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교육과 교외 임상실습을 통합한 교육의 효과
The Effect of Education Integrating Virtual Reality Simulation Training and Outside School Clinical Practice for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10, 2020년, pp.100 - 108  

임세미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과학과) ,  염영란 (조선간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에게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교육과 교외 임상실습을 통합한 교육을 적용한 후의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 및 비판적 사고 성향의 차이를 확인하여 효과적인 실습교육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2020년 6월 8일부터 7월 3일까지 G시 소재 대학 3학년에 재학 중이며,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교육과 교외 임상실습을 받은 경험이 없는 간호대학생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교육과 교외 임상실습을 통합한 교육을 적용한 후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 및 비판적 사고 성향정도가 교육 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의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교육과 교외 임상실습을 통합한 교육은 임상수행능력 향상과 더불어 비판적 사고 성향,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어 교외 임상실습 전 임상상황에 맞는 다양한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self-efficacy,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fter applying education integrated educational virtual reality simulation to training and outside school clinical practice to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to pr...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에게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과 교외 임상실습을 통합한 교육 전·후의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 및 비판적 사고 성향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급성 천식환자와 급성 심근경색 환자 간호에 대한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과 교외 임상실습을 통합한 교육을 적용한 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단일군 사전·사후 유사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교외 임상실습 전의 간호대학생에게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교육을 적용하여 전과 후의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 비판적 사고 성향을 비교하여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교육을 적용한 선행연구에서 단일군 사전·사후 유사실험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으로 같은 변수를 적용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초점으로 논의되었다.
  • 본 연구는 일 지역의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교육과 교외 임상실습 경험이 없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급성 천식 환자와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 간호에 대한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과 교외 임상실습을 통합한 교육을 적용하여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 및 비판적 사고 성향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단일군 사전·사후 유사실험 연구로 진행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외 임상실습 및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의 경험이 없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교육과 교외 임상실습을 통합한 교육을 시행하기 전과 후의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 및 비판적 사고 성향의 차이를 확인하여 교외 임상실습 및 교내 임상실습 교육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는 시뮬레이션 실습을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가? 이를 보완하는 교육방법인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은 재현된 임상환경 속에서 학생들에게 새로운 학습의 경험을 제공하며 임상 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간호교육 커리큘럼의 일부로 성장하고 있다[3,4].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는 시뮬레이션 실습을 ‘임상현장에서 발생 가능한 상황을 시나리오화 하여 학생이 사람과 유사한 반응을 보이는 시뮬레이터 또는 표준화 환자를 활용하여 상황 해결을 위한 간호수행을 하고, 그 과정에 대한 디브리핑을 통해 임상지식과 간호술을 습득하고 비판적 사고를 고취시킬 수 있는 실습’이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간호교육인증 평가 시 시뮬레이션 교육을 일부 실습교육으로 허용하고 있어 많은 학교의 간호학과에서는 고 충실도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5].
시뮬레이션 교육과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고육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시뮬레이션 교육과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고육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시뮬레이션 교육은 교내 실습실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대화형 비디오 또는 마네킹과 같은 장치를 활용하여 의사결정 및 비판적 사고를 통합함으로써 실제 임상 환경을 경험하는 활동으로써 단순한 것에서 복잡한 것까지 다양하다. 시뮬레이션 교육은 1회 시행 시 많은 학생의 수용이 불가능하고 반복적인 수업을 진행하는데 있어 인력 및 시간 낭비가 크며, 시뮬레이션 설비를 위한 실습실 공간을 생성하고 운영 및 유지관리에 들어가는 비용 면에서 제한적인 부분이 있다[6-8]. 또한 고가의 장비로 인해 학생들이 장비를 다루는데 있어서 위축감과 부담감을 호소하기도 하며, 그룹 활동으로 진행되므로 창의성과 협동심에 있어서 문제가 대두되기도 한다[9]. 반면,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은 컴퓨터를 활용한 시뮬레이션을 말하며, 여러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다양한 임상환경에서 가상의 대상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컴퓨터 화면에 묘사된 현실의 재현이다.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은 비용효과 면에서 시뮬레이터 기반 시뮬레이션 교육보다 유리한 것으로 확인되어 보완 및 대체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10-15]. 또한 반복적인 학습이 가능하고 장소의 제약이 없이 시뮬레이션에 접속할 수 있어 접근성이 높으며 동시에 많은 수의 학생도 수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6]. 따라서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은 반복적인 학습을 통해 제한된 시뮬레이션 교육시간을 보완하고 학습 성과 및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선행연구에서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17-22].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은 무엇을 위해 간호교육 커리큘럼의 일부로 성장하고 있는가? 간호대학생들이 임상실습 현장에서 환자와의 직접적인 접촉이나 술기를 직접 수행하는 것은 환자와 학생의 안전에 대한 문제로 인해 제한적인 부분이 많다[2]. 이를 보완하는 교육방법인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은 재현된 임상환경 속에서 학생들에게 새로운 학습의 경험을 제공하며 임상 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간호교육 커리큘럼의 일부로 성장하고 있다[3,4].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는 시뮬레이션 실습을 ‘임상현장에서 발생 가능한 상황을 시나리오화 하여 학생이 사람과 유사한 반응을 보이는 시뮬레이터 또는 표준화 환자를 활용하여 상황 해결을 위한 간호수행을 하고, 그 과정에 대한 디브리핑을 통해 임상지식과 간호술을 습득하고 비판적 사고를 고취시킬 수 있는 실습’이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간호교육인증 평가 시 시뮬레이션 교육을 일부 실습교육으로 허용하고 있어 많은 학교의 간호학과에서는 고 충실도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S. J. Park. (2018). A structural model on the nursing competencies of nursing simulation learn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2. P. M. Ironside, A. M. McNelis & P. Ebright, (2014). Clinical education in nursing: rethinking learning in practice settings, Nursing Outlook, 62(3), 185-191. DOI: 10.1016/j.outlook.2013.12.004 

  3. M. J. Regan & R. Onello. (2013). Knowledge, action and reflection: A theoretically based model for use with high fidelity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and Practice 3, 106-113. 

  4. P. R. Jeffries. (2005). A framework for desig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simulations used as teaching strategies in nursing. Nursing Education Perspect, 26 , 96-103. 

  5.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20). Nursing education certification evaluation in the second half of 2020 University Handbook,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Online). http://www.kabone.or.kr/index.php 

  6. M. Verkuyl, M. Hughes, J. Tsui, L. Betts, O. St-Amant & J. L. Lapum. (2017). Virtual gaming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A focus group study.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56(5), 274-280. DOI : 10.3928/01484834-20170421-04 

  7. I. J. Thidemann & O. Soderhamn. (2013). High-fidelity simulation among bachelor students in simulation groups and use of different roles. Nurse Education Today, 33(12), 1599-1604. DOI : 10.1016/j.nedt.2012.12.004 

  8. S. Y. Liaw, S. W. C. Chan, F. G. Chen, S. C. Hooi & C. Siau. (2014). Comparison of virtual patient simulation with mannequin-based simulation for improving clinical performances in assessing and managing clinical deterioratio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16(9). e214. DOI : 10.2196/jmir.3322 

  9. P. H. Kim & K. N. Kim. (2018). A phenomenological study to the simulation class of adult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11), 541-550. DOI: 10.21742/AJMAHS.2018.11.02. 

  10. C. A. Kilmon, L. Brown, S. Ghosh & A. Mikitiuk. (2010). Immersive virtual reality simulations in nursing education.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 314-317. 

  11. R. P. Cant & S. J. Cooper. (2014). Simulation in the Internet age: The place of web-based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An integrative review. Nurse Education Today, 34(12), 1435-1442. 

  12. M. Hansen. (2008). Versatile, immersive, creative and dynamic virtual 3-D healthcare learning environmen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10(3), e26 

  13. C. Foronda, K. Gattamorta, K. Snowden & E. B. Bauman. (2014). Use of virtual clinical simulation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of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a pilot study. Nurse education today, 34(6), e53-e57. DOI : 10.1016/j.nedt.2013.10.007 

  14. C. L, Foronda, M, Fernandez-Burgos, C, Nadeau, C. N. Kelley & M. N. Henry. (2020). Virtual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spanning 1996 to 2018. Simulation in Healthcare: journal of the Society for Simultaion in Healthcare, 15(1), 46-54. DOI : 10.1097/SIH.0000000000000411 

  15. K. A. Haerling. (2018). Cost-utility analysis of virtual and mannequin-based simulation. Simulation in Healthcare: journal of the Society for Simultaion in Healthcare, 13(1), 33-40. DOI: 10.1097/SIH.0000000000000280 

  16. D. A. Cook, P. J. Erwin & M. M. Triola. (2010). Computerized virtual patient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cademic Medicine: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85(10), 1589-1602. 

  17. S. L. Farra, S. Smith, G. L. Gillespie, S. Nicely, D. L. Ulrich, E. Hodgson & D. French. (2015). Decontamination training: With and without virtual reality simulation. Advanced Emergency Nursing Journal, 37(2), 125-133. DOI : 10.1097/TME.0000000000000059 

  18. L. Papadopoulos, A. E. Pentzou, K. Louloudiadis & T. K. Tsiatsos. (2013). Design and evaluation of a simulation for pediatric dentistry in virtual worlds.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15(10), e240. DOI : 10.2196/jmir.2651 

  19. M. Peddle, M. Bearman & D. Nestel. (2016). Virtual patients and nontechnical skills in undergraduate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An integrative review.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12(9), 400-410. DOI : 10.1016/j.ecns.2016.04.004 

  20. M. Quail, S. B. Brundage, J. Spitalnick, P. J. Allen & J. Beilby. (2016). Student self-reported communication skills, knowledge and confidence across standardised patient, virtual and traditional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s. BMC Medical Education, 16(1), 73. DOI : 10.1186/s12909-016-0577-5 

  21. N. Leibold & L. Schwarz. (2017). Virtual simulations: A creative, evidence-based approach to develop and educate nurses. Creative Nursing, 23(1), 29-34. DOI : 10.1891/1078-4535.23.1.29 

  22. J. M. Padilha, P. P. Machado, A. Ribeiro, J. Ramos & P. Costa. (2019). Clinical virtual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21(3), e11529. DOI : 10.2196/11529 

  23. S. K. Kim, M. R. Eom & M. H. Park. (2019). Effects of nursing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 A systematic review -,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9(2), 661-670. 

  24. S. Lapkin, R. Fernandez, T. Levett-Jones & H. Bellchambers. (2010). The effectiveness of using human patient simulation manikins in the teaching of clinical reasoning skills to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a systematic review. JBI Library of Systematic Reviews, 8(16), 661-694. DOI : 10.11124/01938924-201008160-00001 

  25. R. C. N, Baptista, J. C. A, Martins, M. F. C. R, Pereira & A. R. Mazzo. (2014). High-fidelity simulation in the nursing degree: gains perceived by students. Revista de Enfermagem Referencia, 4(1), 135-144. DOI : 10.12707/RIII13169. 

  26. G, Pinar et al (2015). The effects of high fidelity simulation on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and self-efficacy of obstetric skills. International Archives of Nursing Health Care, 1(2), 1-7. DOI : 10.23937/2469-5823/1510008. 

  27. H. B, Yuan, B. A. Williams, & J. B. Fang. (2012). The contribution of high-fidelity simulation to nursing students' confidence and competence: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59(1), 26-33. DOI : 10.1111/j.1466-7657.2011.00964.x 

  28. M. Y. Jho & M. O. Chae. (2014). Impa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Metacognition on Clinical Competence among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4), 513-522. DOI : 10.5977/jkasne.2014.20.4.513 

  29. J. Yoon. (2004).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 In nurs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30. K. A. Kim & D. W. Choi. (2018). The effect of virtual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An application of care for acute heart disease patients.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6(2), 1-13. 

  31. M. Sherer, J. E. Maddux, B. Merchandate, S. Prentice-Dunn, B. Jacobs & R. W. Rogers.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 51(2), 663-671. DOI : 10.2466/pr0.1982.51.2.663 

  32. A. S. Jung. (2007).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a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elf-efficacy in general hospital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33. W. H. Lee, J. J. Kim, J. S. Yoo, H. K. Hur, K. S. Kim & S. M. Lim. (1990). Development of clinical performance measurement tools for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Yonsei College of Nursing. 13, 17-29. 

  34. M. Verkuyl, D. Romaniuk, L. Atack & P. Mastrilli. (2017). Virtual gaming simulation for nursing education: An experiment.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13(5), 238-244. 

  35. M. S. Chu & Y. Y. Hwang. (2017). Effects of web-based simulation and high-fidelity simulation of acute heart disease patient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3(1), 95-107. DOI: 10.5977/jkasne.2017.23.1.95 

  36. S. J. Park. (2017). Effects of Video Debriefing on Self-Efficac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ICU-based Simulation Education.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5(1), 31-40. 

  37. P. C. Smith & B. K. Hamilton. (2015).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 simulation as a teaching strategy for skills preparation in nursing students.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11(1), 52-58. DOI : 10.1016/j.ecns.2014.10.001. 

  38. M. Kim, S. Kim & W. S. Lee. (2019). Effects of a virtual reality simulation and a blended simulation of care for pediatric patient with asthma.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5(4), 496-506. DOI : 10.4094/chnr.2019.25.4.496 

  39. H. S. Song & S. H. Lim. (2018). The Effects of Adult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Team Efficacy according to Learning Type.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7), 401-410. DOI : 10.35873/ajmahs.2018.8.7.040 

  40. J. A. Park & J. Y. Hong. (2017). The effect of simulation education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 solving process, communication skills, and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19), 769-786. DOI : 10.22251/jlcci.2017.17.19.769 

  41. J. H. Kim, I. H. Park & S. J. Shin, (2013). Systematic review of Korean studies on simulation within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19(3), 307-319. DOI : 10.5977/jkasne.2013.19.3.30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