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민지 시기 근대기술(철도, 통신)과 인쇄물 검열
The Relationships of Modern Technology(railway, communication) and Prints-censorship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Korea

韓國文學硏究= Studies in Korean litererature, v.32, 2007년, pp.57 - 91  

한만수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근대신문과 잡지가 정보생산 및 유포의 공간을 ‘국가’의 단위로 확대하고 자본의 순환(매체 자체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었던 것은 통신(전화, 전보, 우편), 철도, 인쇄라는 근대 기술을 주요한 기반으로 가능했다. 조선총독부는 이 기술들 중에서 인쇄를 제외한 나머지 모두, 즉 통신과 철도를 소유하고 통제함으로써 ‘합법적’ 신문 잡지의 검열에 구조적으로 개입할 수 있었다.

총독부는 전보와 우편검열을 통해 해외 및 지방기사의 취재 및 송고(送稿)과정에 개입하였다. 이는 통신검열을 통해 언론검열이 이뤄졌다는 점, 언론사의 편집단계 이전에 진행된 취재원 및 송고 차단의 방식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또한 당시 신문은 대부분 철도로 우송되었는데 검열결과 압수할 필요가 있을 경우는 해당 경찰서에 전화로 통지하여 철도역으로 출동하여 압수하였다. 통신기술과 철도(시간표의 정시성)에 의해서 검열의 실효성(강제력)이 보장되었던 것이다.

총독부는 또한 ‘합법적’ 신문잡지의 경우에 한하여 이 근대기술의 이용을 허용하였으며, 특히 당시 인쇄자본의 영세성을 감안하여 그 기술 이용료를 대폭 할인하였다. 이 글에서는 제3종 우편물, 신문전보, 신문통화(通話) 등 제도를 점검하여 이를 입증하였다. 이 요금할인은 총독부가 인쇄자본을 효율적으로 통제하기 위해 동원한 각종 경제적 이윤의 조절방식 중 하나였다.

식민지시기 ‘합법적’ 인쇄미디어가 ‘비합법적’ 미디어와의 경쟁에서 승리했던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근대기술에의 접근이 보장되었다는 점이었다. ‘비합법’ 미디어는 취재, 송고, 배달 과정에서 근대기술을 거의 활용할 수 없었으며, 근대적 인쇄기술의 소유 또한 금지되었다. 구독료나 광고료 역시 전근대적 방식으로 비밀리에 전달될 수밖에 없었으므로 재정은 주로 기부금에 의존할 뿐이었다. 자본의 투입만이 있을뿐 순환이 차단되었으니 미디어의 유지가 매우 어려웠다.

‘제국주의의 신경망’으로서 철도와 통신은 조선에서도 역시 일본의 군국주의적 침략을 목적으로 설치되었던 바, 이 근대기술들은 인쇄미디어의 기반기술이기도 했으므로 총독부는 언론에 효율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었다. ‘합법적’ 미디어에 대한 이용료 할인을 통하여, 그리고 ‘비합법’ 미디어의 근대기술 접근을 차단하여 합법미디어의 기술적 비교우위를 보장하는 방식으로, 총독부는 식민지 조선의 담론유통구조를 효율적으로 통제할 수 있었다. 식민권력이 통치와 수탈을 위해 설치한 근대기술을 매스미디어는 자신의 기반기술로 이용할 수밖에 없었는데, 이는 검열의 기반기술이기도 했던 셈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odern technology of railway, communication(telephone, telegraph, postal service), and prints have been major elements to how the modern prints(newspapers and magazines) were able to expand their distribution spaces to a ‘national’ level and acquire the possibility of capital circulation(the con...

주제어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