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환자안전인식 취약군에 대한 의사결정나무모형
Analysis of Subgroups with Lower Level of Patient Safety Perceptions Using Decision-Tree Analysi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50 no.5, 2020년, pp.686 - 698  

신선화 (삼육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experiences, perceptions, and educational needs related to patient safety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se perceptions. Methods: Study design was a descriptive survey conducted in November 2019. A sample of 1,187 Koreans aged 20-80 years participated in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의료소비자인 일반인을 대상으로 환자안전인식과 환자안전 관련 경험, 환자안전교육 관련 특성을 살펴보고, 환자안전인식 취약군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일반인의 환자안전인식 정도를 살펴보고,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통해 환자안전인식이 취약한 집단을 규명한 전국단위의 조사연구이다. 이를 토대로 의료소비자인 일반인을 위한 환자안전교육 중재를 개발하기 위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 본 연구는 최근 1년 이내에 의료기관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전국의 20세 이상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환자안전인식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환자안전인식이 가장 취약한 집단은 환자안전활동을 인지하지 못하고, 연령이 45.
  •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결정나무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일반인 중에서 환자안전인식이 취약한 집단을 확인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일반인의 환자안전인식 정도를 살펴보고,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통해 환자안전인식이 취약한 집단을 규명한 전국단위의 조사연구이다. 이를 토대로 의료소비자인 일반인을 위한 환자안전교육 중재를 개발하기 위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의료소비자인 일반인을 대상으로 환자안전 관련 경험 및 환자안전교육 관련 사항들을 조사하고, 다양한 요인들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의사결정나무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환자안전인식이 취약한 집단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환자안전인식의 취약 집단을 조기 발견하고, 취약 집단에 대한 맞춤형 중재 개발을 위한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 선행연구에서 의사결정나무 분석은 대상자의 특성과 관련된 자료들을 기반으로 하여 대상자의 위험 및 취약성 요인을 탐색하는 유용한 방법으로 제시하였고, 의사결정나무 분석이 회귀분석의 결과를 지지하고 좀 더 강력한 설명력을 가진다고 주장하였다[25,26]. 이에 본 연구는 의료소비자인 일반인을 대상으로 환자안전 관련 경험 및 환자안전교육 관련 사항들을 조사하고, 다양한 요인들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의사결정나무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환자안전인식이 취약한 집단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환자안전인식의 취약 집단을 조기 발견하고, 취약 집단에 대한 맞춤형 중재 개발을 위한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서비스를 제공받는 환자는 어떠한 권리가 있는가? 미국의학원(Institute of Medicine)에서 교통사고보다 입원환자에게 발생한 위해사건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많다고 보고한 이후 ‘환자안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1]. 의료서비스를 제공받는 환자는 최선의 치료와 돌봄을 받을 권리가 있고, 최선의 치료와 돌봄은 안전한 의료 환경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0년과 2012년에 발생한 빈크리스틴 투약오류 사건, 2014년 엑스레이선 영상의 좌우가 바뀐 사고 등 국내에서 발생한 여러 가지 의료사고는 환자의 안전에 위협을 가하고 있다[2].
환자안전에 대한 관심은 언제부터 고조되었는가? 미국의학원(Institute of Medicine)에서 교통사고보다 입원환자에게 발생한 위해사건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많다고 보고한 이후 ‘환자안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1]. 의료서비스를 제공받는 환자는 최선의 치료와 돌봄을 받을 권리가 있고, 최선의 치료와 돌봄은 안전한 의료 환경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한국소비자원에서 수행한 조사에 따르면, 병원 내에서 발생한 환자안전사고의 67.1%가 환자관리 미흡, 처치 실수 등으로 대부분 보건의료인의 부주의에 의한 것으로 보도하였는데 이로 인해 어떠한 변화가 생겼는가? 1%가 환자관리 미흡, 처치 실수 등으로 대부분 보건의료인의 부주의에 의한 것으로 보도하였다[3]. 이로 인해 의료현장에서는 환자에게 발생 가능한 오류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하여 환자안전문화 구축에 힘쓰고 있고[4,5], 국가 차원에서 ‘환자안전법’을 시행하여 안전사고에 대한 법령 감시체계를 마련하였다[2]. 또한, 의료현장에서는 의료인을 대상으로 환자안전관리 교육 및 예방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6,7]. 우리나라도 2010년 의료기관평가인증제가 도입되면서 환자안전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가하였으나, 여전히 의료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 및 홍보가 미비하고, 작은 오류라도 자발적으로 보고하는 환자안전보고체계 및 법적 보호 장치가 제대로 마련되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Kohn LT, Corrigan JM, Donaldson MS, Institute of Medicine. To err is human: Building a safer health system.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000. 

  2. Kim JY, Hwang EA. Policy research report. A study on improvement of consumer safety in medical services - Based on patient safety -. Eumseong: Korean Consumer Agency; 2014 Dec. Report No.: Policy Research 14-12. 158p. 

  3. Korean Consumer Agency (KCA). Patient safety accidents, mostly due to carelessness of health care personnel [Internet]. Eumseong: KCA; c2018 [cited 2020 Jan 21]. Available from: https://www.kca.go.kr/home/sub.do?menukey4005&-modeview&no1002722838. 

  4. Ha EH, Hyun KS, Cho JY. Awareness of hospital safety culture and safety activities of workers in a tertiary care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6;22(2):191-201. https://doi.org/10.5977/jkasne.2016.22.2.191 

  5. DiCuccio MH. The relationship between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Patient Safety. 2015;11(3):135-142. https://doi.org/10.1097/PTS.0000000000000058 

  6. Kim KK, Song MS, Lee JS, Kim YS, Yoon SY, Back JE, et al. Effects of an education program on prevention of malpractice using precedent cases related to patient safety in safety perception, safety control, autonomy and accountability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18(1):67-75. https://doi.org/10.11111/jkana.2012.18.1.67 

  7. Cho HA, Shin HS. A systematic review of published studies on patient safety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Dental Administration. 2014;2(1):61-82. 

  8. Yum HK. Management and perspectives of patient safety in healthcar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3;56(6):454-458. https://doi.org/10.5124/jkma.2013.56.6.454 

  9. Lee JH, Lee SI. Patient safety: The concept and general approach. Journal of Korean Society Quality Assurance Health Care. 2009;15(1):9-18. 

  10. Kim MR. Concept analysis of patient safe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1):1-8. https://doi.org/10.4040/jkan.2011.41.1.1 

  11. Kim JE, Lee NJ, Jang SM, Kim YM. Healthcare service consumer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2013;10(2):133-140. 

  12. Davis RE, Sevdalis N, Jacklin R, Vincent CA. An examination of opportunities for the active patient in improving patient safety. Journal of Patient Safety. 2012;8(1):36-43. https://doi.org/10.1097/PTS.0b013e31823cba94 

  13. Kim KJ, Lee EH, Shin S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atient safety perception scale for hospitalized 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8;30(4):404-416. https://doi.org/10.7475/kjan.2018.30.4.404 

  14. Wachter RM. Patient safety at ten: Unmistakable progress, troubling gaps. Health Affairs (Millwood). 2010;29(1):165-173. https://doi.org/10.1377/hlthaff.2009.0785 

  15. Corina I, Abram M, Halperin D. The patient's role in patient safety. Obstetrics and Gynecology Clinics of North America. 2019;46(2):215-225. https://doi.org/10.1016/j.ogc.2019.01.004 

  16. Pyo JH, Lee W, Choi EY, Jang SG, Ock MS, Lee SI. Promoting awareness of patient safety and patient engagement through patient safety education for the general public: Pilot study.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2018;44(3):65-88. 

  17. Elder NC, Regan SL, Pallerla H, Levin L, Post D, Cegela DJ.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seniors' patient safety health beliefs: The Seniors Empowerment and Advocacy in Patient Safety (SEAPS) survey.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2007;69(1-3):100-107. https://doi.org/10.1016/j.pec.2007.07.007 

  18. Halligan M, Zecevic A. Safety culture in healthcare: A review of concepts, dimensions, measures and progress. BMJ Quality & Safety. 2011;20(4):338-343. https://doi.org/10.1136/bmjqs.2010.040964 

  19. Park MJ, Kim IS, Ham YL. Development of a perception of importance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scale (PI-PSM) for hospital employe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3;13(5):332-341. https://doi.org/10.5392/JKCA.2013.13.05.332 

  20. Yoon SH, Kim B, Kim S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Patient Safety Culture Scale for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3):379-388. https://doi.org/10.4040/jkan.2013.43.3.379 

  21. Park AY, Kim JO. A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the Student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Knowledge, Skills, Attitud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8;16(2):479-488. https://doi.org/10.14400/JDC.2018.16.2.479 

  22. Giles SJ, Lawton RJ, Din I, McEachan RR. Developing a patient measure of safety (PMOS). BMJ Quality & Safety. 2013;22(7):554-562. https://doi.org/10.1136/bmjqs-2012-000843 

  23. Pyo JH, Lee W, Jang SG, Choi EY, Ock MS, Lee SI. Does the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satisfy those who have been harmed? Korean Journal of Medicine Ethics. 2019;22(4):321-340. 

  24. Lee KJ, Lee HJ, Oh KJ. Using fuzzy-neural network to predict hedge fund survival.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15;26(6):1189-1198. https://doi.org/10.7465/jkdi.2015.26.6.1189 

  25. Kang SH, Choi SH. Group classification on management behavior of diabetic mellitu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1;12(2):765-774. https://doi.org/10.5762/kais.2011.12.2.765 

  26. Andrew PJD, Sleeman DH, Statham PFX, McQuatt A, Corruble V, Jones PA, et al. Predicting recovery in patients suffering from traumatic brain injury by using admission variables and physiological data: A comparison between decision tree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Journal of Neurosurgery. 2002;97(2):326-336. https://doi.org/10.3171/jns.2002.97.2.0326 

  27. Kim HK, Jeong SH, Kang HC. Identification of subgroups with lower level of stroke knowledge using decision-tree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4;44(1):97-107. https://doi.org/10.4040/jkan.2014.44.1.97 

  28. Kang SJ, Park JY. Patient safety perception and patient participation among hemato-oncology patients. Asian Oncology Nursing. 2019;19(4):224-232. https://doi.org/10.5388/aon.2019.19.4.224 

  29. Kim JE, Shin KA, Shin MK, Shin JJ, Lee HH. Challenges in Korea hospital accreditation: Focused on post-accreditation management system. Quality Improvement in Health Care. 2018;24(1):1-8. https://doi.org/10.14371/QIH.2018.24.1.1 

  30. Hwang SH, Kim MH, Park CS. Patient safety practices in Korean hospitals. Quality Improvement in Health Care. 2016;22(2):43-73. https://doi.org/10.14371/QIH.2016.22.2.43 

  31. Moon S, Lee JA. Correlates of patient safety performance among nurses from hospitals with less than 200 bed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7;29(4):393-405. https://doi.org/10.7475/kjan.2017.29.4.393 

  32. Ock MS, Jo MW, Choi EY, Lee SI. Patient safety incidents reported by the general public in Korea: A cross-sectional study. Journal of Patient Safety. 2020;16(2):e90-e96. https://doi.org/10.1097/PTS.0000000000000509 

  33. An JO, Kim SJ, Park SH, Moon KT, Park EC. The effects of patient education on patient safety: Can we change patient perceptions and attitudes?: Lessons from the Armed Forces Capital Hospital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17;29(3):392-398. https://doi.org/10.1093/intqhc/mzx037 

  34. Pinto A, Vincent C, Darzi A, Davis R. A qualitative exploration of patients' attitudes towards the 'Participate Inform Notice Know' (PINK) patient safety video.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13;25(1):29-34. https://doi.org/10.1093/intqhc/mzs07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