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장애학생 수학 문장제 문제 국내 연구 동향 및 질적지표에 의한 분석: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Teaching Mathematical Word Proble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26 no.1, 2023년, pp.29 - 43  

박지윤 (창원대학교) ,  강소라 (창원대학교 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학교과에서 단순히 수학적 개념을 습득하는 것보다 수학과 관련된 문제를 실생활에 적용하는 맥락적 문제해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실제적 상황을 나타내는 문장제 문제에 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에서 2022년까지 발행된 단일대상실험설계를 사용하여 중재의 효과를 탐구한 논문 최종 12편을 선정하여 참여학생 특성, 중재 환경, 중재 방법 및 교수전략 등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 학습장애, 자폐성장애, 지적장애를 포함하는 다양한 장애 유형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된 것을 확인하였다. 중재는 대부분 연구자에 의해 이루어졌고, 1회기 당 30~40분 정도로 중재가 제공되었다. 장애학생을 위한 수학문장제 문제 중재 방법으로 도식 기반 교수, 인지-초인지 전략 교수, 테크놀로지 기반 교수를 적용한 것으로 나타났고, 대부분 명시적 교수를 함께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 포함된 12편의 단일대상연구가 방법론적으로 타당하게 실행되었는지를 분석하고자 Council of Exceptional Children에서 제시한 질적지표를 사용하여 평가하였고,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향후 장애학생을 위한 문장제 문제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nthesize intervention studies, which utilized single case experimental design, on teaching mathematical word proble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evaluate each of their methodological rigor. The researchers reviewed all studies from 2000 to...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62)

  1. 고혜정, 김동일(2014). 수학문장제 문제해결과정에서의 수학학습장애 위험학생 인지상태 진단: 규칙장 모형의 적용. 특수교육학연구, 48(4), 247-273.? 

  2. 교육부(2015).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평가 방안. 국립특수교육원.? 

  3. 교육부(2022). 202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4. 강윤지(2022). 초등 수학 교과서의 문장제에 대한 실제적 맥락 관점에서의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 시리즈C 초등수학교육, 25(4), 297-312.? 

  5. 구슬이, 신진숙(2019). 수정된 도식기반전략교수가 중등도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뺄셈 문장제 문제 해결력에?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21(3), 141-166.? 

  6. 김동일, 고혜정, 조영희(2014).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향상을 위한 중재 효과 분석-다층메타분석의 적용. 특수교육, 13(3), 387-408.? 

  7. 김병룡(2016). 초등 수학 교사용지도서의 학습장애 학생 및 학습부진학생을 위한 증거기반교수 요인 포함 수준 분석-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2), 353-370.? 

  8. 김서령, 박만구(2021). 다전략 수학 문제해결 학습이?초등학생의 수학적 창의성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수학교육, 24(4), 175-187.? 

  9. 김소연, 김수영(2015). 유아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력?검사도구 개발 및 유아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력과?유아의 연령, 언어능력, 연산능력 간의 관계 연구.?유아교육연구, 35(1), 113-134.? 

  10. 김영표, 신현기(2008). 장애학생의 수학적 문장제 문제해결에 관한 교수방법의 중재 효과: 메타 분석.?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9(1), 413~437.? 

  11. 김채린(2022). 소수의 나눗셈에서 도식을 활용한 식 만들기 과정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6(2),?133-153.? 

  12. 김홍겸(2020). 수학학습부진아 지도방법에 따른 학업성취도 향상에 대한 메타연구. 수학교육, 59(1),?31-45.? 

  13. 노승림, 김은경(2011). 직접교수를 적용한 도식기반전략 교수가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문장제 문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27(4),?359-388.? 

  14. 박애란, 김애화(2010). 도식을 활용한 표상전략이 수학학습부진학생의 곱셈과 나눗셈 문장제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학습장애연구, 7(2), 10-122.? 

  15. 서은지, 김은경, 노승림(2016). 도식화전략 교수가 자폐성장애 학생의 수학 문장제 문제 해결 수행에?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18(3), 243-268.? 

  16. 서정은, 정주영(2012). 인지-초인지 문제해결 모형을?적용한 교수 프로그램이 경도 지적장애학생의 수학 문장제해결 수행능력.태도.귀인에 미치는 영향.?특수교육학연구, 47(3), 93-119.? 

  17. 손승현, 고승희 (2007). 특수아동 대상 수학문장제 문제연구 동향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9(1), 157-171.? 

  18. 승예린, 옥민욱(2021). 국내외 장애학생 대상 도식기반교수 및 수정된 도식기반교수 연구 분석. 학습장애연구, 18(3), 69-98.? 

  19. 신미경, 채수정, 정평강(2018). 학습장애 학생들의 문장제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전략교수 효과: 단일?대상연구 메타분석. 학습장애연구, 15(3), 203-230.? 

  20. 신현정, 최승숙(2021). 그림 그리기 표상 기반의 인지-초인지 전략 교수가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4(2), 1-21.? 

  21. 오영열(2013). 초등수학에서 수학적 모델링 적용 필요성에 대한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7(3),?483-501.? 

  22. 윤금설, 김애화(2021). 구체물-반구체물-추상화 단계를 활용한 도식 기반(schema-based) 문제해결전략?교수가 초등학교 6학년 수학학습부진학생의 비와?비율(백분율) 문장제 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 583-611.? 

  23. 이성용(2019).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수학 교수 관련?국내 단일대상연구 메타분석. 발달장애연구, 23(2), 97-116.? 

  24. 이은숙, 김봉세(2020). 진로교육활동 활용 수학 교과학습이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미치는 영향.?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2), 1063-1081.? 

  25. 이진옥, 김수연, 이영연(2010). 수학 학습부진아의 문장제 해결 능력 증진을 위한 숫자 바꾸기와 구조 바꾸기 전략의 효과 비교. 학습장애연구, 7(1), 157-176.? 

  26. 전윤희, 장경윤(2013). 학습장애 또는 학습부진 학생들의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 중재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특수교육학연구, 47(4), 139-163.? 

  27. 정성건, 박만구(2010). 수학 문제만들기 활동이 문제해결력과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2), 315-335.? 

  28. 조은혜, 홍성두(2018). 초등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학생의 수학중재연구 동향분석. 교육연구, 71, 133-154.? 

  29. 최미진, 김유리(2021). 수학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수학 중재 관련 국내 단일대상연구 동향 및 CEC 질적지표에 의한 분석.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4(3),?1-22.? 

  30. 최진성, 신진숙(2011). 지적장애학생의 인지처리양식과 수학문장제 문제의 오류유형 및 관계분석. 지적장애연구, 13(2), 201-220.? 

  31. 최진성, 신진숙(2012). 다중표상을 활용한 인지.메타인지전략이 지적장애학생들의 수학문장제 문제해결과 오류 감소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14(3), 297-319.? 

  32. 최진혁, 김일수, 박재국(2015). 스마트기기를 활용한?비디오 자기 모델링이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수학 문장제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4(4), 403-423.? 

  33. 하정숙(2015). 수감각, 핵심어, 문제 만들기를 강조한?수학 문장제 해결 전략의 효과. 특수교육학연구,?49(4), 51-71.? 

  34. 홍점숙, 방명애(2014). 도식기반 전략교수가 자폐성 장애학생의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 수행에 미치는?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30(3), 203-226.? 

  35. 황현미, 방정숙(2009). 수학 문제 해결과정에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시각적 표현에 관한 연구. 초등수학교육, 12(2), 81-97.? 

  36. Browder, D. M., Spooner, F., Ahlgrim-Delzell, L.,?Harris, A., & Wakeman, S. (2008). A?meta-analysis on teaching mathematics to?students with significant cognitive disabilities.?Exceptional Children, 74(4), 407-432.?doi:10.1177/001440290807400401.? 

  37. Claesens, A., & Engel, M. (2013). How important is?where you start? Early mathematics knowledge?and later school success. Teachers College?Record, 115(6), 1-29.? 

  38. Clausen, A. M., Tapp, M. C., Pennington, R. C.,?Spooner, F., & Teasdell, A. (2021). A systematic?review of modified schema-based instruction for?teaching students with moderate and severe?disabilities to solve mathematical word problems.?Research and Practice for Persons with Severe?Disabilities, 46(2), 94-107. doi:10.1177/15407969211007561? 

  39. Cook, B. G., Buysse, V., Klingner, J., Landrum, T.?J., McWilliam, R. A., Tankersley, M., & Test, D.?W. (2015). CEC's standards for classifying the?evidence base of practices in special education.?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36(4), 220-234.?doi:10.1177/0741932514557271? 

  40. Gast, D. L., & Ledford, J. R. (2014). Single case?research methodology. Routledge.? 

  41. Geary, D. C., Hoard, M., Nugent, L. K., & Bailey,?D. H. (2012). Mathematical cognition deficits in?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persistent?low achievement: A five-year prospective study.?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4(1),?206-223. doi:10.1037/a0025398? 

  42. Hudson, M. E., Rivera, C. J., & Grady, M. M.?(2018). Research on mathematics instruction with?students with significant cognitive disabilities:?Has anything changed? Research and Practice?for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43(1),?38-53. doi:10.1177/1540796918756601? 

  43. Jitendra, A. K. (2007). Solving math word problems:?Teaching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using?shcema-based instruction. TX: PRO-ED? 

  44. Jitendra, A. K., Hoff, K. (1996). The effects of?schema-based instruction on the mathematical?word-problem-solving performance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29(4), 422-431. doi:10.1177/002221949602900410? 

  45. Jitendra, A. K., Nelson, G., Pulles, S. M., Kiss, A.?J., & Houseworth, J. (2016). Is mathematical?representation of problems an evidence-based?strategy for students with mathematics?difficulties? Exceptional Children, 83, 8-25.?doi:10.1177/0014402915625062? 

  46. Kratochwill, T. R., Hitchcock, J. H., Horner, R. H.,?Levin, J. R., Odom, S. L., Rindsckopf, D. M., ...?Shadish, W. R. (2013). Single-case intervention?research design standards. Remedial and Special?Education, 34, 26-38.? 

  47. Lein, A. E., Jitendra, A. K., & Harwell, M. R.?(2020). Effectiveness of mathematical word?problem solving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learning disabilities and/or mathematics?difficulties: A meta-analysis. Journal of?Educational Psychology, 112(7), 1388-1408.?doi:10.1037/edu0000453? 

  48. Migliore, A., Timmons, J., Butterworth, J., &?Lugas, J. (2012). Predictors of employment and?post-secondary education of youth with autism.?Rehabilitation Counseling Bulletin, 55(3),?176-184. doi:10.1177/0034355212438943? 

  49. Meichenbaum, D. H., & Goodman, J. (1971).?Training impulsive children to talk to?themselves: A means of developing self-control.?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77(2), 115-126? 

  50. Montague, M. (1992). The effects of cognitive and?metacognitive strategy instruction on the?mathematical problem solving of middle school?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J ournal of?Learning Disabilities, 25(4), 230-248.? 

  51. Parmar, R. S., Cawley, J. F., Frazita R. R. (1996).?Word problem solving by students with and?without mild disabilities. Exceptional Children,?62(5), 415-429.? 

  52. Peltier, C., & Vannest, K. J. (2017). A?meta-analysis of schema instruction on the?problem-solving performance of elementary?school student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87(5), 899-920.? 

  53. Powell, S. R. (2011). Solving word problems using?schemas: A review of the literature. Learning?Disabilities Research & Practice, 26(2), 94-108.? 

  54. Polya, G. (2004). How to solve it: A new aspect of?mathematical method. Princeton University Press 

  55. Rockwell, S. B., Griffin, C. C., & Jones, H. A.?(2011). Schema based strategy instruction in?mathematics and the word problem solving?performance of a student with autism. Focus on?Autism and Other Developmental Disabilities,?26, 87-95. doi:10.1177/1088357611405039? 

  56. Root, J. R., & Browder, D. M. (2019). Algebraic?problem solving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autism and intellectual disability. Exceptionality,?27(2), 118-132. doi:10.1080/09362835.2017.1394304? 

  57. Root, J. R., Ingelin, B., & Cox, S. K. (2021). Teaching?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to students?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 best-evidence?synthesis. Education and Training in Autism and?Developmental Disabilities, 56(4), 420-436.? 

  58. Spooner, F., Root, J., Saunders, A. F., & Browder, D.?M. (2019). An updated evidence-based practice?review on teaching mathematics to students with?moderate and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40(3), 150-165.?doi:10.1077/0741932517751055? 

  59. Van Luit, J. E. H., & Toll, S. W. M. (2018).?Associative cognitive factors of math problems?in students diagnosed with developmental?dyscalculia. Frontiers in Psychology, 9, Article 1907. doi:10.3389/fpsyg.2018.01907? 

  60. Xin, Y. P., & Jitendra, A. K. (2016). The effects of?instruction in solving mathematical word problems?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meta-analysis.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32(4), 207-225. doi:10.1177/002246699903200402? 

  61. Zheng, X., Flynn, L. J., & Swanson, H. L. (2012).?Experimental intervention studies on word problem solving and math disabilities: A?selective analysis of the literature. Learning?Disability Quarterly, 36(2), 97-111.?doi:10.1177/0731948712444277? 

  62. Zhang, S., Wang, J., & Flores, R. (2021). Using?schema-based diagrams to represent and solve?word problems: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and?demonstration. Action in Teacher Education,?43(1), 20-3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