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립공원 생태계 건강성 평가 시스템 개선 연구
Comparison of the National Park Ecosystem Health Assessment and an Advanced Assessment System 원문보기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8 no.2, 2021년, pp.112 - 119  

명현호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식물보전센터) ,  김정은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생태조사부) ,  김혜리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생태조사부) ,  오장근 (국립공원공단 내장산생태탐방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립공원공단에서는 공원 자연 생태계의 효율적 보전·관리를 위해 2012년부터 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자연공원법 개정, 정책 변화, 관리 지표 부재에 따라 지표 개선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특히 기존지표에서는 해양생태계평가 지표 부재, 정책변화와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기존 평가시스템은 멸종위기종, 생태계교란종, 종다양도, 수질 (BOD, DO), 서식지파편화 지표 등으로 생물종 중심의 비중이 높았다. 평가결과는 5등급 체계로 구성되어 각 지표에 대한 즉각적인 변화를 분석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평가시스템 개선을 통해 BPI와 서식지복원지표를 추가하였다. 종다양도는 4개 분류군을 대상으로만 평가하였으나, 10개 분류군으로 전체 공원을 평가하였다. 평가 등급은 5개 상태, 5 등급에서 5개 상태, 10 등급으로 세분화하여 픽토그램으로 제시하였다. 평가결과 개선 전과 전체적으로 유사한 경향성을 보였고, 3단계에서 5단계로 확대 되었다. 그러나 월악산국립공원은 개선 전 평가 결과보다 낮고, 주왕산국립공원은 높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생태계 건강성 평가 시스템 개선을 통해 국립공원 생태계의 과학적·체계적 관리에 기여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2012, the National Park Service conducted an ecological health assessment to efficiently preserve and manage the ecosystem. The need for improving pre-existing management indicators was recognized from the revised Natural Park Act because, while the indicators of the existing evaluation system fo...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16)

  1. 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Canada. 2017. Canadian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dicators: Ecological integrity of national parks. Canada. pp. 1-17. 

  2. Graham, C.H. and Hijimans, R.J. 2006. A comparison of methods for mapping species ranges and species richness, Global Ecology and Biogeography 15: 578-587. 

  3. Hunter, J., Becker, A., Alabri, A., Van Ingen, C., and Abal, E. 2011. Using ontologies to relate resource management actions to environmental monitoring data in south east Queensland. International Journal of Agricultural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2: 1-19. 

  4. Kim, T.G. 2012. Assessment of species diversity in National park using GIS.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3: 22-2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6. Mid- and long-term integrated plans for restoring disturbed areas in national park (2017-2026). Korea National Park. Wonju. pp. 1-287. 

  6.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9. Korea national park basic statistics. Korea National Park. Wonju. pp. 1-220. 

  7. Mac Cluskie, M.C., Oakley, K., McDonald, T. and Wilder, D. 2005. Central Alaska network vital signs monitoring plan. National Park Service. Tennessee. United States. pp. 1-308. 

  8. Ministry of Environment. 2007. Field survey to select survey areas for development of the aquatic ecosystem assessment and health conditions (Final repor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pp. 1-355. 

  9. Ministry of Environment. 2011. Development of assessment technique of ecosystem health and system construction through the species diversity index in coastal dune ecosystem. Korea Environmental Industry & Technology Institute. Seoul. pp. 1-644. (in Korean) 

  10.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Developing tools for assessing lake ecosystem integrity. Korea Environmental Industry & Technology Institute. Seoul. pp. 1-7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1995. Management technique for marine environmental protection: Marine environment assessment based on the benthic faunal communities.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Ansan. pp. 1-3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14. Enhancement study of ecosystem health assessment on Korea national park.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Wonju. pp. 1-138. (in Korean) 

  13. National Park Service. 2012. Guidance for designing and integrated monitoring program. Natural Resource Report. National Park Service. Fort Collins. Colorado. pp. 1-49. 

  14. Oh, J.G., Won, H.J., and Myeong, H.H. 2016. A study on the method of ecosystem health assessment in National park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cology 49: 147-1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Pielou, E.C. 1966.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s. Journal of Theoretical Biology 13: 131-144. 

  16. Yellowstone Center for Resources. 2018. The state of Yellowstone vital signs and select park resources. Yellow-stone Center for Resources. Yellowstone National Park. Wyoming. United States. pp. 1-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