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관절 치환술 환자에 적용한 전침치료: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Electoacupuncture for Patients Undergoing Hip Arthroplas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 JKMR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30 no.4, 2020년, pp.105 - 117  

오은미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홍수민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김호걸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이은정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electroacupuncture for patients with hip arthroplasty. Methods According to participants,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study design, we searched for clinical studies that conducted electroacupuncture for patients with hi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등이 순서대로 빈용되었다. 이를 통해 술 후 합병증 발생 및 수술 주위기 환자의 활력징후와 염증활성상태 등과 관련하여 전침치료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함을 알 수 있었다.
  • 총 11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한 결과 고관절 치환술 환자에게 전침치료 시행 시 통상치료만 시행한 대조군에 비해 수술 시 마취제 총 투여량과 수술 후 부작용 발생률, 수술 전후 인지장애 발생률, 수술 후 정신장애 발생률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수술 주위기의 고관절 치환술 환자에게 전침치료를 제안해보는 바이다.
  • 하지만 완과침, 이침, 전침, 일반 침치료 등의 각 중재방식에 따라 분석에 포함된 연구 수가 적어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보였다8). 이에 저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상기 연구 이후 발표된 국내외 임상연구를 추가적으로 수집하였고 전침치료가 일반 침치료에 비해 진통효과가 뛰어나며9) 국내 임상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침치료 중 전침치료의 객관적인 임상 치료 근거를 알아보기 위해 고관절 치환술 환자에 적용한 전침치료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관절 치환술이란? 고관절 치환술은 강직성 척추염으로 유발된 고관절 골성 강직, 골다공증으로 인한 고관절 골절, 류마토이드 혹은 퇴행성 관절염의 진행이 과도한 경우,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로 퇴행성 변화가 일어났거나 골두의 함몰이 심한 경우1) 등을 포함하여 동통 및 기능장애가 보존적 처치로 호전되지 않을 때 시행하는 최종적인 수술법이다. 고관절 치환술의 경우 수술 시 조직손상의 정도가 심하고 수술시간이 길어 회복과 재활에 필요한 시간이 비교적 긴 편으로 그 주요한 원인으로는 술 후 유발된 내과적인 문제, 건측의 관절 구축, 울혈성 심부전, 염증, 지속적인 동통 등이 있으며1) 골시멘트 삽입, 확공, 인공물 삽입 시 발생되는 심부정맥 혈전증, 지방 및 혈전 색전증 등과 같은 합병증의 위험성2)이 있다.
고관절 치환술은 수술 후 회복과 재활에 필요한 시간이 긴 원인은? 고관절 치환술은 강직성 척추염으로 유발된 고관절 골성 강직, 골다공증으로 인한 고관절 골절, 류마토이드 혹은 퇴행성 관절염의 진행이 과도한 경우,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로 퇴행성 변화가 일어났거나 골두의 함몰이 심한 경우1) 등을 포함하여 동통 및 기능장애가 보존적 처치로 호전되지 않을 때 시행하는 최종적인 수술법이다. 고관절 치환술의 경우 수술 시 조직손상의 정도가 심하고 수술시간이 길어 회복과 재활에 필요한 시간이 비교적 긴 편으로 그 주요한 원인으로는 술 후 유발된 내과적인 문제, 건측의 관절 구축, 울혈성 심부전, 염증, 지속적인 동통 등이 있으며1) 골시멘트 삽입, 확공, 인공물 삽입 시 발생되는 심부정맥 혈전증, 지방 및 혈전 색전증 등과 같은 합병증의 위험성2)이 있다. 또한 고령화 시대에 진입함에 따라 고관절 치환술을 시행하는 만성질환을 동반한 고령의 환자가 많으므로 수술 후 이환율과 사망률을 증가시킬 위험성이 있어 적절한 마취방법을 선택3)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침요법의 특징은? 전침요법이란 2개 이상의 경혈에 자침 후 침병에 약한 전류를 통과시켜 침자극과 함께 전기적 자극을 주는 치료방법이다. 진통효과가 단순 침요법보다 우수하다는 보고가 있으며 수술 후, 분만 시, 급⋅만성 통증의 통증 완화를 위해 응용되며 침술마취에도 사용된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Korean Orthopedic Association. Orthopaedics. 7th ed. Seoul:ChoiSin medical Publishing Co. 2013:266, 308, 314, 949, 956, 1683-4. 

  2. The Kore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Anesthesia. 1st ed. Seoul:Kunja Publishing Inc. 2002:1985-2011. 

  3. Yu EY, Kim JH, Baik HJ, Kim YJ. The perioperative anesthetic management of total knee or hip replacement arthroplasty: a retrospective study. Korean J Anesthesiol. 2006;51(6):701-8. 

  4. Thompson R, Kane RL, Gromala T, McLaughlin B, Flood S, Morris N, Borbas C. Complications and short-term outcomes associated with total hip arthroplasty in teaching and community hospitals. J Arthroplasty. 2002;17(1):32-40. 

  5. Cushner F, Agnelli G, FitzGerald G, Warwick D. Complications and functional outcomes after total hip arthroplasty and total knee arthroplasty: results from the Global Orthopaedic Registry (GLORY). Am J Orthop (Belle Mead NJ). 2010;39(9 Suppl):22-8. 

  6. Saleh KJ, Kassim R, Yoon P, Vorlicky LN. Complications of total hip arthroplasty. Am J Orthop (Belle Mead NJ). 2002;31(8):485-8. 

  7.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8 Major operation statistical yearbook [Internet] 2019 [cited 2019 Dec 19]. Available from: URL: http://www.nhis.or.kr. 

  8. Shin HR. Acupuncture for perioperative care of total hip arthroplas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dissertation]. Iksan: Wonkwang University; 2019. 

  9. The Korean Academy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Medicine. Th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medicine. Seoul:Hanmi Medical. 2016:142-3, 678-80, 768-9. 

  10.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NECA, NECA'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or intervention. Seoul: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011:30, 66, 82-5. 

  11. Gu XH, Liu PR, Li C, Sun HF, Cao DP, Li SB, Lu HJ, Ma WW, Hong C, Chen XC. Effects of combined acupuncture-drug anesthesia on tolerance and postoperative psychonosema in artificial femoral head replacement of elderly patients. SH J TCM. 2018;52(1):54-7. 

  12. Li JF, Zhang K. Effects of combined acupuncture-drug anesthesia on tolerance and postoperative psychonosema in artificial femoral head replacement of elderly patients. Clinical Research. 2019;27(4):137-8. 

  13. Qu N, Wang XJ, Su YL.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analysis of acupuncture combined with general anesthesia in elderly hip replacement. Liaoning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9;46(4):836-8. 

  14. Bai D, Zhang H.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cupuncture-assisted anesthesia in the elderly hip joint replacement. China Modern Doctor. 2019;57(14):108-11. 

  15. Liu PR, Peng S, Han ZX, Zhang Y, Diao S.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at "four close" points on cognitive function in elderly patients with hip replacement. Journal of Tongji University. 2017;38(6):67-71. 

  16. Liu PR, Han ZX, Zhang Y, Gui M, Diao S.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on immune function, adrenal stress and cognitive function in elderly patients undergoing hip replacement. Guiding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Pharmacy. 2018;24(8):95-8, 105. 

  17. Zhang LY, Zhang GX, Wang DH, Liang X, Qiu LL, Jin YJ, Dai G, Liu HP, Xue JJ. A study on perioperative TEAS in the prevention of deep venous thrombosis after total hip replacement. Western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9;32(8):104-7. 

  18. Xu XK. Clinical research on prevention of DVT after THA by electro-acupuncture and systematic evaluation of prevention by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dissertation]. Guangzhou:Guangzhou University; 2019. 

  19. Xu QG, Jiang L, He X, Chen DQ.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at "Siguan" points on postoperative cognitive function and serum HIF-1A in elderly patients with hip replacement. Journal of Guizhou Medical University. 2019;44(11):1320-4. 

  20. Yang LZ, Zhang CL, Zhu HS. Clinical study of perioperative electroacupuncture intervention in postoperative delirium in hip replacement surgery patients. Shanghai J Acu-mox. 2017;36(3):300-2. 

  21. Xie FL, Xu ZF, Xiong XH. Effect of mental tri-needle electro-acupuncture on postoperative cognitive function in elderly patients after hip joint replacement surgery. Journal of Guangzhou Universit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6;33(6):813-7. 

  22. The Korean Academy of Clinical Geriatrics. Practice of geriatrics. 1st ed. Seoul: Hanuri. 2003:467-73. 

  23. Mantilla CB, Horlocker TT, Schroeder DR, Berry DJ, Brown DL. Frequency of myocardial infarction, pulmonary embolism, deep venous thrombosis, and death following primary hip or knee arthroplasty. Anesthesiology. 2002;96(5):1140-6. 

  24. Brauer C, Morrison RS, Silberzweig SB, Siu AL. The cause of delirium in patients with hip fracture. Arch Intern Med. 2000;160(12):1856-60. 

  25. Flinn DR, Diehl KM, Seyfried LS, Malani PN. Prevention,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ostoperative delirium in older adults. J Am Coll Surg. 2009;209(2):261-8;quiz 94. 

  26. Francis J, Martin D, Kapoor WN. A prospective study of delirium in hospitalized elderly. JAMA. 1990;263(8):1097-101. 

  27. Inouye SK. Prevention of delirium in hospitalized older patients: risk factors and targeted intervention strategies. Ann Med. 2000;32(4):257-63. 

  28. Marcantonio ER, Goldman L, Mangione CM, Ludwig LE, Muraca B, Hauslauer CM, Donaldson MC, Whittemore AD, Sugarbaker DJ, Poss R. Haas S, Cook EF, Orav EJ, Lee TH. A clinical prediction rule for delirium after elective noncardiac surgery. JAMA. 1994;271(2):134-9. 

  29. Filos KS, Lehmann KA. Current concepts and practice in postoperative pain management: Need for a change? Eur Surg Res. 1999;31(2):97-107. 

  30. Follin SL, Charland SL. Acute management: operative or medical procedures and trauma. Ann Pharmacother. 1997;31(9):1068-76. 

  31. Block BM, Liu SS, Rowlingson AJ, Cowan AR, Cowan JA, Wu CL. Efficacy of postoperative epidural analgesia: a meta-analysis. JAMA. 2003;290(18):2455-63. 

  32. Burstal R, Wegener F, Hayes C, Lantry G. Epidural analgesia: prospective audit of 1062 patients. Anaesth Intensive Care. 1998;26(2):165-72. 

  33. Capdevila X, Barthelet Y, Biboulet P, Ryckwaert Y, Rubenovitch J, d'Athis F. Effects of perioperative analgesic technique on the surgical outcome and duration of rehabilitation after major knee surgery. Anesthesiology. 1999;91(1):8-15. 

  34. Horlocker TT, Cabanela ME, Wedel DJ. Does postoperative epidural analgesia increase the risk of peroneal nerve palsy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Anesth Analg. 1994;79(3):495-500. 

  35. Horlocker TT, Hebl JR, Kinney MA, Cabanela ME. Opioid-free analgesia following total knee arthroplasty-a multimodal approach using continuous lumbar plexus(psoas compartment)block, acetaminophen, and ketorolac. Reg Anesth Pain Med. 2002;27(1):105-8. 

  36. Horlocker TT, Wedel DJ. Neuraxial block and low-molecular-weight heparin: balancing perioperative analgesia and thromboprophylaxis. Reg Anesth Pain Med. 1998;23(6 Suppl 2):164-77. 

  37. Ready LB. Acute pain: lessons learned from 25,000 patients. Reg Anesth Pain Med. 1999;24(6):499-505. 

  38. Peilin S. Management of postoperative pain with acupuncture. USA:Elsevier. 2007:13-4, 215-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