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족아카이브의 사회적 확대를 위한 시론적 분석
Basic Analysis for Social Spreading of Family Archives 원문보기

기록학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no.66, 2020년, pp.229 - 265  

김명훈 (국립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 연계전공)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가족공동체 회복을 위한 방편으로 가족아카이브의 구축 필요성과 함께, 가족아카이브를 하나의 사회문화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방향성을 고찰하였다. 가족아카이브에 대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미진한 상황에서, 본 연구에서는 세 영역에 초점을 맞추어 가족아카이브를 분석하였다. 첫 번째는 가족아카이브 필요성에 대한 고찰이다. 이를 위해 먼저 최근의 사회환경에서 가족공동체의 위기가 심화되는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사회학 및 가족학 분야의 연구들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한국 사회 내에서의 기록을 활용한 가족아카이브 구축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두번째는 가족아카이브의 사회적 확대를 위한 주요 기록관리 선진국의 국립기록청 사례조사이다. 서구 기록관리 선진국의 경우 가족아카이브는 가족사 내지 계보 연구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으며, 기록보존소의 방문자 절반 이상이 가족사 내지 계보 연구자들이 차지하게 되면서, 서구 각국의 국립기록청에서는 가족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세 번째는 가족아카이브의 의미 및 특성에 관한 분석이다. 가족아카이브가 범사회적인 기록문화로 자리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공공기록과는 다른 고유의 의미 및 특성과 함께, 가족아카이브가 지니는 가치 및 역할 정립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에 가족아카이브의 개념 및 목표 정립과 함께 가족아카이브가 지니는 기능 및 가치를 기존의 기록학 이론과 대비하여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세 영역에 초점을 맞춘 분석 결과, 가족아카이브는 '제도'가 아닌 '문화'로, 또한 '관리'가 아닌 '활용'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그동안의 기록학 이론 및 방법론들은 공공기록처럼 방대한 양의 기록을 체계적으로 관리·보존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개발되어왔고, 아울러 고도로 전문화된 지식을 기반으로 기록관리법령 및 표준, 기침 등을 통해 준수해야 할 하나의 제도로 자리해왔다. 하지만 가족아카이브를 사회적으로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일반 시민 누구나 일상적인 삶의 과정 속에서 행할 수 있는 문화 내지 생활방식으로 정착되어야 하며, 전문적인 기록의 관리·보존에 앞서 기록 속에 담고 있는 의미를 가족구성원 모두가 공유할 수 있도록 활용에 우선점을 둘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family archive as a means for the recovery of the family community and the direction for establishing the family archive as a social culture. With the lack of research on family archives worldwide, this study analyzed family archives focusing on th...

주제어

표/그림 (6)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족이란 무엇인가? 가족은 부모ㆍ자식ㆍ부부 등의 관계로 맺어져 한집에서 함께 생활하는 공동체이다. 인류의 발생과 함께 생성된 가장 오랜 집단이며, 어떤 사회ㆍ시대에나 존재하는 가장 기본적인 사회 단위라 할 수 있다. 가족은 개인과 사회의 중간에 위치한 체계로서 전체 사회에 대하여는 하위체계로, 개인에 대하여는 상위체계로 볼 수 있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온라인판)).
가족아카이브가 위기에 직면한 가족공동체를 복원시키는 하나의 도구로 기능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바로 이러한 상황 속에 가족아카이브는 위기에 직면한 가족공동체를 복원시키는 하나의 도구로 기능할 수 있다. 가족의 삶이 반영된 기록은 가족구성원간의 유대를 강화시켜 줄 수 있기 때문이다(Rosenberg 2011, 91). 가족의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기념일, 여행, 행사 등을 통해 가족 구성원이 공유할 수 있는 공동의 기억이 창출되며, 아울러 SNS를 비롯한 다양한 도구를 통해서도 구성원간의 대화 및 소통과 관련된 기록이 생성된다.
한국 가족의 중요한 특성이라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이를 근간으로 한국 가족은 가족주의로 대표되는 가족 간 유대를 중심으로 응집성이 높은 가족을 유지해왔으며, 여전히 한국인에게 가족은 삶의 근원이자 행복의 원천으로 인식되어 왔다(이승미 외 2012, 184, 187). 이와 아울러 각종 제도 및 사상, 문화의 서구적인 현대화에도 불구하고, 서구의 개인주의를 배격하고 가족 전체를 중심에 두는 가족주의를 철저히 고수한 것이 한국 가족의 중요한 특성이라 할 수 있다(최재석 2009, 2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곽건홍. 2011. 일상 아카이브(Archives of everyday life)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소론. 기록학연구, 29. 

  2. 김재호. 2010. 웹 환경에서의 개인기록관리에 관한 연구: 블로그를 중심으로. 한신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 논문. 

  3. 김진용. 2013. 개인아카이브의 유형별 특성에 대한 연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혜림. 2010. 개인 아카이브의 구축 방안 연구 - 이승만 기록 통합 검색을 위한 디지털아카이브에 대한 제안.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심성보. 2011. 일상 아카이브즈를 통한 생활세계 연구의 가능성. 국제한국학연구, 5. 

  6. 오명진. 2017. 개인 기록의 특성과 기록화 전략. 기록학연구, 53. 

  7. 오의경. 2017. 대학의 설립자 개인기록 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7(1). 

  8. 이승미 외. 2012. 한국 가족의 전환기적 특성과 가족정책.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0(6). 

  9. 이영남. 2020. 일상생활과 기록. 기록학연구, 63. 

  10. 이윤석. 2014. 위기의 가족, 기댈 수 있나.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11. 이은령. 2013. 가족콘텐츠 스토리텔링 저작시스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멀티미디어과 박사 학위 논문. 

  12. 이은화. 2009. 아카이브즈 개인 기록 컬렉션 관리에 관한 연구- 배민수 컬렉션 분석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재경. 2014. 한국 가족은 '위기'인가?: '건강가정' 담론에 대한 비판. 한국여성학, 20(1). 

  14. 이정우 외. 1998. 결혼과 가족관계.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출판부. 

  15. 임진희. 2011. 일상 아카이브즈 구축방안. 국제한국학연구, 5. 

  16. 장주영. 2016. 지역구 국회의원 개인기록의 기록화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 발표논집. 

  17. 최유리, 임진희. 2015. 개인기록 관리 방안 연구: '나의 아카이브(My Archive)' 만들기. 기록학연구, 47. 

  18. 최재석. 2009. 한국의 가족과 사회. 서울: 경인문화사. 

  19. Cox, Richard J. 1984. Genealogy and Public History: New Genealogical Guides and Their Implications for Public Historians. The Public Historian, 6(2). 

  20. Cox, Richard J. 1996. The Record in the Manuscript Collection. Archives and Manuscripts, 24(1). 

  21. Duff, Wendy M. and Johnson, Catherine A. 2003. Where Is the List with All the Names? Information-seeking Behavior of Genealogists. American Archivist, 66(1). 

  22. Etherton, Judith. 2006. The Role of Archives in the Perception of Self. Journal of the Society of Archivists, 27(2). 

  23. Evans, Frank B. 1967. Archivists and Records Managers: Variations on a Theme. American Archivist, 30(1). 

  24. Fisher, Rob. 2009. In Search of a Theory of Private Archives: The Foundational Writings of Jenkinson and Schellenberg Revisited. Archivaria, 67. 

  25. Harris, Verne. 2001. On the Back of a Tiger: Deconstructive Possibilities in "Evidence of Me". Archives and Manuscripts, 29(1). 

  26. Hobbs, Catherine. 2001. The Character of Personal Archives: Reflections on the Value of Records of Individuals. Archivaria, 52. 

  27. Kambar, Ruth. 2013. A Family Archive: Construction of Identity in The Assyrian American Diaspora.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in Steinhardt School of Culture, Education, and Human Development. New York University. 

  28. Lundin, Matthew David. 2006. The Mental World of a Middling Burgher: The Family Archive of Cologne Lawyer Hermann Weinsberg(1518-1597). The Department of History for The Degree of Ph. D. Havard University. 

  29. McKemmish, Sue. 1996. Evidence of Me. The Australian Library Journal, 45(3). 

  30. Millar, Laura. 1999. The Spirit of Total Archives: Seeking a Sustainable Archival System. Archivaria, 47. 

  31. Reed, Babara. 2005. Beyond Perceived Boundaries: Imagining the Potential of Pluralised Recordkeeping. Archives & Manuscripts, 33(1). 

  32. Rokahr, Jack. 2003. The Rokahr Family Archive. The Opera Quarterly, 19(4). 

  33. Rosenberg, Victor. 2011. The Power of a Family Archive. Archival Science, 11(1-2). 

  34. Taylor, Hugh A. 1980. Family History: Some New Directions and Their Implications for the Archivist. Archivaria, 11. 

  35. Tucker, Susan. 2006. Doors Opening Wider: Library and Archival Services to Family History. Archivaria, 62. 

  36. Williams, Caroline. 2008. Personal Papers: Perceptions and Practices. What are Archives? Cultural and Theoretical Perspectives: A Reader. Craven, Louise ed. Ashgate: Aldershot. 

  37. Woodham, Anna, King Laura, Gloyn, Liz, Crewed, Vicky, Blair, Fiona. 2017. We Are What We Keep: The "Family Archive": Identity and Public/Private Heritage. HeERITAGE & SOCIETY 10(3). 

  38. Yakel, Elizabeth and Torres, Deborah A. 2007. Genealogists as a "Community of Records". American Archivist, 70(1). 

  39.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온라인판) 

  40. 글로벌 세계대백과(온라인판) 

  41.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온라인판) 

  42. https://www.archives.gov/preservation/family-archives 

  43. https://www.archives.gov/research/genealogy 

  44. https://www.archives.gov/research/genealogy/census 

  45. https://www.archives.gov/research/military 

  46. https://www.archives.gov/research/immigration 

  47. https://www.archives.gov/research/immigration/naturalization 

  48. https://www.naa.gov.au/information-management/storing-and-preserving-information/preserving-information 

  49. https://www.naa.gov.au/explore-collection/search-people/researching-your-family 

  50. https://www.naa.gov.au/help-your-research/getting-started 

  51. https://www.nationalarchives.gov.uk/archives-sector/advice-and-guidance/managing-your-collection/ 

  52. https://www.nationalarchives.gov.uk/help-with-your-research/research-guides/?researchcategoryfamily-history 

  53. http://www.bac-lac.gc.ca/eng/discover/genealogy/Pages/introduction.aspx 

  54. http://www.bac-lac.gc.ca/eng/search/Pages/ancestors-search.aspx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