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브로콜리 추출물의 화장품 안정성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Cosmetic Stability of Broccoli Extract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40 no.5, 2023년, pp.1065 - 1071  

김용신 (중원대학교 의료뷰티케어과) ,  유선희 (연성대학교 뷰티스타일리스트과과 스킨케어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브로콜리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통한 항산화 활성과 저온(5℃이하), 고온(50℃이상)의 보관 조건을 통해 화장품 제조 시 나타날 수 있는 온도 변화에 따른 항산화력 변화를 비교해보고, 브로콜리 추출물 5%가 함유된 크림을 제조하여 화장품의 제형 안정성, 변색 및 변취, pH, 1차 첩포 테스트를 통해 물리적, 화학적 안정성에 대해 확인하고 하였다. 실험 결과, 브로콜리 추출물 1%의 농도에서 95.5%의 높은 DPPH radical 소거 활성이 확인되었으며, 온도 변화에 따른 보관 조건에도 항산화력은 높에 유지되는 것을 확인되었다. 브로콜리 추출물 5% 함유된 크림에서도 제형의 안정성, 변색 및 변취, pH, 1차 첩포 테스트 모두 안전성과 안정성이 유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들을 통해 브로콜리 추출물의 높은 항산화 활성과 온도 변화에 따른 항산화력 유지력을 통해 피부에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가능한 화장품 소재로써의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mpared antioxidant activity through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broccoli extract, low temperature (5℃ or less), and high temperature (50℃ or higher) storage condition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high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95.5% was confirmed at 1...

주제어

표/그림 (7)

참고문헌 (15)

  1. I. S. Cho, Y. H. Han, G. Y. Lee, K. Y.?Park. "Search for medicinal plantson?improvable effect of intestinal microflora",?Korean J. MedicinalCrop. Sci. Vol.5, pp.?26-29, (2007). 

  2. H. Y. Chung, B. Sung, K. J. Jung, Y. Zou,?B. P. Yu. "The molecularinflammatory?process in aging", Antioxid. Redox Sign. Vol,8, pp. 572-581, (2006). 

  3. S. H. Lee, L. J. Hong, H. G. Park, S. S.?Ju, G. T. Kim. "Functional characteristics?from the barley leaves and its antioxidant?mixture", J. Korean Soc. Agric. Chem.?Biotechnol. Vol.46, pp. 333-337, (2003). 

  4. A. L. Barene, "Toxicological and?biochemistryof butylated hydroxyanisole?and butylatedhydroxytolune", Journal of?the American OilChemists' Society, Vol.52,?No.2 pp.59-63, (1975). 

  5. M. D. Coleman, S. Fernandes, L.?"Khanderia. A preliminary evaluation of a novel method to monitor a triple?antioxidant combination (vitamins E, C,?and α-lipoic acid) in diabetic volunteers?using in vitro methaemoglobin formation",?Environ. Toxicol. Phar, Vol.14, pp. 69-75,?(2003). 

  6. W. C. Lee, A. J. Kim, S. Y. Kim. "The?study on the functional materials and?effects of mulberry leaf", Food Sci. Ind.?Vol.36, pp. 2-14, (2003). 

  7. S. H. You, "Antioxidant Activity and?Whitening activity of Psidium guajava leaf?extract", J. of Korean Oil Chemists, Vol.34, No.2 pp. 296-304, (2017). 

  8. A. C. Kurilich, G. J. Tsau, A. Brown, L.?Howard., B. P. Klein, E. H. Jeffery, M.?Kushad, M. A. Wallig, J. A. Juvik,?"Carotene, tocopheroland ascorbate?contents in subspecies of Brassicaoleracea",?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Chemistry, Vol.47, No.4 pp. 1576-1581,?(1999). 

  9. G. R. Fenwick, R. K. Heaney, W. J.?Mullin, "Glucosinoalated and their?breakdownproducts in food and food?plants", Critical Reviewsin Food Science?and Nutrition, Vol.18, No.2 pp. 123-201,?(1983). 

  10. M. M. Kushad, A. F. Brown, A. C.?Kurilich, A. JuvikJ, B. P. Klein, M. A.?Wallig, E. H. Jeffery, "Variation of?glucosinolates in vegetablecrops of?Brassicaoleracea", Journal of Agriculturaland?Food Chemistry, Vol.47, No.4 pp. 1541-1548, (1999). 

  11. E. S. Hwang, E. H. Jeffery, "Evaluationof?urinary N-acetylcysteinyl allylisothiocyanateas?biomarker for intake and bioactivity?ofBrussels sprouts", Food and Chemical?Toxicology, Vol.41, No.12 pp. 1817-1825,?(2003). 

  12. N. V. Matusheski, E. H. Jeffery,?"Comparison of the bioactivity of two?glucoraphaninhydrolysis products found in?broccoli, sulforaphaneand sulforaphane?nitrile", Journal of Agriculturaland Food?Chemistry, Vol.49, No.12 pp. 5743-5749,?(2001). 

  13. J. S. Moon, J. H. Lee, S. H. You,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ity on cell of Arctium lappa L. root extract", J.?of Korean Oil Che, Vol.34, No.1 pp.?41-49, (2017). 

  14. M. K. Kim, "Antioxidant, Antimicrobial?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Broccoli Leaf Extracts", J Invest Cosmetol,?Vol.14, No.2, pp 153-159, (2018). 

  15. G. Pande, C. C. Akoh, "Organic acids,?antioxidant capacity, phenolic content and?lipid characteriation of Georgia-grown?underutilized fruit crops", Food Chem,?Vol.120, pp. 1067-1075, (2010).?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