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등학교 수학교사의 평가에 대한 인식 조사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n assessment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59 no.4, 2020년, pp.295 - 312  

권나영 (인하대학교) ,  오서영 (부개여자고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등학교 수학교사의 평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비교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인천지역에 근무하는 중학교 188명, 고등학교 125명의 수학교사로부터 평가에 관한 6가지 영역과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자료는 중요도-수행도 분석기법(IPA)을 사용하여 학교급별, 경력별, 학교규모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 대부분의 영역에서 중학교 수학교사들이 고등학교에 비해 중요도와 수행도 모두 높게 나타났다. 경력별로는 경력이 높을수록 높은 중요도-높은 수행도, 낮은 중요도-낮은 수행도가 많이 나타나고. 학교규모가 클수록 낮은 중요도-높은 수행도에 다양한 의견이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and compare perceptions of middle and high school mathematics teachers on assessment. For the purpose, we developed and used a survey consisting of two parts(importance/performance on assessment and general opinion on process-based assessment). We gathered data from 1...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위와 같은 선행연구들은 과정 중심 평가에 관한 인식 조사이지만, 교사들이 생각하는 중요도와 실제 수행도에 대한 인식을 구분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평가와 관련하여 중등 수학교사가 생각하는 중요도와 실제 수행도를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고 학교 현장의 상황을 진단하여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교 수학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수학교사들이 생각하는 평가에 대한 중요도와 실제 수행도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다. 또한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일반적인 의견도 조사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이 연구는 평가에서 등장하는 새로운 용어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학교수학에서 교사들이 생각하는 평가와 실행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선행연구들로부터 평가 영역에서 평가의 목표와 목적, 평가 방법 및 유형, 평가 결과의 활용, 피드백 등이 중요함을 확인하였으므로 이 연구에서는 설문지의 주요 내용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설문지는 연구자들이 접근 가능한 지역에 직접 배포하고 수거하였기 때문에 연구대상별 자료 수집 가능 기간에 진행하였다. 고등학교의 경우는 2019년도 5월과 6월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고 중학교의 경우는 2019년 11월과 12월에 걸쳐 자료 수집이 이루어졌다.
  • 현상유지 과제는 전체 IPA 결과와 마찬가지로 가장 많은 항목들을 포함하고 있었고 경력이 높아질수록 현상유지와 후순위 과제가 많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는 경력별 수학교사들이 변화를 원하고 있는 부분을 확인해 보기 위해 대부분의 과제가 나타났던 현상유지 외에 다른 과제들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겠다.
  •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과정 중심 평가의 실행 확대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수학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인천지역 중학교와 고등학교 수학교사 313명을 대상으로 평가의 목적이나 유형, 적절성, 평가 결과 활용 방법이나 피드백, 최근 교육에서 강조하는 핵심역량 등의 영역에서 수학교사가 생각하는 중요도와 실제 수업에서 수행도에 대한 인식과 과정 중심 평가에 관한 일반적인 인식을 살펴보았다.
  • 이 연구는 양적 연구방법인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인천 광역시 소재 중·고등학교 수학교사를 대상으로 평가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질문하였다.
  • 최근 강조되는 과정중심평가에서 교육과정 및 수업과 평가를 연계해야 한다는 주장들을 고려한다면 실제 실행되는 수업 과정에 평가를 함께 하는 연구들이 필요한 것이다. 이 연구는 평가에서 등장하는 새로운 용어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학교수학에서 교사들이 생각하는 평가와 실행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선행연구들로부터 평가 영역에서 평가의 목표와 목적, 평가 방법 및 유형, 평가 결과의 활용, 피드백 등이 중요함을 확인하였으므로 이 연구에서는 설문지의 주요 내용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이 연구는 학교규모에 따른 인식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학급수별로도 중요도와 수행도를 살펴보았다. 비교를 위해 연구 대상자인 중·고등학교 수학교사들이 일하는 학교의 전체 학급 수를 소규모(20학급 이하), 중규모(21학급 이상~30학급 이하), 대규모(31학급 이상)로 구분하였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교 수학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수학교사들이 생각하는 평가에 대한 중요도와 실제 수행도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hn, S. (2018). Characteristics of R&D demonstration projects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through IPA analysis. KISTEP Issue Weekly, KISTEP 2018-26(24). 

  2. Ban, J. C., Kim, S., Park, C., & Kim, H. K. (2018). Teachers' perceptions on the teacher by teacher process fortified assesment policy.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1(3), 105-130. 

  3. Choi, S. H., Lee, D. G. & Kim, D. J. (2017). Teacher-friendly Education for Process-focused Assessment and Teacher Cognition.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3(2), 1-23. 

  4. Chung, S. K., Lee, K. H., Yoo, Y. J., Shin, B. M., Park, M. M. & Han, S. Y. (2012). A survey of teachers' perspectives on process-focused assessment in school mathematic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3), 401-427. 

  5. Hong, S. H., Chang, I. S. & Kim. T. S. (2017).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of Process-Centered Evaluation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5(4), 47-69. 

  6. Hwang, Y. H. & Kim, S. H. (2018). The Recognition and Needs of Mathematics Teachers for Instruction and Assessment to Enhance Mathematical Competency.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8(4), 651-669. 

  7. Jeon, K. (2016). Direction and tasks of process fortified assesment polic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ssue Paper, CP2016-02-4. 

  8. Jeon, Y. J. & Lee, J. H. (2019). Process-Focused Assessment for Mathematical Subject Competency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22(3), 199-219. 

  9. Kang, D. I. & Jung, C. G. (2018). What is process-based assessment? Seoul: Eduniety. 

  10. Kang, H. Y., Ko, E. S., Lee, D. H., Lee, H. Y., Tak, B.J., Cho, J. W., & Kim, S. H. (2018). A Study on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Mathematics Teachers about Process-Focused Assessment.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8(3), 321-343. 

  11. KICE (2016). How do you implement performance assessment related to lessons (ORM2016-9). 

  12. KICE (2017). How do you implement performance assesment focusing on process?. KICE ORM 2017-19-2. 

  13. Kim, Y. K. (2017). Action Research on Math Competencies-oriented Assessment of Integrated Instruction.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21(1), 93-13. 

  14. Kim, J. M. (2018). The Concept and Educational Implication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20), 839-859. 

  15. Lee, K. H., Kang, H. Y., Ko, E. S., Lee, D. H., Shin, B. M., Lee, H. C. & Kim, S. H., (2016). Exploration of the direction for the practice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6(4), 819-834. 

  16.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 Kofac (2012). A study on process-focused assessment in school mathematics, MOE 2012-1. 

  17.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 Kofac (2017).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mathematics teacher about progressive assessment, MOE BD1802002. 

  18. Ministry of Education & KICE (2018). Investigation of the Application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Middle & High school) - Focused on the diversification of Instruction and Learning Methods, MOE 2018-21. 

  19. Oh, S. Y., Kwon, N. Y. & Kim, S. M. (2019). Perceptions of High Schol Mathematics Teachers on Process-focused Assessment,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9(4), 507-524. 

  20. Pang, J., Sunwoo, J., Cho, S., Lee, Y., Kim, E., Kim, Y., ..., Lee, H. (2019). Domestic research trends of mathematics education: An analysis of journals published fro 1963 to 2019.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9(4), 709-739. 

  21. Park, C. (2017). A Meaning of Assessment in Classroom.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30(3), 397-413. 

  22. Seo, J. (2007). The effects of learning mathematics according to feedback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0(1), 71-89. 

  23. Shin, B. M. & Lee, K. E. (2018). A Study on the Examination Case of a Process-Focused Assessment Instrument in a Teachers' Learning Community.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1(4), 73-98. 

  24. Shin, H. J., Ahn, S. Y., & Kim, Y. W. (2017). A policy analysis on the process-based evaluation - focusing on middle schol teachers in Seoul.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0(2), 135-1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