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연구책임자 |
김태은
|
참여연구자 |
박선화
,
노원경
,
박용효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5-12 |
과제시작연도 |
2015 |
주관부처 |
국무조정실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등록번호 |
TRKO201800023017 |
과제고유번호 |
1105010429 |
사업명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DB 구축일자 |
2018-06-30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800023017 |
초록
▼
본 연구는 초·중학교 전환기 학생들을 지원하려는 목적으로 2014년도부터 2015년도까지 2년간 걸쳐 수행된 연구이다. 1차년도 연구에서는 초·중학교 전환기의 실태파악과 교수학습저해 요인 분석을 통하여 초·중학교 교수학습 연계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2차년도 연구에서는 1차년도의 연구를 통해 도출한 연계지원 방안을 기반으로 학교현장에서 실제 적용하기 위한 지원전략을 모색하고, 필요한 자료들의 개발 및 시범적용을 통해 초·중학교의 교수학습연계 지원을 위한 실질적인 내용, 절차 및 방법들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문
본 연구는 초·중학교 전환기 학생들을 지원하려는 목적으로 2014년도부터 2015년도까지 2년간 걸쳐 수행된 연구이다. 1차년도 연구에서는 초·중학교 전환기의 실태파악과 교수학습저해 요인 분석을 통하여 초·중학교 교수학습 연계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2차년도 연구에서는 1차년도의 연구를 통해 도출한 연계지원 방안을 기반으로 학교현장에서 실제 적용하기 위한 지원전략을 모색하고, 필요한 자료들의 개발 및 시범적용을 통해 초·중학교의 교수학습연계 지원을 위한 실질적인 내용, 절차 및 방법들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 분석, 설문조사, 학생특성검사, 학생대상심층면담, 교사워킹그룹운영, 전문가협의회, 학부모 연수, 교사 및 교육청 관계자 대상의 자료활용 워크숍 등을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하였으며, 개발한 자료 및 전략, 방안의 적절성,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먼저, 초·중학교 교수학습연계지원과 관련된 국내·외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초·중학교 전환기 관련연구는 전환기 학생의 기대와 걱정, 불안 등의 인식연구에서부터 시작되었으며, 인식 연구를 기반으로 학생 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그 이후 구체적인 전환기 연계를 위한 학생지원 프로그램이나 구체적인 전략개발 연구는 없는 실정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실적으로 초·중학교 전환기 학교급 차원의 연계 사례 역시 농산어촌지역의 학생수 감소로 인한 학교급간 물리적 통합이 이루어진 사례외에 학교급차원의 실제적인 사례를 찾아보기 어려웠다. 반면 국외 연구에서는 학교급 전환기 학생의 부정적인 경험을 완화시켜 주기 위한 개입이 필요하다는 공감을 바탕으로 전환기 교육과정 개발을 통한 교사 전문성 신장, 초·중 교사간 교류 활성화, 전환기 학생프로그램 실시 등 전환기 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편이었다.
다음으로, 1차년도부터 수집한 전환기 학생들의 종단자료에 기반하여 초·중학교 교수학습 연계현황을 종합 정리하고, 초·중학교 교수학습 연계방안 및 전략도출을 위한 쟁점들을 추출하였다. 주요쟁점은 초·중학교 전환기 학생들의 특성과 인식, 초·중학교 교수학습 연계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 초·중학교 연계에 대한 교수학습 환경적 문제, 초·중학교 교수학습 연계에 대한 제도적 문제로 구분하였다. 학교급 연계에 대해 일반적으로 논의되는 쟁점들을 포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연계의 쟁점들 속에서 ‘교수학습 연계’에 초점이 맞춰진 근거와 필요성에 대해 논하였으며,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계 지원 전략의 구체적인 방향을 도출하였다.
초·중학교 교수학습 연계의 쟁점을 기반으로 추출한 지원 방안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초·중학교 교수학습 연계지원 방안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우선 인식제고를 위한 공감대 형성과 지원에 필요한 자료를 구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따라서 도출된 지원 방안들 중 일부를 실현가능한 전략으로 구체화하였다. 초·중학교 교수학습 연계 지원 전략의 구체화는 ‘전환기 학교생활 지원’과 ‘전환기 학습 지원’의 두 영역으로 진행되었다.
먼저, ‘초·중학교 전환기 학교생활 지원’ 전략으로 예비중학생의 중학교 적응을 지원하는 프로그램과 자료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초·중학교 교수학습 연계 지원 전략 개발을 위한 실태 및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는데, 무엇보다 프로그램개발, 보급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
전환기 프로그램진행을 위한 중학교 생활안내서, 소책자, 교육자료, 가이드북, PPT자료 등 구체적인 자료 형태에 대한 요구사항도 많았으며, 교사 연수나 강사풀 제공, 시간 확보, 예산 지원이나 인근중학교와 협의절차 마련 등의 행·재정적 지원 등에 대한 요구도 있었다. 이러한 요구를 기반으로 초·중학교 전환기에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미리 가보는 중학교, 중학교 수업맛보기)과 중학교에서의 생활안내 및 자기주도인 역량을 강화시킬수 있는 자료(중학교 생활을 부탁해)를 개발하였다.
‘초·중학교 전환기 학습지원’을 위해 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하고 학습부담을 많이 갖는 수학 및 영어교과를 중심으로 교사워킹 그룹을 조직하였으며, 교사워킹그룹 구성원들간의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초·중학교 전환기의학생들의수학 및 영어교과 학습을 지원하는 자료를 개발하였다. 또한학생, 교사, 학부모측면에서 자료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시범적용을 통해 자료의 적절성에 대한 학생, 교사, 학부모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개발된‘수학학습지원전략’은초·중학교 수학내용의 연계를 보여주는‘연계도’, 중학교 1학년 수학의 기초가 되고 반드시 알아야 할 필수적인 초등학교 수학 내용을 추출하여 학생 스스로 자신의 수학적 기초를 점검하고 부족한 부분을 찾아 공부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수학문제카드’, 올바른 수학학습방법을 알려주는‘수학과썸타기’ 리플릿의 3종자료이다. ‘영어학습지원’ 전략으로는 초3~중1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의사소통기능 및 언어형식을 예시문과 함께 보여주는‘로드맵’, 로드맵을 기반으로 하여 대화문과 퀴즈를 추가하여 입체적으로 구현한‘매직열차1호’(의사소통기능), ‘매직열차2호’(언어형식), 로드맵을 한손에 쉽게 쥘 수(handy) 있는 형태로 구현한‘의사소통표현카드1, 2’, ‘언어형식표현카드3, 4’, 마지막으로 각 자료들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활용 지침에 대한 ‘교사용 설명서’의 4종 자료가 개발되었다.
끝으로 초·중학교교수학습연계활성화를위해다음과같은정책을제언하였다. 첫째, ‘초중학교학교교육계획에“초·중학교전환기프로그램운영계획” 반영’, 둘째, ‘초·중학교연합 프로젝트 “전환기 잘 보내기”(인근 초·중학교 교류 프로그램)운영’, 셋째, ‘초·중학교 전환기 학생지원역량강화를위한교사연수실시’, 넷째, ‘교 사대교류프로그램운영’, 다섯째, ‘초·중학교 교과서의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 과제 운영’이 그것이며, 각 정책별로 추진 근거, 추진목적, 세부 추진 내용, 추진 일정을 제시하고, 정책 추진의 주체와 시기를 함께 제안하였다.
(출처 : 연구요약 7p)
Abstract
▼
The present study is the last year study of a second-year research project that commenced in order to assist students’ successful transition into middle school. In the first year of the study, we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student situation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and analyzed factors
The present study is the last year study of a second-year research project that commenced in order to assist students’ successful transition into middle school. In the first year of the study, we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student situation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and analyzed factors impeding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we drew ways for promoting students’ successful transition into middle school.
Based on the ways drawn in the first year study, our aim in this year study is to provide practical contents, procedures, and methods promoting students’ successful transition into middle school. To meet the ends, we conducted the followings: development of assisting strategies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application of those strategies and materials to schools and students in the transition period.
In order to yield final results of this research project, this study used various research methods as follows: literature reviews, large-scale surveys, examinations of students’ traits such as school satisfaction, academic attitude, and motivation, in-depth students interviews, working groups of teachers, meetings of experts and government officials, training of parents, and a workshop of teachers. The final results of this research project ar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First, with the longitudinal data on the students in the transition period collected since 2014, we comprehensively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n the transition into middle school and extracted issues to draw ways and strategies promoting the successful transition. The issue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as follows: the students' traits and perceptions in the transition period, the teachers' perceptions on the transition, environmental problems of teaching and learning on the transition, and systematic problems of teaching and learning on the transition.
Second, we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issues that are discussed generally on the transition and discussed basis and necessity focused on the transi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the analysis and discussion, we drew a specific direction of assisting strategies for the transition.
Lastly, we made some of the ways into the specific and tangible strategies such as assist for school life and assist for learning in the transition period. As for the assist for school life, we developed programs including '미리가보는중학교‘ and '중학교수업맛보기’ and materials including '중학교생활을부탁해‘ for middle school newcomers. As for the assist for learning, a working group of math teachers and English teachers respectively was organized. Each working group developed materials for assisting math learning or English learning, provided tips of use of the materials, and gathered opinions of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about appropriateness and validity of the materials by applying the materials to them.
In the light of results of two year research project, the study suggests ways to assist students' successful transition into middle school as follows: make empathy including raising awareness of the transition, enhance capabilities of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and create supportive environment and system of teaching and learning including change of classroom environment, improvement of evaluation, reducing the elementary- and middle-school gap in textbooks, and effective transition in teacher training programs in a college level.
(출처 : ABSTRACT 233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연구협력진 ... 3
- 머리말 ... 5
- 연구요약 ... 7
- 목차 ... 11
- 표목차 ... 13
- 그림목차 ... 17
- I. 서론 ... 19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1
- 2. 연구 내용 ... 23
- 3. 연구 방법 ... 25
- II. 초․중학교 교수학습 연계 선행 연구 고찰 ... 39
- 1. 1차년도 연구 결과: 초·중학교 교수학습 연계 지원 방안 탐색 ... 41
- 2. 초·중학교 교수학습 연계 국내·외 선행 연구 ... 43
- 3. 시사점 ... 47
- III. 초‧중학교 교수학습 연계 현황 및 쟁점 ... 49
- 1. 초‧중학교 전환기 학생들의 특성과 인식 ... 51
- 2. 초‧중학교 교수학습 연계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 ... 71
- 3. 초‧중학교 연계에 대한 교수학습 환경적 문제 ... 77
- 4. 초‧중학교 교수학습 연계에 대한 제도적 문제 ... 85
- 5. 초‧중학교 교수학습 연계의 쟁점 및 시사점 ... 94
- IV. 초‧중학교 교수학습 연계 방안 및 전략 ... 97
- 1. 전환기 지원에 대한 인식 제고 ... 101
- 2. 개인 역량 강화 ... 103
- 3. 교수학습 환경 및 제도적 지원 ... 111
- V. 초‧중학교 교수학습 연계 지원 전략의 구체화 ... 123
- 1. 전략 개발의 취지 및 방향 ... 125
- 2. 초‧중학교 전환기 학교생활 지원 전략 ... 126
- 3. 초‧중학교 전환기 수학 학습 지원 전략 ... 158
- 4. 초‧중학교 전환기 영어 학습 지원 전략 ... 187
- VI. 요약 및 정책 제언 ... 207
- 1. 요약 ... 209
- 2. 정책 제언 ... 214
- 참고문헌 ... 229
- ABSTRACT ... 233
- 부록 ... 237
- 부록1. 전환기 연계 프로그램 반응 조사지 ... 239
- 부록2. 전환기 프로그램 실태 및 요구조사 설문지(초등학교용) ... 241
- 부록3. 전환기 프로그램 실태 및 요구조사 설문지(중학교용) ... 245
- 부록4. 초·중학교 전환기 교육에 대한 교사 대상 온라인 설문지 ... 249
- 부록5. 초·중학교 전환기 교육에 대한 교사 온라인 설문지 결과 분석 ... 254
- 부록6. 학생 특성 검사지 ... 261
- 부록7. 교과태도 요인분석 결과 ... 268
- 부록8. 학생 특성 검사 추가 분석 결과(56명 종단 자료 기준) ... 269
- 부록9. 학부모 연수 설문지 ... 270
- 부록10. 학부모 연수 설문 분석 결과 ... 273
- 부록11. 교사 대상 자료 활용 워크숍 설문지 ... 277
- 부록12. 교사 대상 자료 활용 워크숍 설문 분석 결과 ... 280
- 부록13. 초‧중학교 교수학습 연계 지원 자료 실물 ... 284
- 끝페이지 ... 284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