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 메타버스 거버넌스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for Metaverse Governance in the Public Sector 원문보기

지능정보연구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v.29 no.1, 2023년, pp.353 - 376  

윤혜정 (이화여자대학교 신산업융합대학 국제사무학과) ,  안재영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박상철 (대구대학교 경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글로벌 팬데믹과 가상·증강 현실 기술의 발달은 가상세계에서 다양한 상호작용이 가능한 메타버스 열풍을 일으켰으며, 기업, 정부,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처럼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은 점점 높아지고 있지만, 그 범위와 정의가 불분명하고 개념이 계속 진화하고 있기 때문에 역할 설정, 운영과 관리, 즉 거버넌스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정부와 지자체에서도 공공 메타버스로 공익적 가치 창출과 국민 복리 증진을 위해 많은 투자를 하고 있지만, 거버넌스 부재로 활용도가 낮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 메타버스 거버넌스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그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를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공공 메타버스에서는 원하는 사람은 모두 이용가능해야 하므로, 그림자노동의 요인을 탐색해서 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사회-기술 체계 이론을 바탕으로 선행 문헌과 토픽 모델링을 통해 공공 메타버스 거버넌스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23개의 요인으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그 다음 계층화 분석법으로 공공 메타버스 프레임워크 요인의 상대적 우선순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상위 5개 종합순위로 역할과 책임, 표준화/모듈화, 협업과 소통, 법과 정책, 가용성/접근성 순서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학술적 시사점으로는 현재까지 부재하였던 공공 메타버스 거버넌스의 통합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는 것이 있으며, 실무적으로는 공공 부문에서 메타버스 운영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할 점과 함께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시한 점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lobal pandemic and the development of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have led a metaverse boom that enables a lot of interactions in virtual worlds, and is being utilized in various fields such as business, government, and education etc. Despite the growing interest in the metaverse...

주제어

표/그림 (22)

참고문헌 (42)

  1. 강은경, 정연식, 양선욱, 권지윤, 양성병. (2022).?MIS Quarterly 연구동향 탐색: 토픽모델링?및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활용. 지능정보연구,?28(2), 207-235. 

  2. 김지호. (2022, 06.17). 인천형 '오픈 메타버스 거버넌스' 2차 포럼 개최. 인천투데이. https://www.incheon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219317 

  3. 김하영, 허정윤, 권호창. (2022). 인공지능 기반?금융서비스의 공정성 확보를 위한 체크리스트 제안: 인공지능 기반 개인신용평가를?중심으로. 지능정보연구, 28(3), 259-278. 

  4. 고은정. (2023, 02.26). 울산시립미술관, 4월 메타버스 타고 만납시다. 울산매일, https://www.iusm.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09525 

  5. 류성한, 윤혜정, 박재현, 장영훈. (2022). 메타버스?개념 및 현황에 대한 논의와 향후 연구 방향?제안. 지식경영연구, 23(2), 1-13. 

  6. 문정후. (2022, 11.29). 메타버스를 많은 사람들이?고루 접할 수 있게 하려면. 보안뉴스.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12022 

  7. 박상철, 이웅규. (2019). 문헌 고찰을 위한 근거 이론방법의 활용: 디지털 환경에서의 그림자?노동 개념 도출. 지식경영연구, 20(2), 183-195. 

  8. 박희석 (2023, 02.27). 대전관광공사, 메타버스?'갤럭시 시티 대전' 월드에서 꿀잼도시 체험.?충청헤럴드. https://www.ccherald.kr/news/articleView.html?idxno34893 

  9. 신재우. (2022, 7. 29). 확장가상세계(메타버스)?얼라이언스, 소통과 협력으로 다시 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월 4일, 2023, from https://www.msit.go.kr/bbs/view.do?sCodeuser&mId113&mPid112&pageIndex1&bbsSeqNo94&nttSeqNo3181986&searchOptALL&searchTxt 

  10. 안재영, 이중정, 윤혜정. (2018). 한국 석재산업의?IT 도입 및 활성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 IT 서비스학회지, 17(2), 83-100. 

  11. 우윤석. (2021). 영화로 보는 행정관람. 서울: 박영사. 

  12. 윤종혁, 안재영, 이중정. (2021). 데이터 과학자?필수 자격조건에 관한 고찰: AHP 기법 기반으로. 기업경영리뷰, 12(1), 41-62. 

  13. 윤혜정, 안재영, 박상철. (2021). 토픽 모델링과?수정된 IPA를 활용한 O2O 주문.배달 앱에?대한 사용자 인식 연구. 지식경영연구, 22(3),?253-271. 

  14. 이경여, 이혜린, 김용현, 김지선. (2022). 관광업계 종사자들의 공정관광 실현 제약 경험에?대한 정성적 연구 공정성 이론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46(7), 11-35. 

  15. 이돈주. (2022, 3.16). 메타버스, Mz세대만의 전유물?..."접근성 강화 숙제". EBN 산업경제.?https://www.ebn.co.kr/news/view/1523251 

  16. 이별찬. (2022, 01.08). 세금 수십억 쓴 '공공 메타버스'... 볼거리가 없네. 조선일보. https://www.chosun.com/economy/economy_general/2022/01/08/V4UNTOBP4FEY7EFPJILJMKGJEI/ 

  17. 이상준, 김태순, 이해경, 박상현. (2022). 메타버스의 발전방향과 활성화를 위한 6 대 이슈?연구. 한국 IT 서비스학회지, 21(1), 41-59. 

  18. 이석인. (2013). 정부통합전산센터의 It 거버넌스?핵심성공요인.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1(2), 335-338. 

  19. 이충석, 이석주, 최병구. (2012). R&D 기술 선정을?위한 시계열 특허 분석 기반 지능형 의사결정지원시스템. 지능정보연구, 18(3), 79-96. 

  20. 정회윤, 문상호. (2020). 기본소득 정책 도입을?위한 실현가능성 우선순위 설정 및 분석:?Text-Mining 과 Ahp 방법론을 적용하여.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8(4), 99-111. 

  21. 주경, 이소현, 김재윤, 이중정. (2020). 텍스트마이닝 기반 실시간 온라인 강의 서비스의 긍정/부정 이슈 분석. 글로벌경영학회지, 17(5), 20-45. 

  22. 최경아. (2022). 메타버스 기반 공공 서비스와 공간정보 분야의 역할. 국토연구원 

  23. Al-Ruithe, M., Benkhelifa E., & Hameed K. (2019).?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Data?Governance and Cloud Data Governance.?Personal and Ubiquitous Computing, 23(5),?839-859. 

  24. Blei, D. M. (2012). Probabilistic Topic Models.?Communications of the ACM, 55(4), 77-84. 

  25. Bostrom, R. P., & Heinen J. S. (1977). Mis Problems?and Failures: A Socio-Technical Perspective.?Part I: The Causes. MIS quarterly, 17-32. 

  26. Fang, J., & Partovi F. Y. (2021). Criteria?Determination of Analytic Hierarchy Process?Using a Topic Model. Expert Systems with?Applications, 169(114306. 

  27. Fernandez, C. B., & Hui P. (2022). Life, the?Metaverse and Everything: An Overview of?Privacy, Ethics, and Governance in Metaverse.?In 2022 IEEE 42nd International Conference?on Distributed Computing Systems Workshops,?272-277. 

  28. Hester, A. J. (2014). Socio-Technical Systems?Theory as a Diagnostic Tool for Examining?Underutilization of Wiki Technology. The?Learning Organization, 21(1), 48-68. 

  29. Joachim, N., Beimborn D., & Weitzel T. (2013).?The Influence of Soa Governance Mechanisms?on It Flexibility and Service Reuse. The?Journal of Strategic Information Systems,?22(1), 86-101. 

  30. Lee, J., Kim I., Kim H., & Kang J. (2021).?Swot-Ahp Analysis of the Korean Satellite and?Space Industry: Strategy Recommendations?for Development. Technological Forecasting?and Social Change, 164(120515). 

  31. Nie, Y., Luo, H., & Sun, D. (2021). Design and?validation of a diagnostic MOOC evaluation?method combining AHP and text mining?algorithms.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s,?29(2), 315-328. 

  32. Mahanti, R. (2018). Data Governance Implementation:?Critical Success Factors. Software Quality?Professional, 20(4) 

  33. Malatji, M., Von Solms S., & Marnewick A.?(2019). Socio-Technical Systems Cybersecurity?Framework. Information & Computer Security, 

  34. O'Reilly, T. (2011). Government as a Platform.?Innovations: Technology, Governance, Globalization,?6(1), 13-40. 

  35. Pasmore, W. A. (1995). Social Science Transformed:?The Socio-Technical Perspective. Human?relations, 48(1), 1-21. 

  36. Purba, F. N., & Arman A. A. (2022). A Systematic?Literature Review of Smart Governance.?2022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Technology Systems and Innovation (ICITSI),?70-75. 

  37. Saaty, T. L. (1988). What Is the Analytic Hierarchy?Process? Springer 

  38. Shin, D., & Ibahrine M. (2020). The Socio-Technical?Assemblages of Blockchain System: How?Blockchains Are Framed and How the Framing?Reflects Societal Contexts. Digital Policy,?Regulation and Governance, 22(3), 245-263. 

  39. Stadnichenko, O. (2021). E-Democracy Implementation?in the Process of Stimulating the Country?Socio-Economic and Socio-Political Development.?IT&AS'2021: Symposium on Information?Technologies & Applied Sciences. 

  40. Wu, C.-C., & Chu H.-C. (2021). Critical Factors in?Central Government Information and Data?Governance-Empirical Study. Revista de cercetare?si interventie sociala, 73, 248-261. 

  41. Yfantis, V., & Ntalianis, K. (2022). Exploring the?Potential Adoption of Metaverse in Government.?In Data Intelligence and Cognitive Informatics:?Proceedings of ICDICI 2022. Singapore: Springer?Nature Singapore. 

  42. Zhang, L. J. (2021). Mra: Metaverse Reference?Architectur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rnet?of Thing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