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방자치단체 환경영향평가 조례 현황 분석과 협의 지침서 작성 방안 - 인천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Local Governmen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Ordinances and Preparation of Consultation Guidelinesfor EIA - A Case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31 no.4, 2022년, pp.226 - 240  

이종욱 (인천연구원 기후환경연구센터) ,  조경두 (인천연구원 기후환경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의 일정 규모 이상의 지방자치단체는 「환경영향평가법」 제42조에 따라 필요 시 지역 특성을 고려한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다수의 지방자치단체에서 자체 환경영향평가 운영실적은 미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별로 상이하게 갖춰져 있는 조례 및 지침 등의 현황을 비교하여 해당 지방자치단체에 필요한 제도적 사안들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 환경영향평가 절차에 대한 상세 규정 및 안내를 협의 절차 지침서(가이드 라인)에 담아 관련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광역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하여, 여건이 비슷한 광역시·도별 지방자치단체 환경영향평가 조례 현황을 조사하고 대상사업의 종류 및 범위를 비교 분석하였다. 아울러 협의 가이드라인을 작성하고 그 과정에서 도출된 절차 흐름 및 일정 표기에 대한 개선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인천광역시의 경우 환경영향평가 조례 시행규칙 및 사후관리에 관한 세부 조항이 없어 이 부분에 대한 제도 보강이 필요한 상태였다. 그리고, 지역 환경 및 지리 여건을 고려하였을 때, 항만 건설사업, 수자원 개발사업, 철도건설사업, 국방 및 군사시설의 설치사업 등의 사업 유형에 대한 대상사업 추가 검토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인천광역시는 지방자치단체 환경영향평가 협의 업무의 실용성과 효과성 확보를 위해 협의 가이드라인 초안을 작성하였고, 그 과정에서 파악된 절차 흐름 및 일정 표기에 관한 개선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지방자치단체 환경영향평가 제도를 정비하고 구체적인 절차 지침을 마련하여 운영의 효과성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지방 정부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ocal governments over a certain size in Republic of Korea may conduc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if it is necessary, in accordance with Article 42 of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ct」. However,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number...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21)

  1. Hasan MA, Nahiduzzaman KM, Aldosary AS. 2018. Public participation in EIA: a comparative study of the projects run by government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Environ. Impact Assess. Rev. 72: 12-24. https://doi.org/10.1016/j.eiar.2018.05.001 

  2. Incheon Metropolitan City. 2012. Incheon Metropolitan City 3rd Basic Plan for Waste Treatment (2012-2021). Incheon Metropolitan City. [Korean Literature] 

  3. Jo JS. 1995.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xperience of German local governments. Urban Affairs 30: 79-95. [Korean Literature] 

  4. Kim JO, Min BW. 2020. Problems and Improvement Strategies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by Local Government in South Korea - Case Studies of 8 Local Governments including Seoul, Jeju, Busan and Daejeon. J. Environ. Impact Assess. 29: 132-143. [Korean Literature] 

  5. Korean Environmental Institute. 2017. Writing and review manual for evaluation items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er. 2.0. Korean Environmental Institute. [Korean Literature] 

  6.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Incheon Metropolitan City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rdinance [cited 2022 Feb. 1]. Available from: https://www.law.go.kr/ [Korean Literature] 

  7.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Seoul Metropolitan City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rdinance [cited 2022 Feb. 1]. Available from: https://www.law.go.kr/ [Korean Literature] 

  8.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Gyeonggi Provinc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rdinance [cited 2022 Feb. 1]. Available from: https://www.law.go.kr/ [Korean Literature] 

  9.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Busan Metropolitan City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rdinance [cited 2022 Feb. 1]. Available from: https://www.law.go.kr/ [Korean Literature] 

  10.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Gwangju Metropolitan City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rdinance [cited 2022 Feb. 1]. Available from: https://www.law.go.kr/ [Korean Literature] 

  11.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Daejeon Metropolitan City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rdinance [cited 2022 Feb. 1]. Available from: https://www.law.go.kr/ [Korean Literature] 

  12.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rdinance [cited 2022 Feb. 1]. Available from: https://www.law.go.kr/ [Korean Literature] 

  13. Lee JO, Cho KD. 2022. Regional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Consultation Guidelines for Incheon Metropolitan City. Incheon Institute. Available from: http://climate.ii.re.kr/icerc/uce/boa/openResearchDetail.do?miMN0166&mx_one736&mx_two738&bx553 [Korean Literature] 

  14.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Guidelines for writing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port for business types.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15. Nam YS. 1996. A Study on the Substantialization of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system. Korean Environmental Industry and Technology Institute. [Korean Literature] 

  16. Nita A, Fineran S, Rozylowicz L. 2022. Researchers' perspective on the main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procedures. Environ. Impact Assess. Rev., 92; art. no. 106690, https://doi.org/10.1016/j.eiar.2021.106690 

  17. Soria-Lara JA, Batista L, Le Pira M, Arranz-L'opez A, Arce-Ruiz RM, Inturri G, Pinho P. 2020. Revealing EIA process-related barriers in transport projects: the cases of Italy, Portugal, and Spain. Environ. Impact Assess. Rev. 83: 106402. https://doi.org/10.1016/j.eiar.2020.106402 

  18. Sun HS, Cho KJ. 2015. Local Governmen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rdinance Operating Status and Efficiency Measures. Korean Environmental Institute. [Korean Literature] 

  19. Sung HC, Kang MS. 2004. I Focusing on target projects and assessment items: A Comparative Study on the Local Governments'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ystems between Korea and Japan. J. Environ. Impact Assess., 13: 57-71. [Korean Literature] 

  20. Sung HC, Min SH. 2003. A Comparative Study on the I.ocal Governments'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gulations in Korea. J. Environ. Impact Assess. 12: 137-150. [Korean Literature] 

  21. Warnback A, Hilding-Rydevik T. 2009. Cumulative effects in Swedish EIA practice-difficulties and obstacles. Environ. Impact Assess. Rev. 29(2): 107-11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