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난피해지역 내 지역사회기반 공동체 회복 프로그램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Local-Based Community Recovery Program in Disaster Affected Areas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5 no.5, 2020년, pp.106 - 114  

이영욱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안전연구실) ,  남동엽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안전연구실) ,  정혜민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안전연구실) ,  박상현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안전연구실) ,  이지향 (국립소방연구원 소방정책연구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wo major trends that have emerged in recent years in relation to disaster recovery and recovery are 'regional infrastructure', 'regional leadership' and 'community recovery'. In the former case, it is to avoid disaster recovery and recovery by using external personnel and resources, and to maxi...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외 사례를 통해 재난복구⋅회복 분야에 있어 국제적 추세를 살펴보고, 국내에서 추진되고 있는 이 같은 프로그램들의 한계점을 도출하고자 했다.
  •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재난지역의 공동체 회복과 관련한 국외 사례를 검토한 후 현재 추진 중인 국내 사례를 분석하여 그 한계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큰 틀로 하고 있다(Fig. 2). 먼저 국외 동향으로는 UN의 ‘센다이프레임워크’와 미국의 ‘비상관리에 대한 전(全) 공동체적 접근 매뉴얼’을 검토하기로 한다.
  • 지역경제 활성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침체된 경기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영세 소상공인들을 대상으로 경영개선을 위한 컨설팅을 실시했다. 또한 지진 이후 지역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해소하고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한 지역축제(흥해시장 기운생동(氣韻生動) 5일장 축제)를 개최했으며, 청년들을 귀향시키기 위한 ‘뉴프로 프로젝트’도 추진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J. S. Picou, B. K. Marshall and D. A. Gill, "Disaster, Litigation, and the Corrosive Community", Social Forces, Vol. 82, Issue 4, pp. 1493-1522, 2004. 

  2.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KIPA), "Conflict Management during Disaster", pp. 3-4, 2013. 

  3.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NDMI), "Research of the Factors of Life Change in Disaster Victims and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Relief Servicees", 2016. 

  4. The Kookje Daily News, 01 April, 2019. 

  5. O. S. Sim, Y. W. Sohn, S. H. Park and J. W. Yoon, "Disaster Victims' Post-trauma Risk Posttracumatic Growth and Subjective Well-bing", J. Korean Soc. Saf., Vol. 31, No. 6, pp. 105-112, 2016. 

  6. K. W. Sung, "A Study on the Network of Civilian, Enterprise, School and Government Sectors for Disaster Management", J. Korean Soc. Saf., Vol. 20, No. 4, pp.154-161, 2005. 

  7. UNISDR, "Progress and Challenges in Disaster Risk Reduction: A Contribution Towards the Development of Policy Indicators for the Post-2015 Framework on Disaster Risk Reduction, United Nations", 2014. 

  8.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NARS), "Improvement for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governance : Focused on Sendai Framework", pp. 9-16, 2017. 

  9. FEMA, "A Whole Community Approach to Emergency Management: Principles, Themes, and Pathways for Action", 2011. 

  10. The Segye Times, 11 March, 2020. 

  11. Korea Women's Development Institute(KWDI), "A Study on the Policy Issues for the Expansion of Support Services for Families in Crisis", pp. 53-65, 2014. 

  12. Korea Legislation Research Institute(KLRI), "A Regal research on Disaster Relief", pp. 75-84, 2011. 

  13. Ansan City Hall, "For the Support and Rescue of 4.16 Sewolho Disasters according to Special Act Activities and Performance Records of Ansan City 2018 Community Resilience Program", 2018. 

  14. Gyeonggi Research Institute(GRI), "A Study on Independent Growth Strategy of the Community in Sewol Ferry Areas", 2015. 

  15.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NDMI), "Disaster Victim's Life Change and Development of Disaster Relief Service", 2019. 

  16. D. K. Kim, "Conflicts with Fishing Village Residents Caused by Environmental Disaster and Social Capital: Focused on Hebei Spirit Vessel Oil Spill Accident", ECO, Vol. 1, No. 1, pp. 125-165, 2010. 

  17. FEMA, "Disaster Case Management Program Guidance", 201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