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igital Indust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v.20 no.4, 2024년, pp.59 - 68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in academia is a hot topic in the education field. Generative AI, like ChatGPT, is an AI tool that offers a range of benefits, including increased student engagement, collaboration, and accessibility. Especially Chat GPT is said to offer a wealth of opportuniti...
오선경, "대향 교양 글쓰기에서의 챗GPT 활용 사례와 학습자 인식 연구," 교양교육연구, 제17권, 제3호, 2023, pp.11-12.
송윤희, "ChatGPT의 학습 및 수업 활용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분석: K신학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기독교교육정보, 제80집, 2024, pp.109-136.
김찬원,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한 대학 학습자의 ChatGPT 사용의도: 개인 혁신성과 지각된 신뢰, 지각된 위험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4권, 제2호, 2024, pp.462-475.
전병호, "LMS 데이터를 활용한 온라인 러닝의 학습행동 및 효과에 관한 연구," 디지털산업정보학회지, 제19권, 제2호, 2023, pp.79-87.
윤옥한, "chat GPT 등장과 교양교육의 방향 탐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3권, 제5호, 2023, pp. 86-96.
Li, C., & Xing, W., "Natural language generation using deep learning to support MOOC learners," International Journal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Vol.31, No.2, 2021, pp.186?214.
Debby R. E. Cotton, Peter A. Cotton b and J. Reuben Shipway, "Chatting and cheating: Ensuring academic integrity in the era of ChatGPT," Innovations In Education And Teaching International, 2023, pp.1-12.
이수환, 송기상, "생성형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탐색,"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제26권, 제6호, , 2023, pp.15-27.
오영범, 진영학, "생성형 인공지능과 교육에 관한 언론보도 토픽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제8호, 2024, pp.567-583.
Davis, F.,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vol. 13, no. 3, 1989, pp. 319-340.
Kim, H. W., Chan, H. C. & Gupta, S., "Value-based adoption of mobile internet: An empirical investigation," Decision Support Systems, Vol.43, 2007, pp.111-126
김효정, "ChatGPT의 특성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교사의 디지털 기술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디지털산업정보학회지, 제19권, 제2호, 2023, pp.135-145.
정병규, 장수진, "ChatGPT 서비스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인문사회계열 대학생과 공학계열 대학생의 차이를 중심으로," 경영컨설팅연구, 제24권, 제1호, 2024, pp.397-411.
이채은, "챗GPT 특성, 지각된 유용성, 지속이용의도 간의 구조관계 분석: 호텔?외식경영학 전공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제32권, 제5호, 2023, pp.61-76.
Bonsu, E. M. and D. Baffour-Koduah, "From the Consumers' Side: Determining Students' Perception and Intention to Use ChatGPT in Ghanaian Higher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 Society & Multiculturalism, Vol.4, No.1, 2023, pp.1-29.
Korzynski, P., Mazurek, G., & Ziemba, E.,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new context for management theories: Analysis of ChatGPT," Central European Management Journal, Vol.31, No.1, 2023, pp.3-13.
전병호, "대학교의 정보교육 만족과 성과의 영향 변인에 관한 연구," 정보교육학회 논문지, 제14권, 제4호, 2010, pp. 477-489.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1997.
Santhanam, R., Sasidharan, S., & Webster, J., "Using self-regulatory learning to enhance e-learning-based information technology training,"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 19, 2008, pp. 26-47.
Wu, J. H, Tennyson, and Hisa, "A study of student satisfaction in a blended e-learning system environment," Computers & Education, vol. 55, 2010, pp. 155-164.
Shih, H. P., "Assessing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competence on individual satisfaction with computer use: An IT student perspectiv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22, 2006, pp. 1012?1026.
Kwon, O., & Wen, Y., "An empirical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social network service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26, no. 2, 2010, pp. 254-263.
Venkatesh, V., & Davis, F. D.,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Management Science, 46(2), 2000, pp.186-204.
Kadaruddin, K., "Empowering education through generative AI: Innovative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omorrow's learners," International Journal of Business, Law, and Education, 4(2), 2023, pp.618-625.
Shaengchart, Y., "A conceptual review of TAM and ChatGPT usage intentions among higher education students," Advance Knowledge for Executives, 2(3), 2023, pp.1-7.
Hair, J. T., R. E. Anderson and R. L. Tatham and W. C. Black, Multivariate Data Analysis, Fifth ed.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rentice Hall, 1998.
Nunnally, J. C., and I. H. Bernstein,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McGraw-Hill, 1994.
이용환, "생성형 인공지능 ChatGPT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분석," 조형미디어학, 제26권, 제4호, 2023, pp.46-55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