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연수 뺄셈의 실생활 맥락 문제 상황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A Study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about Problem Situations in Real-Life Context of Subtraction of Natural Number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25 no.2, 2022년, pp.197 - 211  

도주원 (서울용암초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수 뺄셈의 실생활 맥락 문제 상황에서 '큰 수'와 '작은 수'의 제시 순서와 관련한 교수학적 의사결정의 관례에 대한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학 교과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초등교사 30명을 대상으로 자연수 뺄셈의 실생활 문제 상황에 등장하는 크고 작은 두 수의 제시 순서와 뺄셈 상황에 대한 교수학적 인식을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는 뺄셈의 문제 상황 유형을 분석 기준으로 활용하여 양적, 질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뺄셈에 대한 학생들의 사고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실제 상황의 크고 작은 두 수의 제시 순서를 유지하는 뺄셈의 실생활 맥락 문제 상황을 활용하여 지도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다양한 실생활 기반의 뺄셈 문제해결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큰 수'를 먼저, '작은 수'를 나중에 생각해야 하는 문제 상황으로 변형시키는 관례적인 교수학적 조치에 대한 제고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자연수 뺄셈 지도 시 '큰 수'를 먼저, '작은 수'를 나중에 생각해야 하는 뺄셈 문제 상황뿐만 아니라 실생활에서 종종 등장하는 '작은 수'를 먼저, '큰 수'를 나중에 생각하게 되는 뺄셈의 실생활 맥락 문제 상황 도입에 대한 필요성을 교사가 인식하고 이에 대한 교수학적 견해를 갖출 수 있도록 수업 반성 및 연찬의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a way to improve the pedagogical decision-making practice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rder of 'large number' and 'small number' in problem situations of subtraction of the natural number. For this purpose,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about problem sit...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30)

  1. 강완 (2000).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계산 지도 방법의 변화 - 두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4, 21-37. 

  2. 강완, 나귀수, 백석윤, 이경화(2013). 초등수학 교수 단위 사전. 경문사. 

  3.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교육부. 

  4. 교육부(2017a). 수학 1-1. 천재교육. 

  5. 교육부(2017b). 수학 1-2. 천재교육. 

  6. 교육부(2017c). 수학 2-1. 천재교육. 

  7. 교육부(2018). 수학 3-1. 천재교육. 

  8. 김민경, 민선희, 김혜원(2011). 수학 교과에서의 상황 맥락적 문제에 대한 교사의 인식. 수학교육, 50(2), 149-164. 

  9. 김진호(2021). 학생들이 즐거운 수학교실: 1학년 2학기 연산 수업. 교육과학사. 

  10. 도주원(2021). 초등수학 교과서의 뺄셈 문제 상황 분석. 학교수학, 23(3), 501-517. 

  11. 박교식(2014). 우리나라와 일본의 초등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비교 연구: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2), 235-249. 

  12. 박주현, 한선영(2021). 수학 학습에 대한 상황적 흥미요인 탐색. 수학교육, 60(4), 555-580. 

  13. 서민희, 김경희, 이재원, 전성균, 김슬비(2021). TI MSS 2019 결과 및 변화 추이 심층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21-5. 

  14. 이대현(2009). 수학 교과서의 덧셈과 뺄셈 문장제와 그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분석. 학교수학, 11(3), 479-496. 

  15. 이대현(2016). 한국과 미국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자연수 덧셈과 뺄셈 문제해결 분석. 초등수학교육, 19(3), 177-191. 

  16. 이지현, 이규희(2021). 실생활 문장제에서 현실맥락 고려에 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분석. 수학교육, 60(4), 509-527. 

  17. 장혜원(2021). '덧셈과 뺄셈 이야기하기' 차시에 대한 교사 인식 및 지도 실제. 학교수학, 23(4), 545-564. 

  18. 정소윤, 이대현(2016). 초등학교 2.3학년 학생들의 자연수의 덧셈과 뺄셈에 대한 문제해결 능력 분석. 초등수학교육, 19(2), 127-142. 

  19. 황우형, 김경미(2008). 자연수의 사칙연산에 대한 아동의 이해 분석. 수학교육, 47(4), 519-543. 

  20. Baroody, A. J. & Coslick, R. T. (1998). Fostering children's mathematical power: An investigative approach to K-8 mathematics instruction. Routledge. 

  21. 권성룡, 김남균, 김수환, 김용대, 남승인, 류성현, 방정숙, 신준식, 이대현, 이봉주, 조완영, 조정수(2005). 수학의 힘을 길러주자 왜? 어떻게? 경문사. 

  22. Boaler, J. (1993). The role of contexts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Do they make mathematics more "real"?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13(2), 12-17. 

  23. Collopy, R. (2003). Curriculum materials as a professional development tool: How a mathematics textbook affected two teachers' learning. Elementary School Journal, 103(3), 287-311. 

  24. Creswell, J. W. (2003).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 2nd Ed. Sage publications, Inc. 강윤수, 고상숙, 권오남, 류희철, 박만구, 방정숙, 이중권, 정인철, 황우형(역)(2005). 연구설계: 정성연구, 정량연구 및 혼합연구에 대한 실제적인 접근. 교우사. 

  25. Creswell, J. W. (2015). A concise introduction to mixed methods research. Sage publications, Inc. 김동렬(역)(2017). 알기 쉬운 혼합연구방법. 학지사. 

  26. Fischbein, E.; Deri, M.; Nello, M. S. & Marino, M. S. (1985). The role of implicit models in solving verbal problems in multiplication and division.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5(1), 1-24. 

  27. Ginsburg, H. P.; Klein, A. & Starkey, P. (1998).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mathematical thinking: Connecting researchwith practice. In I. E. Sigel & K. A. Renninger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4. Child psychology in practice (5th Ed., pp. 401-476). Wiley. 

  28. Ma, L. (1999). Knowing and teaching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mathematics i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Lawerence Erlbaum Associate. 신현용, 승영조(역)(2002). 초등학교 수학 이렇게 가르쳐라. 승산. 

  29. Maier, E. (1980). Folk mathematics. Mathematics Teaching, 93, 21-23. 

  30. Reys, E. R.; Lindquist, M.; Lamdin, D. V. & Smith, N. L. (2015). Helping children learn mathematic (11th ed.). John Wiley & Sons. 박성선, 김민경, 방정숙, 권점례(역)(2017). 초등교사를 위한 수학과 교수법. 경문사.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