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문화유산의 메타버스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Utilization Method of the Metaverse in Digital Heritage 원문보기

스마트미디어저널 = Smart media journal, v.10 no.4, 2021년, pp.111 - 120  

설연수 (광주과학기술원 한국문화기술연구소) ,  주정민 (전남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유종원 (전남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정부와 공공기관에서 활발하게 구축하고 있는 디지털 문화유산메타버스 서비스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살펴봤다.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불국사 디지털 문화유산을 메타버스의 4가지 요소인 증강현실, 미러월드, 라이프로깅, 버추얼월드로 어떻게 서비스할 수 있는지를 조사했다. 연구결과, 디지털 문화유산을 메타버스라는 가상공간을 활용할 경우 이용자들에게 양방향의 실감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또한 이용자들이 온라인으로 마치 현장에 있는 것과 같은 상황에서 현실에서 이용할 수 없는 부분까지 전시, 체험, 교육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디지털 문화유산을 메타버스 서비스로 설계할 경우, 이전과는 다른 차원의 기능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특히 메타버스의 네 가지 요소별 특징을 고려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첫째로 증강현실을 활용해 감각을 증강시키는 편의성을 얻을 수 있고, 둘째로 미러월드 요소로 활용해 현실공간을 재현하는 확장성과 효율성을 얻을 수 있다. 셋째로 라이프로깅 요소를 활용해 사용자의 기록과 연결을 통해 소통을 강화할 수 있으며, 넷째로 버추얼월드 요소를 통해 이용자에게 가상세계에서의 역할과 활동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해 디지털 문화유산을 메타버스 서비스로 개발한다면 이용자에게 더욱 능동적이고 개방적인 체험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looked at how the digital cultural heritage, which is being actively built by the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can be utilized in the metaverse service. Through an expert interview, we investigated how the digital cultural heritage of Bulguksa can be serviced with the four elements...

주제어

참고문헌 (16)

  1. 강인애, "온라인 학습환경으로서 가상박물관의 가능성에 대한 탐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4호, 458-470쪽, 2010년 4월 

  2. 유동환, "디지털 문화유산 연구의 현황과 전망," 문화콘텐츠연구, 제3호, 95-121쪽, 2013년 12월 

  3. 이규철, "디지털 아카이브의 발전과 구축 동향," 「건축」, 제64권, 제5호, 35-38쪽, 2020년 4월 

  4. 광주과학기술원 한국문화기술연구소, "아시아문화지도 시범기획 및 중장기계획 수립", 21-38쪽, 2020년 2월 

  5. 이병권, "메티버스(Metaverse) 세계와 우리의 미래,"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9권, 제1호, 13-17쪽, 2021년 6월 

  6. 서성은, "메타버스 개발동향과 발전전망 연구,"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1450-1457쪽, 대한민국, 2008년 

  7. 석왕헌, "메타버스 비즈니스 모델 및 생태계 분석," 전자통신동향분석, 제36권, 제4호, 81-91쪽, 2021년 8월 

  8. 김윤정, "게임과 비게임 메타버스 콘텐츠에서 나타나는 유형의 융합화에 관한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제17권, 제3호, 80-99쪽, 2021년 9월 

  9. 유갑상, 전긍, "메타버스 기반의 게임형 어학교육 서비스 플랫폼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제22권, 제9호, 1377-1386쪽, 2021년 9월 

  10. 오지희, "확장된 기술수용모델(ETAM)을 적용한 메타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가상세계 메타버스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10호, 204-216쪽, 2021년 10월 

  11. 김성희, 이현, 류원, "스마트공간과 메타버스 전시안내 기술개발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9권, 제3호, 1쪽, 2014년 6월 

  12. 안형기, 박진호, "유네스코 세계유산 트로이 유적 층위기반 인공지능형 메타버스 콘텐츠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55-56쪽, 2021년 8월 

  13. 이승환, "메타버스시대의 도래와 문화관광의 미래," 한국관광정책, 제84호, 68-71쪽, 2021년 6월 

  14. 홍익대학교 한국 불교문화유산 XR전 체험전시 개최, 서울경제TV(2021) http://www.sentv.co.kr/news/view/588380 (accessed Oct., 30, 2021). 

  15. 신동형, 미러월드-브런치(2021) https://brunch.co.kr/@donghyungshin/23 (accessed Oct., 30, 2021). 

  16. 3D 복원 불국사 청운교 아래 푸른물 흘렀다, 중앙일보(2012) https://www.joongang.co.kr/article/9567589(accessed Oct., 30, 20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