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박테리오신 생성 Pediococcus acidilactici 를 적용한 요거트 특성 및 항균성 연구
Functional Properties of Yogurt Fermented by Bacteriocin-producing Pediococcus acidilactici 원문보기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v.38 no.3, 2020년, pp.154 - 160  

현인경 (동국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김민영 (동국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김서연 (동국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이지수 (동국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최아랑 (동국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강석성 (동국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박테리오신을 생성하는 P. acidilactici를 적용한 기능성 요거트를 제조하여 항균활성과 프로바이오틱스로서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Yogurt starter로는 시판되는 요거트에서 분리한 혼합 균주 3종(S. thermophilus, Lb. bulgaricus, Lb. rhamnosus GG)을 사용하였으며, 혼합 균주와 P. acidilactici HW01, P. acidilactici JM01, P. acidilactici K10을 각각 혼합 접종하여 각각의 요거트를 제조한 다음 유산균의 생균수, pH, brix를 측정한 결과, 유산균의 생균수는 모두 8.0 Log CFU/mL 이상의 생균수가 검출되어 유산균 발효유로서 기준에 적합하였다. 또한 pH와 brix를 측정한 결과, 발효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두 감소하였다. 우유나 유제품의 오염에 있어서 유의해야 할 병원성 균인 L. monocytogenes를 통해 병원성 저해능을 측정하였으며 L. monocytogenes가 발효 후 3일째부터 모두 저해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박테리오신 생성 균주인 P. acidilactici HW01, P. acidilactici JM01, P. acidilactici K10이 발효유제품 제조에 있어서 요거트 제품의 변화 없이 프로바이오틱 효과를 지닌 균주로 기대되며, 식품안정성 및 새로운 프로바이오틱스 유제품 개발에 도움을 줄 것이라 예상된다. 그리고 L. monocytogenes 외의 다른 병원성 균의 저해효과에 대한 연구 및 요거트의 저장온도에 따른 병원성 저해효과 차이에 대한 연구도 기대된다. 따라서 박테리오신 생성 균주를 활용한 기능성 식품을 실제 식품산업에 적용한다면 안전성 및 신제품 개발에 대한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yogurts are important aspects for consumer acceptability. In addition, beneficial functions of commercial yogurts are also emphasized for the probiotic dairy produc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yogurts w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박테리오신을 생성하는 P. acidilactici를 적용한 기능성 요거트를 제조하여 항균활성과 프로바이오틱스로서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Yogurt starter로는 시판되는 요거트에서 분리한 혼합 균주 3종(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Kwon DY, Koo MS, Ryoo CR, Kang CH, Min KH, Kim WJ. Bacteriocin produced by Pediococcus sp. in Kimchi and its characteristics. J Microbiol Biotechnol. 2002;12:96-105. 

  2. Jang D, Park S, Lee H, Pyo S, Lee HS. Isolation of the alcohol tolerant lactic acid bacteria Pediococcus acidilactici K3 and S1 and their physiological characterization.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2013;41:442-448. 

  3. Ahn H, Kim J, Kim WJ.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teriocin-producing Pediococcus acidilactici HW01 from malt and its potential to control beer spoilage lactic acid bacteria. Food Control. 2017;80:59-66. 

  4.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Report of a joint FAO/WHO expert consultation on evaluation of health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probiotics in food including powder milk with live lactic acid bacteria [Internet]. 2006 [cited 2020 Feb 20]. Available from: http://www.fao.org/3/a-a0512e.pdf 

  5. Mercenier A, Pavan S, Pot B. Probiotics as biotherapeutic agents: present knowledge and future prospects. Curr Pharm Des. 2003;9:175-191. 

  6. Jeong SY, Park CS, Choi NS, Yang HJ, Kim CY, Yoon BD, et al. Characteristics of bacteriocin produced by Lactococcus lactis ET45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Microbiol. 2011;47:74-80. 

  7. George AE, Levett PN. Effect of temperature and pH on survival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coleslaw. Int J Food Microbiol. 1990;11:345-349. 

  8. Latorre L, Parisi A, Fraccalvieri R, Normanno G, Nardella La Porta MC, Goffredo E, et al. Low Prevalence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foods from Italy. J Food Prot. 2007;70:1507-1512. 

  9. Sivakumar N, Rajamani, Saif A. Partial characterization of bacteriocins produced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Pediococcus acidilactici. Braz Arch Biol Technol. 2010;53:1177-1184. 

  10. Manjulata Devi S, Halami PM.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ediocin PA-1/AcH like bacteriocin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Curr Microbiol. 2011;63:181-18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