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시대 의제 설정 효과로서의 점화 이론 - 인터넷 매체가 수용자의 인식과 가치 판단 설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Agenda Setting and Priming Effects of Online Media : Experiment on Online Media"s Role of Salience Transfer and Evaluative Dimension Building

한국언론학보 =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50 no.3, 2006년, pp.367 - 392, 520  

이건호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신(新) 매체 환경에서 2차 의제 설정 효과와 점화 효과를 조사했다. 이를 위해 온라인 매체에 보도된 지구 온난화 이슈 중 5가지 속성들의 의제 설정 효과, 그리고 매체 수용자가 해당 의제인 지구 온난화 이슈에 대한 가치 판단 기준을 세울 때 이들 속성들이 영향력을 미치는지를 실험했다. 본 연구는 온라인 신문을 고노출(High Exposure), 중노출(Medium Exposure), 무노출(No Exposure) 등으로 나누어, 이들 중 한 가지 종류의 신문들을 각각 3개의 그룹에 나누어 읽게 했다. 온라인 신문에 나타난 2차 단계 의제, 즉 속성 의제와 온라인 매체에 접한 독자들의 의식을 등위상관으로 점검한 결과, 온라인 신문에서 중요하게 보도한 지구 온난화 이슈의 속성들을 독자들도 중요한 내용으로 받아들인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또 회귀분석은 의제 설정 2차 단계 효과가 나타난 동일 실험에서, 매체 수용자들이 온라인 매체에 나타난 보도 내용을 보고 지구 온난화 이슈에 대한 자신들의 판단 기준을 세우게 된다는 사실도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도 의제설정 2차 효과와 점화 효과가 발견된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second level agenda setting process and the priming effects in the new media environment. Specifically, it explores the online media"s agenda-setting effects on five different attributes of the global warming issue, and the effects" influence on people"s shaping their own eva...

주제어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