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WAT 모델을 이용한 강우특성 변화에 의한 퇴적물-유출량 간의 관계 평가
Assessment of Relationship between Sediment-Discharge Based on Rainfall Characteristic using SWAT Model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26 no.6, 2021년, pp.118 - 129  

김지수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사범대학 사회교육학과) ,  김민석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연구본부) ,  조용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연구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ediment transportation caused by soil erosion due to rainfall-discharge in the large watershed scale plays critical role in human society. The relationship between rainfall-discharge-sediment transportation is depending on the start time of rainfall and end of rainfall but, the studies related ...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본 연구에서는 강우 입력 매개변수에 대해 기존의 일 단위 강우산정법을 이용한 SWAT 결과와 강우의 시점과 종점을 고려하여 일 단위 강우자료를 재생산한 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소옥천 유역을 대상으로 유량과 퇴적 물량 간의 결과를 평가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 소옥천 유역의 정확한 유사량과 탁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자동 Sampler(ISCO Sampler 6712)를 연구지역 내 설치하여 Suspended Sediment(SS)를 채취 후 실험을 통하여 국립환경과학원 수질측정망에서 제공하는 탁도(NTU)를 SS(mg/L)의 단위로 환산하였다. 모형의 검보정 계산을 위한 유량자료는 소옥천 하류지역 옥각교에 설치된 금강홍수통제소의 10분 단위의 T/M자료를 이용하여 일평균 유량을 재산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 지형 자료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1:5,000 수치지형도의 등고선과 하천중심선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ArcGIS 10.4의 Topo to raster 도구를 사용하여 등고선에서 10m 해상도를 가지는 DEM을 생성하였고, 생성된 DEM에 하천중심선을 ArcSWAT 2012로 Burn-in하여 연구 지역을 27개의 소유역으로 분할하였다. 그리고 국립농원과학원에서 제공하는 정밀토양도와 토양통 자료,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중분류 토지피복지도와 SWAT database 자료를 중첩하여 27개의 소유역을 다시 3, 287개의 HRU 로 분할하였다(Fig.
  • 4의 Topo to raster 도구를 사용하여 등고선에서 10m 해상도를 가지는 DEM을 생성하였고, 생성된 DEM에 하천중심선을 ArcSWAT 2012로 Burn-in하여 연구 지역을 27개의 소유역으로 분할하였다. 그리고 국립농원과학원에서 제공하는 정밀토양도와 토양통 자료,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중분류 토지피복지도와 SWAT database 자료를 중첩하여 27개의 소유역을 다시 3, 287개의 HRU 로 분할하였다(Fig. 3).
  • 소옥천 유역의 정확한 유사량과 탁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자동 Sampler(ISCO Sampler 6712)를 연구지역 내 설치하여 Suspended Sediment(SS)를 채취 후 실험을 통하여 국립환경과학원 수질측정망에서 제공하는 탁도(NTU)를 SS(mg/L)의 단위로 환산하였다. 모형의 검보정 계산을 위한 유량자료는 소옥천 하류지역 옥각교에 설치된 금강홍수통제소의 10분 단위의 T/M자료를 이용하여 일평균 유량을 재산정하였다.
  • 유량 자료와 퇴적물량 자료는 2009년부터 2017년까지 구축되었으며, 퇴적물량 자료는 일부 기간(2011.01~2012.08, 2013.11~2013.02, 2015.06, 2016.01)이 누락되었다.
  • 지형 자료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1:5,000 수치지형도의 등고선과 하천중심선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ArcGIS 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bbaspour, K.C., 2013, Swat-cup 2012, SWAT calibration and uncertainty program-A user manual, Zurich, 1-106. 

  2. Bae, Y.J., Lee, H.J., Jung, B.W., and Jung, H., 2020, Korean Climate Change Assessment Report 2020,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oul, 4-7. 

  3. Chen, H., Luo, Y., Potter, C., Moran, P.J., Grieneisen, M.L., and Zhang, M., 2017, Modeling pesticide diuron loading from the San Joaquin watershed into the Sacramento-San Joaquin Delta using SWAT, Water Res., 121, 374-385, doi: 10.1016/j.watres.2017.05.032 

  4. Cheon, S.U., Lee, J.A., Lee, J.J., Yoo, Y.B., Bang, K.C., and Lee, Y.J., 2006, Relationship among inflow volume, water quality and algal growth in the Daecheong lake, J. Korean Soc. Water Environ., 22(2), 342-348. 

  5. Jang, S.S. and Kim, S.J., 2016, Comparison of Hourly and Daily SWAT Results for the Evaluation of Runoff Simulation Performance, J. Korean Soc. Agric. Eng., 58(5), 59-69, doi: 10.5389/KSAE.2016.58.5.059. 

  6. Jeon, T.W., Kim, T.S., Lee, J.J., Lee, J.W., Hwang, S.H., Shim, I.K., Shin, K.S., Choen, S.U., Shin, D.S., Lee, Y.J., Kim, M.S., Youn, J.Y., Khan, J.B., Kim, K.Y., Choi, J.W., Tae, E.A., Lee, T.H., Kim, S.W., Choi, J.Y., Ji, J.Y., and Youk, J.S., 2010, Effect Analysis of Rainfall Runoff on Embayment Water Quality in the Daecheong Lake(II),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Sejong, 1-30. 

  7. Jeong, D.H., Hong, S.H., Youn, J.H., Hong, S.Y., You, J.J., Hwang, S.H., Park, S.Y., Kim, T.S., Lee, Y.J., Khan, J.B., Youn, J.Y., Kim, K.Y., Kim, S.W., Tae, E.A., Ji, J.Y., Youk, J.S., Lee, D.H., Choi, J.Y., Maeng, J.Y., Park, Y.M., Han, A.W., Kim, H.N., Kim, M.S., Choi, J.W., Lee, T.H., and Kim, C.H., 2011, A Study on the Impact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upon Algal Blooming Area in the Daecheong Reservoi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Sejong, 1-63. 

  8. Jeong, J., Kannan, N., Arnold, J., Glick, R., Gosselink, L., and Srinivasan, R., 2010, Development and integration of subhourly rainfall-runoff modeling capability within a watershed model, Water Resour. Manag., 24(15), 4505-4527, doi: 10.1007/s11269-010-9670-4. 

  9. Kim, J.K., Onda, Y., Yang, D.Y., and Kim, M.S., 2013, Temporal variations of reservoir sediment sources in a small mountainous catchment in Korea. Earth Surf. Process, Landf., 38(12), 1380-1392, doi: 10.1002/esp.3379. 

  10. Kim, Y., 2018, Watershed Sediment Estimation Using Distributed Hydrological Model, Master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11. King, K.W., Arnold, J.G., and Bingner, R.L., 1999, Comparison of Green-Ampt and curve number methods on Goodwin Creek watershed using SWAT, Transactions of the ASAE, 42(4), 919-926, doi: 10.13031/2013.13272. 

  12. Kitahara, H., Okura, Y., Sammori, T., and Kawanami, A., 2000, Application of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USLE) to mountainous forests in Japan, J. For. Res., 5(4), 231-236, doi: 10.1007/BF02767115. 

  13. Lee, J.A., Cheon, S.U., Lee, J.W., Lee, J.J., Shim, I.K., Hwang, S.H., Shin, K.S., Shin, D.S., Lee, H., Shin, M.H., Choi, J.W., Lee, Y.J., Choi, J.W., Lee, T.H., Youn, J.Y., Kim, K.Y., Kim, S.W., Khan, J. B., Tae, Y.B., Park, S.H., Park, N. W., and Kim, C.W., 2009, Effect Analysis of Rainfall Runoff on Embayment Water Quality in the Daecheong Lake(I),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Sejong, 1-151. 

  14. Lim, Y.S., Kim, J.K., Kim, J.W., and Hong, S.S., 2014, Evaluation of suspended-sediment sources in the Yeongsan River using Cs-137 after major human impacts, Quat. Int., 344, 64-74, doi: 10.1016/j.quaint.2014.05.033. 

  15. Ministry of Environment, 2020, The second basic plan on soil conservation.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2-12. 

  16. Moriasi, D.N., Gitau, M.W., Pai, N., and Daggupati, P., 2015, Hydrologic and water quality models: Performance measures and evaluation criteria, Transactions of the ASABE, 58(6), 1763-1785, doi: 10.13031/trans.58.10715. 

  17. Neitsch, S.L., Arnold, J.G., Kiniry, J.R., and Williams, J.R., 2011,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theoretical documentation version 2009, Texas Water Resources Institute, Texas, 1-647. 

  18. Shi, W., Huang, M., Gongadze, K., and Wu, L., 2017, A modified SCS-CN method incorporating storm duration and antecedent soil moisture estimation for runoff prediction, Water Resour. Manag., 31, 1713-1727, doi: 10.1007/s11269-017-1610-0 

  19. Williams, J.R., 1975, Sediment-yield prediction with universal equation using runoff energy factor, Present and prospective technology for predicting sediment yield and sources,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Mississippi, 244-252. 

  20. Environmental Geographic Information (https://egis.me.go.kr) [accessed 21.11.30] 

  21. Korean Soil Information System (https://soil.rda.go.kr) [accessed 21.11.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문의처: helpdesk@kisti.re.kr전화: 080-969-4114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