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국인 거주자의 시공간적 분포패턴 및 결정요인: 서울시 생활인구 데이터 분석
Spatio-Temporal Distribution Patterns of Foreign Population and their Determinants: Analyzing Seoul's De Facto Population Data 원문보기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12 no.1, 2021년, pp.101 - 117  

김형준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  원미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  이정민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  채호동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  박인권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외국인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사회적·경제적·정치적 측면에 있어 그 영향력이 더욱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의 지역적 특성이 외국인 인구의 시공간적 분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외국인 인구의 시공간적 분포패턴을 파악하기 위해 k-means 군집분석을 통해 주간유출·야간유입(ODIN), 주간유입·야간유출(IDON), 비식별패턴(IP) 3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이후 주중 및 주말 다항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설정하였고, 외국인의 시공간적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지역적 특성 변수는 인구, 산업구조, 도시계획, 용도지역, 주거, 체류자격 관련 변수를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주중 모형의 경우, ODIN 및 IDON유형 모두 도심지역 여부가 가장 큰 영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주거지역 면적비율 또는 방문취업(H-2)비자 비율이 높을수록 IDON유형으로 분류될 확률이 낮은 반면 ODIN유형으로 분류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외국인 인구의 직주분리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외국인 인구 관련 행정수요파악 및 정책수립 등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temporal distribution patterns of foreign population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Seoul Metropolitan area. Using the estimated de facto population data, first, Cluster analyses provide three groups of characteristics of Seoul : an outflow of d...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28)

  1. 고길곤(2017), "행정학 분야의 로지스틱 회귀분석 활용 절차와 쟁점", 현대사회와 행정, 27(4): 3-33. 

  2. 김희철.안건혁(2010), "이주회로별 수도권 외국인 거주지역 공간분포와 영향요인: 전문인력과 노동자 유형의 외국인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46(5): 233-248. 

  3. 박세훈.정소양(2009), "다문화사회의 전개에 따른 외국인의 공간분포 특성과 시사점", 국토정책Brief, 274. 

  4. 박세훈.정소양(2010), "외국인 주거지의 공간분포 특성과 정책함의", 국토연구, 64: 59-76. 

  5. 변미리.서우석(2011), "연구논문 : 도시 거리의 주간 활동인구 측정과 해석: 서울시 유동인구 조사 사례", 조사연구, 12(2): 27-50. 

  6. 서울특별시(2018), 서울 생활인구추계 매뉴얼. 

  7. 서울특별시(2014), 서울도시기본계획. 

  8. 서원석(2016), "도시지속성을 위한 규모 및 인구변화별 도시유형 특성요인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8(5): 29-44. 

  9. 손승호(2008), "서울시 외국인 이주자의 분포 변화와 주거지분화",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1(1): 19-30. 

  10. 손승호(2016), "서울시 외국인 이주자의 인구구성 변화와 주거공간의 재편",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9(1): 57-70. 

  11. 오다원(2019), "주.야간 상권의 토지이용과 이용인구: 서울시 생활인구 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2. 이건학.김감영(2016), "공간통계 기법을 이용한 현주인구 추정 모델링", 한국지도학회지, 16(2): 71-93. 

  13. 이민주.박인권(2016), "지역 특성에 따른 소득별 직주불일치에 관한 연구", 지역연구, 32(1): 67-82. 

  14. 이용우.변세일.박정호.임지영.이지원.박고운(2011), 국토 대예측 연구, 국토연구원. 

  15. 이유진.최명섭(2018), "노인 인구 밀집지역의 시공간적 분포와 결정요인 분석: 서울 생활인구 빅데이터의 활용", 서울도시연구, 19(4): 149-168. 

  16. 이자원.김혜진(2017), "수도권 외국인의 출신국적에 따른 거주지의 공간적 분포", 국토지리학회지, 51(2): 123-133. 

  17. 이진영.남진(2012), "수도권에서 외국인 거주지 분포의 특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7(1): 85-100. 

  18. 장진영.최성택.이향숙.김수재.추상호(2015), "토지이용유형별 보행량 영향 요인 비교.분석: 서울시 유동인구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한국ITS학회논문지, 14(2): 39-53. 

  19. 정윤영.문태헌(2014), "유동인구 자료를 이용한 서울시 도시공간구조 분석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6(3): 139-158. 

  20. 정재훈.남진(2019), "위치기반 빅데이터를 활용한 서울시 활동인구 유형 및 유형별 지역 특성 분석", 국토계획, 54(3): 75-90. 

  21. 지상훈(2020), "COVID-19로 인한 서울시 생활인구의 변화", 노동리뷰, 181: 81-84. 

  22. 통계청(2020), 2019년 장래인구특별추계를 반영한 내외국인 인구전망: 2017~2040년. 

  23. 통계청(2019), 2019년 이민자 체류실태 및 고용조사 결과. 

  24. 허정원.장주영(2020), "코로나19 확산시기 서울시 외국인 밀집지역의 지역특성과 생활인구 변화", 공간과 사회, 30(3): 99-137. 

  25. Kain, J. F. (2004), "A pioneer's perspective on the spatial mismatch literature", Urban Studies, 41(1): 7-32. 

  26. Kain, J. F. (1992), "The spatial mismatch hypothesis: three decades later", Housing Policy Debate, 3(2): 371-460. 

  27. Liu, D. and Kwan, M. P. (2020), "Measuring spatial mismatch and job access inequity based on transit-based job accessibility for poor job seekers", Travel Behaviour and Society, 19: 184-193. 

  28. McFadden, D. (1977), Quantitative methods for analyzing travel behavior of individuals: some recent developments, Institute of Transportation Studies,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CA.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