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대면 대학 수업환경에서의 교수-학습 전개 과정 탐색: [창업기초] 유아교육과 학습사례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Process of Teaching-Learning in a Non-Face-to-Face University Classroom Environment: [Entrepreneurship Foundation] Focusing on learning cases i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11, 2020년, pp.398 - 411  

박지은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  박정환 (제주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 환경에서 시작된 비대면 학습이 대학수업에서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비대면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 범위는 대학에서 코로나19 상황에 직면한 비대면 수업사례의 학습전개 과정을 수업 및 학습내용, 상호작용, 과제활동, 수업환경의 교수-학습활동으로 분석하였다. H대학교 유아교육과 1학년 학생의 창업기초 교과목 수강생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내용으로 창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둘째, 교수학습과정을 탐색한 결과 학생들이 학습내용을 이해하거나 학습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어서 대면 교수-학습과 비대면 교수-학습과 큰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없다. 셋째, 비대면 교수-학습에서 가장 아쉬운 것은 상호작용 활동이며, 이로써 과제수행에 있어 어려움을 호소했다. 넷째, 학생들은 새로운 비대면 교수-학습 환경에 적응하여 마무리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비대면 교수학습 모델 개발이 필요하며, 대학 및 정부차원에서 비대면 환경 플랫폼을 구축하고, 온·오프라인을 포함하는 교육적 상호작용 시스템이 필요할 수 있다는 논의를 바탕으로 새로운 시각과 접근을 다룰 수 있는 연구들이 지속되어야 함을 밝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d the case of non-face-to-face classes at colleges initiated in the Corona 19 environment. The scop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earning development process of the non-face-to-face class case facing the Corona 19 environment in university classrooms in terms of class and lear...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창업기초 교과목 사례에서 비대면 상황에서 교수-학습 전개 과정의 강의내용, 학습활동, 과제, 평가 내용을 탐색하여 비대면 교수-학습에서의 교수활동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코로나19 특수한 환경에서 비대면 교수-학습 사례분석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한다.
  • 본 연구는 비대면 교수-학습이 진행되는 2020학년도 1학기 대학에서 학습자가 인식하는 비대면 교수-학습의 경험을 탐색하는 것이다. 73명의 학습자가 수업 진행 상황에서 직접 작성한 평가내용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수강생을 대상으로 학습자들이 인식하는 비대면 교수-학습에 대한 학습효과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자료를 수집하였다.
  • 본 연구는 코로나19 환경에서 시작된 대학의 비대면 수업 사례를 분석하여 비대면 수업이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추후 비대면 수업을 연구하는 이론적 토대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대학에서 코로나19 상황에 직면한 비대면 수업사례를 경험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비대면 교수-학습과 과제물들을 통한 학습 전개 과정 즉 수업 및 학습 구성, 상호작용, 과제활동, 수업환경 등 교수-학습활동의 전개과정을 탐색하고자 한다.
  • 비대면 교수-학습의 경우 교실 환경이 아닌 온라인 환경이지만 충분히 학습자들의 학습을 도울 수 있는 형태의 비대면 교수-학습을 이끌어가고자 하였다. 그들의 학습과 과제에 대하여 질문 및 의견에 해당하는 상호작용은 E-mail 외 SNS, 사이버강의실 게시판을 활용할 수 있도록 환경을 구축하였으며, 매시간 진행이 되었던 학습과 학습과제에 대해 평가사항으로 정리하도록 하였다.
  • 비대면 교수-학습환경에서의 교수-학습 전개 과정을 탐색하고 비대면 교수-학습환경과 대면 교수-학습활동을 비교・분석하여 내린 결론이다.
  • 본 연구는 코로나19 환경에서 시작된 대학의 비대면 수업 사례를 분석하여 비대면 수업이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추후 비대면 수업을 연구하는 이론적 토대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대학에서 코로나19 상황에 직면한 비대면 수업사례를 경험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비대면 교수-학습과 과제물들을 통한 학습 전개 과정 즉 수업 및 학습 구성, 상호작용, 과제활동, 수업환경 등 교수-학습활동의 전개과정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밝히고자 하는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Y. I. Bae, H. R. Shin, "COVID-19, Accelerates Untact Society", Issue & Diagnosis, No. 416, pp. 1-26, 2020. 

  2. Y. R. Choi, "A study on the emotional experiences of child care teachers and changes in their daily routine in centers after COVID-19",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22, No.1, pp.253-279, 2020. DOI: https://doi.org/10.15409/riece.2020.22.1.12 

  3. J. W. Do, "An Investigation of Design Constraints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Face-to-face course into Online Course ", Education Culture Research, Vol.26, No.2, pp. 153-173, 2020. DOI: https://doi.org/10.24159/joec.2020.26.2.153 

  4. S. M. Kim, "A Study for Development of Future School Curriculum and Educational Methods in Advanced Countries ", The Educational Research for Tomorrow, Vol.31, No.1. pp.45-65, 2018. 

  5. J. W. Cheong, B. R. Song, "Analyzing learning experience and perception in a blended entrepreneurship training program: A case study", Education Method Research, Vol.26, No.4, pp.871-898, 2014. DOI: https://doi.org/10.17927/tkjems.2014.26.4.871 

  6. H. M. Do, M. J. Kim, "Analysis of the types of in-Class Learning Activity of Flipped Classroom by the Area of College Major Field", Learner-Centered Curriculum Education Research, Vol.19, No.14, pp.1061-1085, 2019. 

  7. S. H. Lee, "Development of Evaluation Scale of Flipped-learning Course Operation Suitability in a University", Education Method Research, Vol.30, No.2, pp.147-166, 2018. DOI: https://doi.org/10.17927/tkjems.2018.30.2.1 

  8. Y. G. Paek, 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engineering (in the smart era), pp.249, Hakjisa, 2015. 

  9. S. M. Kang, "Analysis of Press Articles in Korean Media on Online Education related to COVID-19", Vol.21, No.6, pp.1091-1100, 2020. DOI: https://doi.org/10.9728/dcs.2020.21.6.1091 

  10. S. Y. Kang, H. S. Moon, J. G. Kim, B. G. Choi, "The Acceptance Intention of Online Start-up Education Systems for Start-up Process", Journal of Korean IT Service Society, Vol.17, No.4, pp.119-137, 2018. DOI: https://doi.org/10.9716/KITS.2018.17.4.119 

  11. Mager, R. F. Preparing instructional objectives (2nd ed.), Belmont, CA: David S. Lake, 1984. 

  12. Tyler, R. W. Basic principles of Curryculum and Instruc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49. 

  13. Y. M. Han, Creative logic essay (for pre-school teachers), pp.203, Uga, 2018. 

  14. H. J. Byeon, "Analysis of midterm course evaluation to investigate teaching and learning factors affecting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of the course", Education Science Research, Vol.22, No.1, pp.43-62, 2020. 

  15. Y. H. Lww, Y. J. Park, J. H. Yun, "Exploring the"Types"through Case Analysis on Operation of Distance Education in Universities Responding to COVID-19", Open Education Research, Vol.28, No.3, pp.211-234, 2020. DOI: https://doi.org/10.18230/tjye.2020.28.3.211 

  16. J. W. Seo, C, Lee, "Action-Items for training and development designers to Reinforce the learners Presence In the online-based Higher Education environment", Vol.20, No.8, pp.695-718, 2020. 

  17. Y. J. Moon, H. S. Kim, G. J. Lee, W. C. Chang, G. J. Lee, "The Influences of Learning Outcomes in Major of Higher Education with Characteristics of Teaching and Learning", Local education management, Vol.22, No.3, pp.23-45, 2019. 

  18. S. I. Han, G. Y. Lee, "Comparative Analysis of Instructors' Perception of Synchronous Online Classes: A Case Study of a University", Vol.42, No.7, pp.395-416, 2020. 

  19. J. Y. Han, C. H. Shin, "A Phenomenological Study of University Professors' Experiences of Implementing Flipped Learning Lessons",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Vol.33, No.1, pp.33-59, 2020. 

  20. S. Y. Shin, C. E. Park, "Exploring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 of online class in operating basic curriculum", Narrative and educational research, Vol.8, No.2, pp. 147-167, 2020. 

  21. Y. J. Lee, "Theoretical Explorations on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and Strategies for Vicarious Learning in E-Learning Environments", Lifelong Learning Society, Vol.14, No.4, pp.29-50, 2018. DOI: https://doi.org/10.26857/JLLS.2018.11.14.4.29 

  22. M. S. Hong, Design of Hybrid Coaching System, Ph.D dissert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p.26,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