on gait parameters in ankle sprain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Gait & Posture. 2017;58:52-58. 

  26. Rogers MW, Tamulevicius N, Coetsee MF, et al. Knee osteoarthritis and the efficacy of kinesthesia, balance & agility exercise training: a pilot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Exercise Science. 2011;4(2):124-132. 

  27. Rozzi SL, Lephart SM, Sterner R, et al. Balance training for persons with functionally unstable ankles.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1999;29(8):478-486. 

  28. Rutkowski S, Rutkowska A, Kiper P, et al.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ternational Journal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2020;15:117-124. 

  29. Sefton JM, Yarar C, Hicks-Little CA, et al. Six weeks of balance training improves sensorimotor function in individual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2011;41(2):81-89. 

  30. Smith RW, Reischl SF. Treatment of ankle sprains in young athletes.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1986;14(6):465-471. 

  31. Verhagen E, Van Der Beek A, Twisk J, et al. The effect of a proprioceptive balance board training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ankle sprains: a prospective controlled trial.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2004;32(6):1385-1393. 

  32. Vernadakis N, Gioftsidou A, Antoniou P, et al. The impact of Nintendo Wii to physical education students' balance compared to the traditional approaches. Computers & Education. 2012;59(2):196-205. 

  33. Wester JU, Jespersen SM, Nielsen KD, et al. Wobble board training after partial sprains of the lateral ligaments of the ankle: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1996;23(5):332-336. 

  34. Yang DJ, Park SK, Uhm YH. Impact of virtual reality based neuromuscular postural control fusion training on balance ability and jump performance of soccer player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6;14(11):357-367. 

  35. Yu M, Zhou R, Wang H, et al. An evaluation for VR glasses system user experience: the influence factors of interactive operation and motion sickness. Applied Ergonomics. 2019;74:206-2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