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OVID-19 상황에서 간호대학생들의 온라인실습 경험
Online Practice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in COVID-19 Situation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8, 2021년, pp.702 - 714  

장영은 (삼육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한금선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실습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가상시뮬레이션을 통한 간호대학생들의 온라인실습 경험을 이해하는 것이다.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1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질적주제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온라인실습 경험의 특성은 '온라인실습에 대한 양가감정을 느낌', '온라인실습 효과에 대한 의구심이 듦', '온라인실습의 한계에 부딪힘', '가상시뮬레이션을 대안으로 느낌', '진정한 간호에 다가섬' 등의 5가지 주제로 나타났다. 가상시뮬레이션은 매우 효과적인 온라인실습 프로그램으로 확인되었으나, 다양한 시나리오와 사례의 부족이 온라인실습의 한계점으로 나타나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하고 체계적인 실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online practice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through virtual simulation in order to prepare basic data for online practice program development. Methods: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hat applied a qualitative thematic analysis method to explore the o...

주제어

표/그림 (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최근 COVID-19 확산으로 인해 임상실습 현장 진입이 제한되고 환자와 학생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현장실습이 온라인실습으로 대체 운영되기 시작하며 온라인실습의 질과 효과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상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온라인실습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실습 경험의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온라인실습은 임상 실습에 비해 시간적 여유를 갖게 함으로써 실습 주제에 대한 깊은 성찰을 느끼게 하고 이론적으로 깊이를 더해가며 이론과 실습의 통합을 통해 간호의 본질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실습교과목의 학습성과를 달성할 수 있는 유용한 대안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온라인실습에 참여한 간호대학생들의 경험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연구문제는 “간호대학생들의 온라인실습 경험은 어떠한가?”이다
  •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온라인실습에 참여한 간호대학생들의 경험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연구문제는 “간호대학생들의 온라인실습 경험은 어떠한가?”이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대학생들의 온라인실습 경험을 이해함으로써 향후 온라인실습의 유용성 및 실습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D. J Rodriguez, M. T. B. Garcia, A. S. Garcia, F. J. P. Pino, A. P. Valencia, and O. Arrogante, "Nurse training in gender-based violence using simulated nursing video consultation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 qualitativ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Vol.17, No.22, pp.8654, 2020. 

  2. C. R. Blanco, J. R. Almagro, M. D. O. Zafra, M. L. P. Fernandez, M. C. P. Laguna, and A. H. Martinez, "Sleep pattern changes in nursing students during the COVID-19 lockdown,"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Vol.17, No.14, p.5222, 2020. 

  3. 김상남,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비대면(on-line) 수업의 내용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지, 제20권, 제17호, pp.477-791, 2020. 

  4. C. Watson, C. Chima, B. Murray, S. Plunkett, and N. Rohan, "COVID-19: Changing experience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postgraduate nursing education," All Ireland Journal of Teaching an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Vol.12, No.3, pp.1-11, 2020. 

  5. L. M. D. Santo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VID-19 pandemic and nursing students' sense of belonging: the experiences and nursing education management of pre-service nursing professional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Vol.17, No.16, p.5848, 2020. 

  6. B. Savitsky, Y. Findling, A. Ereli, and T. Hendel, "Anxiety and coping strategies among nursing stud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Nurse Education in Practice, Vol.46, No.1, pp.1-7, 2020 

  7. 이용상, 신동광,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시대의 온라인 교육실태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지, 제23권, 제4호, pp.39-57, 2020. 

  8. P. Michele, D. Kathy, L. Lori, and M. Debbie, "Determining nursing education needs during a rapidly changing COVID-19 environment," Critical Care Nursing Quarterly, Vol.43, No.4, pp.428-450, 2020. 

  9. J. I. Gallego-Gomez, M. C. Cano, A. C. Martinez, S. Balanza, M. T. R. Gonzalez-Moro, A. J. Simonelli-Munoz, and J. M. Rivera-Caravaca, "The COVID-19 pandemic and its impact on homebound nursing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Vol.14, No.20, pp.7383, 2020. 

  10. 강지영, "온택트 시대의 시뮬레이션 간호실습교육:혼합방법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지, 제20권, 제18호, pp.937-957, 2020. 

  11. 황혜민, "간호학생에게 시행한 시뮬레이션 기반 전문소생술 교육의 효과-지식, 자기효능감, 학습관련 자기주도성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지, 제20권, 제20호, pp.1-15, 2020. 

  12. 양경희, 최영애, 박선욱, 부윤정, 송명희, "간호대학생의 학습성과 달성을 위한 지역사회간호학 실습운영 방안," 한국간호연구학회지, 제4권, 제3호, pp.39-58, 2020. 

  13. J. Currey, S. K. Sprogis, G. Burdeu, I. Story, J. Considine, M. O'Donnell, and A. Gentle, S. Backhouse, and E. Oldland, "Stakeholder acceptance of digital team-based learning," Nurse Education in Practice, Vol.46, pp.1-7, 2020. 

  14. L. M. D. Santos, "How Does COVID-19 Pandemic influence the sense of belonging and decision-making process of nursing students: the study of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Vol.17, pp.1-19, 2020. 

  15. I. Tjoflat, T. K. Brandeggen, E. S. Strandberg, D. N. Dyrstad, and S. E. Husebo, "Norwegian nursing students' evaluation of vSim® for nursing," Advances in Simulation, Vol.3, No.10, pp.1-6, 2020. 

  16. D. Ulrich, S. Farra, S. Smith, and E. Hodgson, "The student experience using virtual reality simulation to teach decontamination,"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Vol.10, No.11, pp.546-553, 2020. 

  17. Y. Gu, Z. Zou, and X. Chen, "The effects of vSIM for nursing as a teaching strategy on fundamentals of nursing education in undergraduates,"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Vol.13, pp.194-197, 2020. 

  18. C. L. Foronda, S. M. Swobodab, M. N. Henrya, E. Kamaua, N. Sullivanc, and K. W. Hudsonc, "Student preferences and perceptions of learning from vSIM for nursing TM ," Nurse Education in Practice, Vol.33, No.27, pp.27-32, 2020. 

  19. 안혜란, 강경숙, "지역사회간호학 실습교육에 적용한 문제중심학습이 비판적 사고성향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11권, 제7호, pp.315-322, 2017. 

  20. 조유향, 도은영, 강경숙, 김영미, 김윤경, 류화라, 이정미 외, "지역사회간호학 실습교육 현황 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8권, 제3호, pp.347-356, 2017. 

  21. 전경자, 진영란, 김희걸, 김춘미, 송연이, 김숙영, 이한주 외, "지역사회간호학 실습교육 개선 방안: 간호교육 인증평가 기준을 중심으로,"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7권, 제2호, pp.183-192, 2016. 

  22. 진영랸, 송연이, 김영미, "간호대학생의 지역사회간호학실습경험," 한국농촌간호학회지, 제13권, 제2호, pp.25-41, 2018. 

  23. V. Braun and V. Clarke,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Vol.3, pp.77-101, 2006. 

  24. 김수민, 김향희, 남석인, 김한샘,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말 자가인식 보고에 대한 주제 분석,"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학술지, 제25권, 제1호, pp.156-168, 2020. 

  25. Y. S. Lincoln and E. G. Guba,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1985. 

  26. 김미은, 김민정, 오예인, 정수연, "코로나 19 (COVID-19) 로 인한 온라인 강의 대체가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 및 온라인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지, 제20권, 제17호, pp.519-541, 2020. 

  27. L. M. Snyder, "VSim: scholarly annotations in real-time 3D environments," Institute for Digital Research and Education, Vol.2, pp.1-8, 2014. 

  28. 송기영, "온라인실습 수업의 이상과 현실 차이," 기계저널, 제60권, 제7호, pp.37-41, 2020. 

  29. C. Foronda, "Use of virtual simulation to impact students' cognitive and affective knowledge of evidence-based practice," Worldviews on Evidence Based Nursing, Vol.14, No.2, pp.168-170,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