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41 no.5, 2020년, pp.520 - 530
조규성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박경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이 연구의 목적은 진안·무주 국가지질공원의 안내 표지판에 제시된 용어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학생 219명(초등학교 147명, 중학교 41명, 고등학교 31명)을 대상으로 지질공원에 대한 인식 수준, 안내 표지판의 유용성에 대한 인식, 그리고 국가지질공원에 설치된 안내판에 제시된 용어에 대한 이해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때 학생들의 용어에 대한 이해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지질명소에 설치된 대표적인 안내 표지판 10개를 선정하고 전체 내용을 텍스트 형태로 변환하였으며, 전문가 3인과의 논의를 통해 핵심 용어 256개를 추출한 후 학생들에게 제시하여 이해 정도를 파악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지질공원에 대한 인식 수준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홍보와 교육적 접근이 필요해 보인다. 둘째, 학생들은 안내판에 대해 흥미를 보이지 않았으며 내용이 많고 어려워 이해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256개의 용어 중에서 학생들이 이해하기 어려워하는 용어의 수는 초등학생 80개, 중학생 53개, 고등학생 31개로 나타나 학교 급이 높아지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때 용어를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는 초등학생은 교육과정에서 아직 배우지 않은 용어이기 때문이며, 중·고등학생은 전문 용어와 한자어에 대한 이해의 어려움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질공원의 안내 표지판은 학생 및 방문객들이 보다 이해하기 쉽도록 한자어를 쉽게 풀어 쓰거나 전문 용어에 대한 추가 설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terms presented on the information board in the Jinan-Muju National Geopark.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19 students (147 elementary, 41 middle, and 31 high school students) to determine the level of their perc...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지질공원은 어떤 공원을 말하는가? | 지질공원(geopark)은 지구과학적인 특징을 보여주는 지역을 보호하거나 교육 및 관광을 목적으로 활용하는 것 이외에 역사, 문화, 생태, 고고학적 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공원으로서 유네스코(UNESCO)가 지정한 3대 보호 제도 중 하나이다(Lee, 2010). 지질공원은 국립공원과는 달리 재산권에 대한 규제가 없을 뿐 아니라 지질유산을 교육과 관광 산업에 활용함으로써 많은 관광객들의 유치를 통해 지역 주민의 소득 향상은 물론 지역 주민과 함께 하는 지질유산의 보전 효과가 입증되면서 여러 지방자치단체가 국가지질공원으로 인증받기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Cho et al. | |
본 연구결과, 학생들의 지질공원에 대한 인식과 안내 표지판의 유용성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도출한 결론은? | 첫째, 학생들의 지질공원에 대한 인식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거주 지역에 위치한 지질공원에 대해서도 잘 모르고 있었을 뿐 아니라 앞으로도 이에 대한 흥미와 관심도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지질공원을 방문해 본 학생의 경우도 대부분 가족끼리 여가를 즐기기 위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과학 교육과정에서도 지질공원이 주요한 탐구 활동 요소로 많이 활용되고 있을 뿐 아니라 실생활 속에서의 과학 탐구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만큼 지질공원에 대한 홍보를 통해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도하고, 이를 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질공원의 지질명소에 설치된 안내판과 관련하여 학생들은 안내판에 대해 많은 흥미를 보이지 않았으며, 안내 표지판에 제시된 내용의 과다, 용어의 어려움, 그림이나 디자인의 질적 부족, 안내 표지판에 대한 관리 부족으로 인해 활용도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안내판의 설명을 쉽고 간결하게 하고 적절한 그림 등을 사용하거나 다양한 패턴의 안내판을 창안하고 적극적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안·무주 지질공원의 지질명소에 제시된 대표적인 10개의 안내판에서 256개의 용어를 추출하여 학생들의 이해 정도를 알아본 결과 초등학교 과반 이상의 학생이 176개의 용어에 대해 알고 있다고 했고 80개의 용어를 모른다고 응답하였으며, 중학교와 고등학교 과반 이상의 학생이 알고 있는 용어는 203개, 225개로 증가한 반면, 배우지 않았거나 모르는 용어는 53개, 31개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
국가지질공원의 해설 매체 중 안내 표지판은 어떤 역할을 하며, 어떤 효과가 있는가? | 국가지질공원은 교육 목적에 따라 지질공원 내에 자연 관찰로, 안내 표지판, 안내지도, 학습 체험관과 같은 해설 매체를 갖추고 있는데, 이 중 안내 표지판은 방문객들이 지질명소를 관찰할 때 가장 처음 접할 뿐 아니라 직접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지질명소의 지질학적 가치에 대한 교육적 효과가 큰 해설 매체라 할 수 있다(Kim and Hong, 2016; Lee and Shin, 2019; Lee et al., 2019). 그렇기 때문에 안내 표지판의 내용을 이해하기 쉽도록 제시함으로써 지질학적 지식이 거의 없는 방문객들의 흥미와 관심을 끌 수 있어야 하며, 이를 통해 지질공원의 교육적 목적이 충실히 달성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Bae, S.G. and Choo, C.O., 2016, Geological heritage of the Ulleungdo.Dokdo National Geopark and its management system.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2, 739-761. (in Korean)
Cho, H.S., Kang, H.C., Kim, J.S., Cheong, D.K., Paik, I.S., Lim, H.S., Choi, T.J., Kim, H.J., Roh, Y., Cho, K.S., Huh, M., and Shin, S.W., 2019, Assessment of the value and distribution of geological heritages in Korea: Jeolla Province.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8, 319-345. (in Korean)
Cho, K.S., Kim, C.B., Kwon, C.W., and Hong, D.P., 2016, The valuation of geosites and geoheritages in the Buan volcanics of Byeonsanbando National Park.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7, 79-88. (in Korean)
Cho, K.S., Hong, D.P., and Park, K.J., 2015, Exploring geosites considering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Gochang-gun area, Korea. Journal of the Korea Earth Science Society, 36, 341-350. (in Korean)
Cho, K.S., Park, K.J., and Ryang, W.H., 2014, Geotourism and educational utilization of the geosites in the Byeonsanbando National Park.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0, 107-120. (in Korean)
Choi, Y.S. and Kim, C.J., 2020, Applying of learning in geological field trip utilizing scientific models and modeling using National Geo-park the Hantan-River. School Science Journal, 14, 175-192. (in Korean)
Hwang, J.H. and Choi, P.Y., 2012, Tectonic deformation and sequence of the Jinan Basin.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8, 241-248. (in Korean)
Kang, H.C., Kim, H.J., Paik, I.S., Cho, H.S., Kim, J.S., Shin, S.W., Cheong, D.K., Lim, H.S., Shin, D.B., and Lee, C.H., 2016, Geological heritages of the candidate site for National Geopark around the west coast of Chungcheongnam-do Province, Korean: Characteristics and value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2, 665-689. (in Korean)
Kang, K.R., Cho, H.S., Kim, H.J., Kim, S.W., Son, M., Kim, J.S., and Paik, I.S., 2014, The value of the Busan National Geopark's geosites and geoheritages: A case study focused on geotrail.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0, 21-41. (in Korean).
Kim, J.Y. and Hong, S.J., 2016, The application of portable tourist information sign as an alternative. Journal of Kyonggi Tourism Research, 25, 57-77. (in Korean)
Kim, T.H. and Lim, J.D., 2016, Research on activation plan of national geoparks through analysis on education programs of National Geopark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2, 609-621. (in Korean)
Lee, D.S. and Nam, K.S., 1969, Geological report of the Janggi-Ri sheet (1:50,00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Mineral Resource.
Lee, J.K. and Shin, D.H., 2019, Analysis of educational signboards in the national geoparks for the educational us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5, 703-726. (in Korean)
Lee, J.K, Woo, K.S., and Lee, H.K., 2019, Present status and future improvement directions of educational signboards at geoheritage sites in protected areas of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5, 37-57. (in Korean)
Lee, S.H. and Chough, S.K., 1999, Progressive changes in sedimentary facies and stratal patterns along the strike-slip margin, northeastern Jinan Basin (Cretaceous), southwest Korea: Implications for differential subsidence. Sedimentary Geology, 123, 81-102.
Lee, S.J., 2010, Study on trend and prospect for national geopark. The 6th Symposium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95-110. (in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2015,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278 p. (in Korean)
National Geopark of Korea, 2020, https://www.koreageoparks.kr/ (September 2 2020).
Noh, B.S., Ryang, W.H., and Cho, K.S., 2009, The responses of elementary teachers and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geological fieldwork in the area of Mai mountain.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0, 869-882. (in Korean)
Oh, C.H., Lee, B.C., Lee, S.H., Kim, M.D., Lee, B.Y., and Choi, S.H., 2016, The tectonic evolution and important geoheritages in the Jinan and Muju area, Jeollabuk-do.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2, 709-738. (in Korean)
Park, B.S. and Lee, Y.J., 1969, Geological report of the Mupung sheet (1:50,00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Mineral Resource.
Park, S.H. and Eom, S.H., 1995, A study on the usage pattern of tourist information media by Koreans and foreigners. Journal of Kyonggi University, 37, 417-440. (in Korean)
Ryu, W.S. and Moon, C.K., 2016, The analysis of survey on the awareness of National Geopark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2, 561-574. (in Korean)
Shin, Y.J. and Cho, K.S., 2020, An analyses of the terms used in the information boards of geosites at Jeonbuk west coast National Geopark.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41, 40-47. (in Korean)
Woo, K.S., 2013, Report on the promotion of four cities . county's geosites tourism and experiential learning and the survey of major locations. Korea Cave Research Institute, 490 p. (in Korean)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