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배환경이 전라남도 지방 가을배추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Effect of Environment on Growth and Yield of Autumn Kimchi Cabbage in Jeonnam Province using Big Data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22 no.3, 2020년, pp.183 - 193  

위승환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이희주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유인호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장윤아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여경환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안세웅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이진형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배추 주산지인 전남지방의 가을배추 생육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재배환경요소가 가을배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남지방의 2010~2019년 가을배추 생육데이터를 수집하여 기온, 일조시간, 강우량, 토성 등 재배환경데이터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상관행렬을 작성한 결과 초장과 엽수는 생육도일과 일조시간에서 높은 상관계수를 보였고 수량은 생육도일과 점토함량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상관계수 분석을 통해 선발된 지표들을 선형회귀분석 하였는데 초장과 생육도일, 초장과 합계 일조시간, 엽수와 생육도일, 엽수와 합계일조시간의 결정계수가 각각 0.79, 0.71, 0.7, 0.62이었으나 수량과 생육도일, 수량과 토성의 경우 결정계수가 낮았다. 수량과 생육도일 토성을 통계분석 한 결과 해남과 진도 지역의 수량이 높았고 생육도일과 토양내 점토 함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량, 생육도일, 토성에 대한 연관성 검증을 위하여 계층적 군집분석을 수행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사 지역으로 분류된 해남과 진도가 같은 군집을 이루었고 그 외 지역이 다른 군집을 이루었다. 연도 및 지역에 따라 생육도일과 수량이 다르고 토성이 유사한 지역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측데이터가 지역별로 군집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아 생육도일과 점토 함량은 수량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성 분석 외에도 지역별 군집을 통하여 데이터 분석 및 영농정책 수립 등에 군집분석 결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environment factors on the growth of autumn season cultivation of Kimchi cabbage using the big data in terms of public open data(weather, soil information, and growth of crop, etc.). The growth data and the environment data such as temperature, dayl...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재배에 요구되는 요소와 가중치를 구명하기 어려우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장기간 그리고 넓은 지역에서 생산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배추의 주산지인 전남 지방의 가을배추 생육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재배환경 요소가 가을배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열단위를 이용한 생육도일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 기상환경은 작물의 생육에 영향을 주는 핵심 요인이며 다양한 방법으로 생육과 환경요인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있다. 기온은 작물의 생육을 분석하는데 활용되는 주요 지표로 활용되며, 그중 열단위를 이용한 생육도일(Growing degree days, GDDs)은 개화시기 및 수확시기 예측 등의 영농일정 제공, 적정 재배작기 예측 등의 통해 학술적 연구 및 영농의사결정지원 등에 활용되고 있다(Gilmore and Rogers, 1958; McMaster and Wihelm, 1997; Wi et al., 2018).
빅데이터를 자동화 기술, 작황예측, 생산최적화 등에도 적용하여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는 나라는 어디인가? 이에 따라 빅데이터 처리 및 분석은 공학에만 한정되어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의학, 사회학, 농학 등 다양한 분야로 영역을 넓혀가고 있으며 그에 따른 기술혁신은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Schwab,2017). 네덜란드, 독일, 프랑스에서는 빅데이터를 자동화 기술, 작황예측, 생산최적화 등에도 적용하여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Lim, 2017).
수요에 따른 공급량을 맞추기 위하여 배추는 연중 생산체계가 확립되었다. 그 이유가 무엇인가? 한국인의 주요 부식인 김치의 주재료인 배추는 1인당 년 소비량이 53kg이며 수요가 일정해 안정 생산이 요구되는 작물이다(Park and Kim, 2018). 배추는 가격에 비해 부피가 크고 저장 시 저온보관이 요구되며 저장기간 또한 2∼3개월로 짧아 생산량이 곧 소비량이 된다(Kim et al., 2016). 이러한 완전 경쟁적인 특성 때문에 생산량 변동에 따라 가격변동이 크며 이는 물가 불안으로 이어지는 등 사회경제적 문제를 야기하기에 안정생산이 중요하다(Lee, 1996). 따라서 수요에 따른 공급량을 맞추기 위하여 배추는 연중 생산체계가 확립되어 1년 내내 파종, 수확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hn, J. H., K. D. Kim, and J. T. Lee, 2014: Growth modeling of Chinese cabbage in an alpine a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6(4), 309-315. 

  2. Chang, W., 2012: R graphics cookbook: practical recipes for visualizing data. O'Reilly Media, Inc., CA, USA. 

  3. Charrad, M., N, Ghazzali, V. Boiteau, A. Niknafs, and M. Charrad, 2014: Package 'nbclust'. Journal of statistical software 61, 1-36. 

  4. Cho, C., G. Hwang, and S. Yoon, 2018: Development of ubiquitous sensor network quality control algorithm for highland cabbag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0(4), 337-347. 

  5. Gilmore, E. C., and J. S. Rogers, 1958: Heat units as a method of measuring maturity in corn. Agronomy Journal 50(10), 611-615. 

  6. Hoogenboom, G., 2000: Contribution of agrometeorology to the simulation of crop production and its application.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03, 137-157. 

  7. Jun, H. K., 2014: Taxonomical Classification of Korean Soil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WanJu, Korea. 

  8. Kim, K. D., J. T. Suh, J. N. Lee, D. L. Yoo, M. Kwon, and S. C. Hong, 2015: Evaluation of factors related to productivity and Yield estimation based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growing degree days in highland Kimchi cabbage.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33, 911-922. 

  9. Kim, S. W., H. Y. Rho, and S. H. Yun, 2016: Prediction of Chinese cabbage and radish consumption. KREI 18, 5-6. 

  10. KOSTAT, 2019: Crop Production Statics 2018. Statistics Korea, Daejeon, Korea. 

  11. Lee, J. W., 1996: A study of decision-making factors of production for radish and Chinese cabbage. KREI R346, 39-67. 

  12. Lee, S. G., J. H. Moon, Y. A. Jang, W. M. Lee, I. H. Cho, S. Y. Kim, and K. D. Ko, 2009: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and cellular tissue of Chinese cabbage are affected by temperature and $CO_2$ concentration.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18(2),148-152. 

  13. Lee, S. G., H. J. Lee, S. K. Kim, C. S. Choi, S. T. Park, Y. A. Jang, and K. R. Do, 2015: Effect of vernalization, temperature, and soil drying periods and the growth and yield of Chinese cabbage.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33, 820-828. 

  14. Lee, S., and K. S. Kim, 2018: Estimation of fresh weight for chinese cabbage using the Kinect sensor.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0(2), 205-213. 

  15. Lim, Y. H., 2017: Policy Trends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in Major Countries in Respons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Naju, Korea. 

  16. Mcmaster, G. S., and W. W. Wilhelm, 1997: Growing degree-days: one equation, two interpretation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87, 291-300. 

  17. Moon, K. H., E. Y. Song, S. H. Wi, and S. J. Oh, 2018: Development of a Chinese cabbage model using Microsoft Excel/VB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0(2), 228-232. 

  18. Na, S. I., B. K. Min, C. W. Park, K. H. So, J. M. Park, and K. D. Lee, 2017: Development of field scale model for estimating garlic growth based on UAV NDVI and meteorological factors.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50(5), 422-433. 

  19. Oh, S. J., K. H. Moon, I. C. Son, E. Y. Song, Y. E. Moon, and S. C. Koh, 2014: Growth, photosynthesis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of Chinese cabbage in response to high temperature effects of differentiated temperature.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32, 318-329. 

  20. Park, S. H., J. K. Kim, 2013: Cabbag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WanJu, Korea. 

  21. Perry, K. B., D. C. Sanders, D. M. Granberry, J. T. Garrett, D. R. Decoteau, R. T. Nagata, and W. J. McLaurin, 1993: Heat units, solar radiation and daylength as pepper harvest predictor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65(3-4), 197-205. 

  22. Schwab, K., 2017: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ortfolio Penguin, London, U.K. 

  23. Son, I. C., K. H. Moon, E. Y. Song, S. J. Oh, H. H. Seo, Y. E. Moon, and J. Y. Yang, 2015: Effects of differentiated temperature based on growing season temperature on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 in Chinese cabbage 'Chunkwang'.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7, 254-260. 

  24. Teetor, P., 2011: R cookbook: Proven recipes for data analysis, statistics, and graphics. O'Reilly Media, Inc., CA, USA. 

  25. Wei, T., V. Simko, M. Levy, Y. Xie, Y. Jin, and J. Zemla, 2017: Package 'corrplot'. Statistician 56(316), e24. 

  26. Wi, S. H., E. Y. Song, S. J. Oh, I. C. Son, S. G. Lee, H. J. Lee, B. H. Mun, and Y. Y. Cho, 2018: Estimation of optimum period for spring cultivation of 'Chunkwang' Kimchi Cabbage based on growing degree days in Korea.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0, 175-182. 

  27. Yang, S. J., S. I. Jo., and Y. B. Jo, 2020: Big data analysis and utilizat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WanJu,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