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천 한탄강 지질공원에 대한 야외학습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Field Trip Program for Hantan River Geopark in Pocheon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6 no.2, 2022년, pp.165 - 177  

김재연 (양주백석중학교) ,  조재희 (한국교원대학교) ,  김학성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포천 한탄강 지질공원에 대한 야외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Orion의 야외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개발하였다. 야외학습 지점은 포천 한탄강 지질공원의 지질명소 중 화적연과 비둘기낭 폭포로 선정하였다. 준비 단계 6종, 야외학습 단계 2종, 정리 단계 2종의 총 10종의 자료를 개발하였으며, 예비수업에 적용하고 설문 조사를 하였다. 준비 단계에서 인지적, 심리적, 지리적 요소를 고려하여 생소함의 공간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야외학습 단계에서는 학생들이 교육과정과 연계된 학습 개념을 과학적 방법으로 습득하고 과학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정리 단계에서는 학생들이 야외에서 관찰한 지질학적 현상을 정리하고 포천 한탄강 일대의 지사를 유추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개발된 야외학습 프로그램을 예비수업에 적용하여 학생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각 학습 지점에서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를 키워줄 수 있는 관찰 활동에 충분한 시간을 주도록 수정하였다. 또한, 전문가 타당도 검사를 바탕으로 야외학습 단계의 학습 요소와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고려하여 융합적 사고가 촉진될 수 있는 발문을 보완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포천 한탄강 지질공원에 대한 야외학습 프로그램은 야외 지질학습을 통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와 과학적 태도를 높여줄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field trip program for the Hantan River geopark in Pocheon using Orion's field trip model. The selected learning sites were the Hwajeogyeon and Bidulginang Falls, famous geosites of the Hantan River geopark in Pocheon. The field trip program consisted of six preparatory ...

주제어

참고문헌 (21)

  1. Cheon, J.-B., & Kim, H.-S. (2018). Comparison?of class effect of real field trip and virtual?field trip. School Science Journal, 12(3),?331-340. 

  2. Cho, J.-H., & Yoon, M.-B. (2022). The?development of geosites and 3D panoramic?geological virtual field trips for Sinsu?Island in Korea National Marine Park.?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Education, 15(1), 91-102. 

  3. Cho, K. S., Byeon, H. Y., & Kim, C. B. (2002).?Development of geological field courses?and the effect of field study on the?affective domain in science and on?achievement of students. Journal of the?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3(8),?649-658. 

  4. Choi, Y.-S. (2022). Exploring the perception of?elementary and secondary pre-service?teachers about 'novelty space' in learning?in geological field trip. Journal of Korean?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15(1),?27-46. 

  5. Hong, J.-S., & Chang, N.-K. (1997). Status of?conducting the field trip in the middle and?high school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7(1),?85-92. 

  6. Jin, Y., Wee, S., & Lim, S. (2016). Developing?and applying a geological field trip?program using the spiral learning cycle: A?focussed on the Pochen Art Valley. Journal?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Instruction, 16(8), 123-148. 

  7. Joun, H., Kil, Y., Woo, K. S., Lee, H., Park,?J.-H., & Choi, D. (2021). A suggestion for?Hantangang transnational UNESCO Global?Geopark between ROK and DPRK. Journal?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7(5),?707-716. 

  8. Kim, H. (2020). Development case of regional?materials for learning of geology units,?primary and middle school science at?Jaeundo. Journal of Korean Society of?Earth Science Education, 13(1), 110-120. 

  9. Kim, H. S. (2015). Development and effects of?virtual geological field trip program using?360° 3D panorama technique. Journal of?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Education, 8(2), 192-205. 

  10. Kim, H. S. (2016). Development and application?of geological field study program in the?vicinity of Gumunso of Taebaek area,?Gangwon province, Korea (Unpublished?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of Education, Chungbuk, Korea. 

  11. Kim, H.-N., Chung, W.-H., & Jeong, J.-W.?(1998). National assessment system?development of science-related affective?domai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for Science Education, 18(3), 357-369. 

  12. Kwon, D. H. (2011). Possibility of creating a?geopark in the volcanic landform of?Hantan-gang.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Korean Photo-Geographers, 21(2), 33-42. 

  13. Kwon, H. J., & Kim, C.-J. (2007). Beginning?Earth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bout?learning in geologic field trip. Journal of?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8(1),?14-23. 

  14. Lee, C. Z., & Cheong, S. W. (2005).?Development of learning place for geologic?field survey around the Duta mountain,?Chungbuk, Korea. Journal of the Korean?Earth Science Society, 26(1), 41-57. 

  15. Lim, S. (2019). Needs and directions for?developing localization materials in geology?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Focused?on the unit of 'strata and fossils'. Journal?of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Education, 12(3), 184-197. 

  16. Manner, B. M. (1995). Field studies benefit?students and teachers. Journal of?Geological Education, 43(2), 128-131. 

  17.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 2015?Education Curriculum. Sejong, Korea:?Author. Retrieved from https://ncic.go.kr 

  18. Orion, N. (1989). Development of a high-school?geology course based on field trips.?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37(1),?13-17. 

  19. Orion, N. (1993). A model for the development?and implementation of field trips as an?integral part of the science curriculum.?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3(6),?325-331. 

  20. Orion, N., & Hofstein, A. (1994). Factors that?influence learning during a scientific field?trip in a natural environment. Journal of?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10),?1097-1119. 

  21. Yoon, M. (2019). Development of a convergence?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creation?of 3D panorama virtual reality and the?geological field study sites in Maensapji,?Hakseong-ri. School Science Journal, 13(3),?339-3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