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수학 교과서의 수와 연산 영역 단원에 제시된 발문 특성 연구
A Study of the Questions Presented in Chapters of Number and Operation Area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36 no.1, 2022년, pp.89 - 105  

도주원 (서울용암초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수와 연산 영역 지도 시 효과적인 발문 활용에 있어서 교수·학습상의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수와 연산 영역 단원에 제시된 발문의 유형과 작용 기능을 학년군별로 비교 분석하여 발문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수와 연산 영역 단원에 제시된 발문은 학년군별로 공통되게 추론 발문, 사실 발문, 추론을 요구하지 않는 열린 발문 순으로 많이 나타났으며, 모든 학년군에서 추론 발문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모든 학년군에서 문제의 추측, 발명, 해결 활동을 돕는 기능으로 작용하는 발문과 수학적 추론을 돕는 기능으로 작용하는 발문이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났다. 이처럼 수와 연산 영역 단원에 제시된 발문의 유형과 작용 기능은 학년군별 학습 내용의 특성과 관련이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수와 연산 영역 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발문 구안에 참고 자료를 제공하여 발전적인 교수·학습 방안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obtain teaching/learning implications for effective use of questions when teaching number and operation area, the types of questions presented in chapters of number and operation area of 2015 revised elementary math textbooks and the function of questions were compared ...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35)

  1. Kang, W., Chang, Y. Y., & Jeong, S. H. (2011). An analysis on the pattern of questioning sentence -a case study for the newly appointed teachers.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14(3), 293-302. 

  2. Ministry of Education (2015). Mathematics curriculum. 2015-74(Book 8). 

  3. Ministry of Education (2017a). Mathematics 1-1. Seoul: Chunjae Education. 

  4. Ministry of Education (2017b). Mathematics 1-2. Seoul: Chunjae Education. 

  5. Ministry of Education (2017c). Mathematics 2-1. Seoul: Chunjae Education. 

  6. Ministry of Education (2017d). Mathematics 2-2. Seoul: Chunjae Education. 

  7. Ministry of Education (2018a). Mathematics 3-1. Seoul: Chunjae Education. 

  8. Ministry of Education (2018b). Mathematics 3-2. Seoul: Chunjae Education. 

  9. Ministry of Education (2018c). Mathematics 4-1. Seoul: Chunjae Education. 

  10. Ministry of Education (2018d). Mathematics 4-2. Seoul: Chunjae Education. 

  11. Ministry of Education (2019a). Mathematics 5-1. Seoul: Chunjae Education. 

  12. Ministry of Education (2019b). Mathematics 5-2. Seoul: Chunjae Education. 

  13. Ministry of Education (2019c). Mathematics 6-1. Seoul: Chunjae Education. 

  14. Ministry of Education (2019d). Mathematics 6-2. Seoul: Chunjae Education. 

  15. Pang, J. S. (2004). A study on the computation and number-sense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8(4), 424-444. 

  16. Byun, H. G. (1994). Techniques for asking questions: a proficient questioning technique training program. Seoul: History of Education and Science. 

  17. Lee, J. S. (2017). An analysis on the question types of novice teachers in the elementary mathemacits lesson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18. Do, J. W. (2021a). An analysis of types and functions of questions presentated in data and chance area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The Mathematical Education, 60(3), 265-279. 

  19. Do, J. W. (2021b). An analysis of the questions presentated in chapters of pattern area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24(4), 180-202. 

  20. Barnes, D. (1990). Language in the secondary classroom: a study of language interaction in twelve lessons in the first term of secondary education. In D. Barnes, Britton, & H. Rosen(Eds.), Langage, the Learner & the School (pp. 11-77). Baltimore, Md.: Penguin Books. 

  21. Baroody, A. J. & Coslick, R. T. (1998). Let's develop the power of mathematics why? how? Lawrence Eribaum Associates, Inc. 권성룡, 김남균, 김수환, 김용대, 남승인, 류성림, 방정숙, 신준식, 이대현, 이봉주, 조완영, 조정수 공역 (2006). 수학의 힘을 길러주자. 왜? 어떻게? 서울: 경문사. 

  22. Brualdi, A. C. (1998). Classroom questions. ERIC/AE Digest. ERIC Clearinghouse on Assessment and Evaluation. Washington DC. 

  23. Carpenter, T. R., Franke, M. L., & Lavi, L. (2003). Thinking mathematically: integrating arithmetic & algebra in elementary school. Portsmouth, NH: Heinemann. 

  24. Chang, C. C. & Silalahi, S. M. (2017). A review and content analysis of mathematics textbooks in educational research. Problems of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75(3), 235-251. 

  25. Corey, S. (1940). The teachers out-talk the pupils. School Review, 48, 745-752. 

  26. Ginsburg, H. (1977). Children's arithmetic: the learning process. D. Van Nostrand. 송명자, 나귀옥 공역 (1990). 아동의 산수: 학습과정 -교사와 부모를 위한 산수지도의 내용과 방법.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27.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 (1991). Professional standards for teaching mathematics. VA: Reston. 

  28.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 (1992). Algebra for the twenty-first century: proceeding of the August 1992 conference. VA: Reston. 

  29.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 (2014). Principles to actions: ensuring mathematics success for all. VA: Reston. 

  30. Reys, E. R., Lindquist, M., Lamdin, D. V., & Smith, N. L. (2015). Helping children learn mathematic (11th ed.). John Wiley & Sons. 박성선, 김민경, 방정숙, 권점례 공역 (2017). 초등교사를 위한 수학과 교수법. 서울: 교우사. 

  31. Risner, G., Skeel, D., & Nicholson, J. (1992). A closer look at textbooks. Science and Children 30(1), 42-73. 

  32. Sowder. J. T. (1992). Estimation and number sense. In D. A. Grouws (E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371-389). NewYork: Macmillan. 

  33. Vacc, N. N. (1993). Implementing the "professional standards for teaching mathematics": questioning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Mathematics Teacher, 41(2), 88-91. 

  34. Watson, K. & Young, B. (1986). Discourse for learning in the classroom. In S. Murphy (Ed.), Literacy through "language arts": teaching and learning in context (pp. 39-49). Urbana, IL: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English. 

  35. Wilen, W. W. (1991). Questioning skill, for teachers (4th ed.). Washington, D. C. :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