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연령, 공정성 인식 간의 관계: 연령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Age and Perception of Justice: Focusing on the Moderation Effect of Age 원문보기

한국심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문화 및 사회문제, v.28 no.2, 2022년, pp.219 - 239  

정주리 (전남대학교 교육학과) ,  이지혜 (전남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국에 거주하는 국내 성인 남녀 508명을 대상으로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 공정성 인식(자기 분배공정성, 자기 절차공정성, 일반 분배공정성, 일반 절차공정성)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연령(20대와 30대 이상)에 따른 조절효과가 나타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개인의 공정성 인식과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를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SPSS 27과 PROCESS Macro 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연구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연령대별 연구변인의 차이를 분산분석으로 검증하여 연령구분이 타당한지 살펴본 후, 조절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는 자기 분배공정성, 자기 절차공정성, 일반 분배공정성, 일반 절차공정성 모두와 정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연령과 부적 관계를 보였다. 둘째, 연령은 자기 및 일반 분배공정성, 자기 절차공정성과 부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일반 절차공정성과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연령대별 연구변인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20대는 30대 이상과 상이한 특징을 보였으나, 30대 이상에서는 유의한 연령대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자기 분배공정성과 일반 절차공정성에 대해서만 연령의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자기 분배공정성의 경우, 30대 이상의 집단에서 20대보다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 자기 분배공정성의 정적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일반 절차공정성의 경우, 20대에서는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가 일반 절차공정성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지 못하였으나, 30대 이상의 경우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가 일반 절차공정성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본 연구는 20대와 30대 이상의 연령대를 비교하였을 때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 공정성 인식 간의 관계 양상이 다르게 나타남을 밝혀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 공정성 인식에 대한 세대 간 인식 차이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SES) of 508 Korean adults and their perception of justice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for self and general others), and verified whether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of age (20s versus 30s and over). A self-rep...

주제어

표/그림 (10)

참고문헌 (40)

  1. 김동수, 김옥환, 이상헌, 정태연 (2011). 한국인의 소득양극화 원인과 해결책에 대한 인식유형.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7(4), 461-483. 

  2. 김위정, 김양분 (2013). 대학진학에 대한 가정배경의 누적적 매개효과 분석. 교육사회학, 47(4), 263-302. 

  3. 김상태, 김성엽, 이상엽 (2021). 청년세대는 공정성을 어떻게 인식하는가-'인국공 사건' 에 나타난 공정성 인식의 테마분석. 한국행정연구, 30(4), 245-277. 

  4. 김석호 (2018). 한국사회의 세대 간 공정성. 지식의 지평, 25, 1-19. 

  5. 김영미 (2016). 계층화된 젊음: 일, 가족형성에서 나타나는 청년기 기회불평등. 사회과학논집, 47(2), 27-49. 

  6. 김은하, 김도연, 박한솔, 김수용, 김지수 (2017). 한국어판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척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3), 689-710. 

  7. 김재우 (2019). 한국인의 주관적 사회계층, 기회공정성 인식, 그리고 삶의 만족도: 성별.연령집단별 매개과정과 조절작용. 행정논총, 57(4), 97-127. 

  8. 김진현 (2021). 청년이 인식하는 소득불평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자본의 매개효과. 보건사회연구, 41(2), 83-100. 

  9. 박길성 (2011). 한국사회의 세대갈등-연금과 일자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 12(1), 3-25. 

  10. 박민진, 민보경, 이민주 (2021). 미래세대의 행복과 영향요인 연구: MZ세대를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34(4), 121-147. 

  11. 안계한, 김민희 (2020). 청년세대의 공정성 인식이 무망감에 미치는 영향: 통제감의 매개효과와 자존감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6(4), 457-477. 

  12. 엄승범, 김재우 (2021). 한국인의 사회경제적 가치관에 따른 사회경제적 지위, 기회공정성 인식,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한국사회, 22(1), 3-46. 

  13. 오재호, 박원익 (2020). 젠더갈등을 넘어 성평등한 사회로. 이슈&진단, 1-25. 

  14. 이성균 (2016). 한국사회 고등학생의 기회불평등인식. 교육사회연구, 47(2), 3-26. 

  15. 이병훈 (2017). 기회 불평등에 대한 국민 인식태도의 인과 분석. 한국사회정책, 24(2), 157-179. 

  16. 이희정 (2018). 청년층 계층인식 변화가 공정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사회학, 52(3), 119-164. 

  17. 장효진 (2017). 노동시장 취약계층 대상 직업훈련의 효과 분석- 청년과 비정규직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8. 황선재 (2018). 불평등과 지속가능성. 손열 편저자. 대한민국 시스템, 지속가능한가? (p. 183). 서울: EAI 동아시아연구원. 

  19. 황성재, 계봉오 (2018). 경제적 불평등 인식에 대한 경험적 연구: 한국 사례와 함의. 한국인구학, 41(4), 65-88. 

  20. Aiken, L. S., & S. G. West (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Newbury Park, NY: Sage Publications. 

  21. Begue, L. & Bastounis, M. (2003). Two spheres of belief in justice: Extensive support for the bidimensional model of belief in a just world. Journal of Personality, 71(3), 435-464. 

  22. Curtis, J., & Andersen, R. (2015). How social class shapes attitudes on economic inequality: The competing forces of self-interest and legitimation. International Review of Social Research, 5(1), 4-19. 

  23. Giddens, A. (1973). The class structure of the advanced societies. London, England: Hutchinson. 

  24. Hatfield, E., Walster, E. H., Walster, G. W., & Berscheid, E. (1978). Equity: Theory and research. Boston, MA: Allyn & Bacon. 

  25. Hegtvedt, K. A. (2006). Justice frameworks. In P. Burke (Ed.), Contemporary social psychological theories (pp. 46-69).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26. Hayes, A. F. (2017).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NY: Guilford Publications. 

  27. Jones, E. E., & Nisbett, R. E. (1973). The actor and the observer: Divergent perceptions of the causes of behavior. In E. E. Jones, D. Kanouse, H. H. Kelley, R. E. Nisbett, S. Valins, & B. Weiner (Eds.), Attribution: Perceiving the causes of behavior (pp. 79-94). Morristown, NJ: General Leaning Press. 

  28. Jost, J. T., Banaji, M. R., & Nosek, B. A. (2004). A decade of system justification theory: Accumulated evidence of conscious and unconscious bolstering of the status quo. Political Psychology, 25(6), 881-919. 

  29. Jost, J. T., & Hunyady, O. (2005).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ystem-justifying ideologies.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4(5), 260-265. 

  30. Lerner, M. J. (1980). The belief in a just world: A fundamental delusion. New York, NY: Plenum Press. 

  31. Lipkus, I. M., Dalbert, C., & Seigler, I. C. (1996). The importance of distinguishing the belief in a just world for self versus other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2, 666-677. 

  32. Lucas, T. (2009). Justifying outcomes versus processes: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 beliefs as predictor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ivity. Current Psychology, 28(4), 249-265. 

  33. Lucas, T., Alexander, S., Firestone, I. J., & Lebreton, J. M. (2007).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a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 world measur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3(1), 71-82. 

  34. Lucas, T., Kamble, S. V., Wu, M. S., Zhdanova, L., & Wendorf, C. A. (2016).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for self and others: Measurement invariance and links to life satisfaction in four culture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47(2), 234-248. 

  35. McClintock, C. G. (1978). Social values: Their definition, measurement and development. Journal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Education, 12, 121-137. 

  36. Pew Research Center. (2020). On the cusp of adulthood and facing an uncertain future: What we know about gen Z so far Retrieved From https://www.pewresearch.org/social-trends/2020/05/14/on-the-cusp-of-adulthood-and-facing-an-uncertain-future-what-we-know-about-gen-z-so-far-2/ 

  37. Schwartz, S. H. (1992). Universals in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values: Theoretical advances and empirical tests in 20 countries.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25, 1-65. 

  38. Sutton, R. M., & Douglas, K. M. (2005). Justice for all, or just for me? More evidence of the importance of the self-other distinction in just-world belief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9, 637-645. 

  39. Tajfel, H., & Turner, J. D. (1979). An integrative theory of intergroup conflict. In W. G. Austin & S. Worchel (Eds.), The social psychology of intergroup relations (pp. 33-47). Monterey, CA: Brooks Cole. 

  40. Van Lange, P. A. M., Otten, W., De Bruin, E., & Joireman, J. A. (1997). Development of prosocial, individualistic, and competitive orientations: Theory and preliminary evid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 733-74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