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론식 수업에서 온라인 토론의 참여적 차원과 상호작용 차원에 관한 탐색적 연구
Exploratory Study on the Levels of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in Online Debate of the Classes with Discussion Sess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9, 2021년, pp.63 - 74  

이란 (숭실사이버대학교 한국어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 대학 일반 교과목 토론식 수업의 온라인 토론과정에서 학습자들의 논제유형에 따른 참여적 차원과 상호작용 차원을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고 그 효과성을 탐색하여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 토론방의 메시지 수와 양상을 양적으로 분석하였고 사후 설문을 추가로 진행하여 토론의 상호작용 요소들과 효과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제시된 두 논제유형은 의견제시형 논제와 목표 제시형 논제였다. 각 논제에의 참여적 차원을 살펴본 결과, 선행 연구와는 달리 의견제시형 논제 참여도가 높았다. 그 이유를 설문으로 탐색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교수자가 온라인 토론의 논제를 제시할 때 참여자들의 성향을 참고하여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사후 설문을 통하여 상호작용에 대한 보다 심화된 결과들을 제시하였다. 설문에서 학습자들은 교수자의 강의와 강의자료 의존도가 매우 높은 것을 보여주었고 토론을 준비하면서 다양한 자료들과 상호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외에도 토론은 학습자들의 논증적 사고, 글쓰기, 해당 교과목 지식의 습득과 심화에도 도움을 주는 요소라는 인식을 나타냈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는 교수자의 교육적 역할을 강조하고, 원격교육의 시대에 온라인 토론의 교육적 효과가 각 교과목마다 활성화되기를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evels of learners'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s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based on the learners' choices of topic patterns in a process of online debate of a general subject and to explore the effects in order to suggest the ways for activating...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러한 연구들이 종합적으로 시사하는 바는 비동시성 온라인 토론이 비대면 수업에서 소홀하기 쉬운 상호작용을 시공간의 제약을 넘어서서 활성화하고 텍스트 기반 토론이라는 차별화된 장점을 활용할 수 있는 장을 제시한다는 것이다. 발화 중심의 토론보다는 자신의 의견을 자기 효능감을 가지고 순서를 지켜 누구나 공평하게 제시할 기회가 있다는 장점을 가지면서 읽기와 쓰기 능력 향상과도 관련을 가진다는 점이다.
  •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고는 사이버대학에서 주기적으로 활용되는 온라인 토론에의 참여적 차원과 상호작용적 차원의 요소들을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고 이러한 토론에서 참여자들이 얻을 수 있는 효과성을 탐구하여 그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J. Simpso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ELT Journal, Vol.56, No.4, pp.414-415, 2002. 

  2. R. Barsan, "Computer-mediated Conferencing, E-Mail, Telephone: A Holistic Approach to Meeting Students' Needs," Journal of Library Administration, Vol.31, No.3/4, pp.31-44, 2001. 

  3. L. Rourke, T. Anderson, E. R. Garrison, and W. Archer, "Assessing Social Presence in Asynchronous Text-Based Computer Conferencing,"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Vol.14, No.2, pp.50-71, 1999. 

  4. A. J. Freeley and D. L. Steinberg. Argumentation and Debate: Critical Thinking for Reasoned Decision Making, (12th edition). Wadsworth: Cengage Learning, 2008 

  5. L. Jin and A. Jeong, "Learning achieved in structured online debates: levels of learning and types of postings," Instr Sci, Vol.41, pp.1141-1152, 2013. 

  6. 박삼열, "토론식 수업에서의 교수자 전략," 교양교육연구, Vol.6, No.4. pp.237-262, 2012. 

  7. 김정렬, 한희정, ICT 활용 영어교육, 교문사, 2003. 

  8. 김세령, "사이버 토론을 통한 대학 글쓰기 교육," 한국문예창작, Vol.13, No.2, pp.287-322, 2014. 

  9. 이종혁, 최윤정, "숙의적 인터넷 토론 모델의 검증: 비판적 읽기와 수렴적 쓰기를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Vol.29, No.1, pp.87-126, 2012. 

  10. 이덕만, 김경남, 인터넷 영어 교수-학습, 조선대학교 출판부, 2001. 

  11. P. V. Ho, L. T. K. Phung, T. T. T. Oanh, and N. Q. Giao, "Should Peer E-Comments Replace Traditional Peer Com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Instruction, Vol.13, No.1, pp.295-314. 2020. 

  12. 안재현, 오창우, "온라인 매체를 활용한 토론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소통학보, Vol.9, pp.7-30. 2008. 

  13. M. G. Moore, "Three Types of Interaction,"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Vol.3, No.2, pp.1-7, 1989. 

  14. Z. L. Berge, "Facilitating Computer Conferencing: Recommendations from the Field," Education Technology Vol.35, No.1, pp.22-30, 1995. 

  15. 최영미, 김용경, 원흥연, 이만식, 독서와 토론, 박이정, 2018. 

  16. F. Henri, "Computer Conferencing and Content Analysis," In A. Kaye(Ed.). Collaborative Learning through Computer Conferencing, The Najaden papers, pp.115-136, New York: Springer, 1992. 

  17. 강태완, 김태용, 이상철, 허경호, 토론의 방법,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18. 임칠성, 우재학, 안선옥, "토론을 통한 논술 지도 연구," 새국어교육, Vol.57, No.1, pp.59-87, 1999. 

  19. 김현경, "팀 기반 학습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법-논증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작문연구, Vol.24, pp.23-49, 201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