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경영향평가 협의 내용 분석을 통한 데이터 수요 도출방안 - 수환경 분야를 중심으로 -
Derivation of Data Demand through Analysis of Agreed Terms and Conditions 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Focusing on the Water Environment -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32 no.1, 2023년, pp.29 - 40  

황진후 (고려대학교) ,  김윤지 (고려대학교) ,  전성우 (고려대학교) ,  최유영 (한국환경연구원) ,  성현찬 (고려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환경영향평가에 대한 문제점으로 인한 개선 필요성이 제기되고, 데이터 기반의 환경영향평가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영향평가의 수환경 분야(수질, 수리·수문, 해양환경)의 협의 내용 분석을 통해 데이터 수요를 도출하였다. 수환경 분야의 환경영향평가 협의 내용 총 400건(4,180문장)을 평가항목(수질, 수리수문, 해양환경) 및 환경영향평가 단계(현황조사 추가, 영향예측 및 평가, 저감대책 수립, 사후환경영향조사)별로 분류 후 유형화하였고, 해당하는 협의 내용 유형 별 데이터 수요를 연계하였다. 협의 내용 유형화 결과 수질 분야 18개, 수리·수문 분야 14개, 해양환경 분야 17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데이터 수요 연계 결과 수질 분야 254개, 수리·수문 분야 102개, 해양환경 분야 74개의 데이터 수요가 도출되었다. 평가항목으로는 수질 분야, 환경영향평가 단계 상으로는 저감대책 수립 분야에서의 협의 내용 유형 및 데이터 수요가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세부 협의 내용 유형으로는 비점오염 저감 대책이 가장 많은 빈도로 나타났다. 이는 항목의 상대적 중요도와, 환경영향평가의 주요 목적과 연계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환경영향평가 협의 내용 분석을 통한 데이터 수요의 도출은 환경영향평가서 작성의 고도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환경영향평가 데이터 체계화를 통해 다양한 의사결정자의 데이터 활용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eed for improvement is raised due to limitations with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the importance for data-base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s increasing. In this study, data demand was derived by analyzing Agreed Terms and Conditions in the Water Environment field (Water Quality, ...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18)

  1. Ban YU, Joo KS, Jeong HK, Hwang GH. 2010.?Improvement of EIS Documentation and?Counsultation Process through Expert?Survey Method. Journal of Environmental?Impact Assessment 19(2): 141-151.?[Korean Literature] 

  2. Chang H, Jeon HJ. 2013. The Improvement for?Geo-spatial Information Utilization of?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Supporting?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21(1): 45-52. [Korean Literature] 

  3. Cho NW, Maeng JH, Lee MJ. 2017. Use of?Environmental Geospatial Information to?Suppor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Follow-Up Management. Korea Journal of?Remote Sensing 33(5-3): 799-807. [Korean?Literature] 

  4. Choi YY, Cho HJ, Hwang JH, Kim YJ, Lim NO,?Lee JY, Lee JH, Sung MJ, Jeon SW, Sung?HC. 2021. Complaint-based Data Demands?for Advancement of Environmental Impact?Assessment. 2021. Journal of the Korea?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Technology 24(6): 49-65. [Korean Literature] 

  5. Jang JY, Cho NW, Lee MJ. 2019. Standardization?Plan for Activation of Environmental?Impact Assessment based on Spatial?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Remote?Sensing 35(3): 433-446. [Korean Literature] 

  6. Jeon JC, Jung JH, Kim YS, Kim LH. 2018. A?Review of Research Trend Related to NPS?and Suggestion for Research Direction in?the Future. Journal of Wetlands Research?20(1): 80-93. [Korean Literature] 

  7. Jung BG. 2009. A Note on the Problems and?Alternative Improvement of Environmental?Impact Assessment in Korea - Evaluation?in an Engineer's Viewpoint. Public Law?Journal 10(2): 327-349. [Korean Literature] 

  8. Kim JO, Joo YJ. 2021. Review of Environmental?Impact Assessment Re-consulting System?- A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 and?Foreign Countries. Journal of Environmental?Impact Assessment 30(5): 328-338. [Korean?Literature] 

  9. Kim MK, Lee SD. 2021. Survey on the Perception?of Stakeholders on the EIA System in?Korea. Journal of Environment Impact?Assessment 30(1): 49-60. [Korean Literature] 

  10.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2020. Watershed?Management Manual. Korea Environment?Corporation. [Korean Literature] 

  11. Lee GG, Lee SH, Kim GH, Lee JH. 2011.?Improve of Biotope-Area-Ratio-IndiAtor?and Appraisal System AppliAble to?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Projects.?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Restoration Technology 14(5): 113-125.?[Korean Literature] 

  12. Lee MC. 2000. A study on the History and the?Future Improvement of Environmental?Impact Assessment in Korea. Journal of?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9(1):?47-59. [Korean Literature] 

  13. Ministry of Environment. 2020. The first Master?Plans for National Water Management.?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14. Park JH, Choi JG. 2018. A study on the?Improvement of the EIA Items and the?Operating System Based on the Analysis?of EIA Item Usage. Journal of Environment?Impact Assessment 27(1): 1-16. [Korean?Literature] 

  15. Park SJ, Lee DK, Jeong SG. 2021. A study on the?Land-Use Related Assessment Factors in?Korea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30(5): 297-304. [Korean Literature] 

  16. Yang JH, Park SH, Kim TH, Hwang SI. 2016.?Study on the soil related assessment factors?in Korea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25(1): 41-50. [Korean Literature] 

  17. Yi YK, Yi PI. 1997. Content Analysis of Mitigation?Measures in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6(2): 165-180. [Korean Literature] 

  18. Yu JE, Kim YJ, Sung HC, Lee KI, Choi JY, Jeon?SW. 2020. Method for Calculating the?Pollution Load Amount of Agricultural?Non-Point Sources Using Land Cover?Map.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International 29(12): 1249-1260. [Korean?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