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하구 수생태계 현황 및 건강성 조사의 성과와 하구 생태계의 국외 연구동향
Research Trend of Estuarine Ecosystem Monitoring and Assessment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55 no.1, 2022년, pp.1 - 9  

원두희 ((주)생태조사단 부설 두희생태연구소) ,  임성호 ((주)생태조사단 부설 두희생태연구소) ,  박지형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공학연구과) ,  문정숙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공학연구과) ,  도윤호 (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하구는 이질적인 매질인 하천과 바다가 다양한 환경을 조성하고 각 환경에 적응한 생물이 서식하는 공간이다. 하지만 하구의 생태적 가치를 인식하기 이전에 하구둑 건설이나 매립 등으로 대규모 개발사업으로 인해 하구의 면적이 소실되고 하구의 생태환경도 훼손되었다. 한국에는 총 643개 하구가 위치해 있지만 35% 이상이 하구 순환이 원활하지 않은 닫힌하구이다. 2008년 이후 환경부는 "하구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 사업을 통해 하구 생태계에 관한 지식을 축적하고 하구와 관련된 주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난 14년간의 사업을 통해 총 2,097종의 하구 생물을 기록하였고 새롭게 개발된 생물지수를 이용해 각 조사지점의 서식환경을 평가하고 있다. "하구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 사업은 장기적으로 수행되는 제도화된 생태조사로 생태계의 변화의 원인과 과정 등을 규명하기는 어렵지만 연간 100여 명 이상의 연구원들이 표준화된 조사지침에 따라 획득한 결과를 엄격히 관리해 하구의 보전과 관리 정책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경험적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제도화된 생태조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현재 조사 대상지 중 일부에서는 하구의 오염물 또는 퇴적물과 생물과의 관계를 파악하는 연구를 수행해 하구 생태계의 변화의 원인과 과정을 밝힐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estuary is an area where a freshwater river or stream meets the ocean. Even before the importance of the value of estuaries was recognized, the estuary was lost because of large-scale conversion by draining, filling, damming, and dredging. In South Korea, 643 estuaries are located, and the total ...

주제어

참고문헌 (19)

  1. Aria, M. and C. Cuccurullo. 2017. bibliometrix: An R-tool for comprehensive science mapping analysis. Journal of Informetrics 11: 959-975. 

  2. Carpenter, S.R., S.W. Chisholm, C.J. Krebs, D.W. Schindler and R.F. Wright. 1995. Ecosystem experiments. Science 269: 324-327. 

  3. Caughlan, L. and K.L. Oakley. 2001. Cost considerations for long-term ecological monitoring. Ecological Indicators 1: 123-134. 

  4. Costanza, R., R. dArge, R. De Groot, S. Farber, M. Grasso, B. Hannon, K. Limburg, S. Naeem, R.V. Oneill and J. Paruelo. 1997. The value of the world's ecosystem services and natural capital. Nature 387: 253-260. 

  5. Hellawell, J.M. 2012. Development of a rationale for monitoring. p. 1-14. In: Monitoring for conservation and ecology. (Goldsmith, F.B., ed.).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London, UK. 

  6. Likens, G. and L. David. 2018. Effective ecological monitoring. CSIRO publishing, Clayton, Victoria, Australia. 

  7. Lim, J.-C., K.-H. Choi, B.-K. Lee and G.-Y. Lee. 2020. Investigation plan to strengthen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estuary ecosystems. The Journal of Korean Island 32: 317-334. 

  8. Lindenmayer, D.B. and G.E. Likens. 2009. Adaptive monitoring: a new paradigm for long-term research and monitoring. Trends in Ecology and Evolution 24: 482-486. 

  9. Lindenmayer, D.B. and G.E. Likens. 2010. The science and application of ecological monitoring. Biological Conservation 143: 1317-1328. 

  10. Lindenmayer, D.B., G.E. Likens, A. Andersen, D. Bowman, C.M. Bull, E. Burns, C.R. Dickman, A.A. Hoffmann, D.A. Keith and M.J. Liddell. 2012. Value of long-term ecological studies. Austral Ecology 37: 745-757. 

  11. Lindenmayer, D.B., M.P. Piggott and B.A. Wintle. 2013. Counting the books while the library burns: why conservation monitoring programs need a plan for action. Frontiers in Ecology and the Environment 11: 549-555. 

  12. Lotze, H.K., H.S. Lenihan, B.J. Bourque, R.H. Bradbury, R.G. Cooke, M.C. Kay, S.M. Kidwell, M.X. Kirby, C.H. Peterson and J.B. Jackson. 2006. Depletion, degradation, and recovery potential of estuaries and coastal seas. Science 312: 1806-1809. 

  13. Nichols, J.D. and B.K. Williams. 2006. Monitoring for conservation. Trends in Ecology and Evolution 21: 668-673. 

  14. Nisbet, E. 2007. Cinderella science. Nature 450: 489-890. 

  15. Pethick, J. 2002. Estuarine and tidal wetland restoration in the United Kingdom: policy versus practice. Restoration Ecology 10: 431-437. 

  16. Pielke, J. and A. Roger. 2007. The honest broker: making sense of science in policy and poli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17. Reichman, O.J., M.B. Jones and M.P. Schildhauer. 2011.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of open data in ecology. Science 331: 703-705. 

  18. Rho, P. and C.-H. Lee. 2014. Spatial distribution and temporal variation of estuarine wetlands by estuary typ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9: 321-338. 

  19. Sun, J., M.-H. Wang and Y.-S. Ho. 2012. A historical review and bibliometric analysis of research on estuary pollution. Marine Pollution Bulletin 64: 13-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