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은 유용한 정보의 확보 및 이용이 경쟁의 중요한 원천이었던 과거 정보화시대와는 달리 정보를 토대로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여 현장에 적용하는 지식정보화(지식경영) 시대이다. 이 같은 지식정보화 시대에는 누구나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검색서비스를 이용하여 필요한 자료 및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더 이상 단순한 정보의 획득이 개인, 기업, 국가의 경쟁력이 될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지식정보화라는 시대적 요구는 사회 각 분야에서 지식경영 시스템(Knowledge Management System) 등을 통해 급속도로 변화되고 있으며 여러 학문분야에서도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디자인분야는 아직까지 일반적인 디자인 자료에 대한 단편(일차원)적인 검색서비스 수준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전제품, 생활용품, 의류제품, 식료품관련 회사들의 각 제품에 대한 CI/BI에 대해서 형태, 색상, 심미적 요소, 선호 이미지 언어, 만족도 등을 조사한 자료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디자이너가 새로운 제품에 대한 CI/BI 작업을 수행하는데 있어 유용한 자료 및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검색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특히, 제안된 시스템은 디자이너가 특정 BI/CI를 개발해야 하는 경우 기존 BI/CI에 대한 다양한 검색결과는 유용한 디자인 컨셉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기존 디자인에 대한 디자인요소(형태, 색상, 심미적 요소, 선호 이미지 언어)들의 이차원 범주형자료 분석결과인 분할표(Cross Table)는 디자이너가 새로운 디자인지식을 창출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오늘날은 유용한 정보의 확보 및 이용이 경쟁의 중요한 원천이었던 과거 정보화시대와는 달리 정보를 토대로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여 현장에 적용하는 지식정보화(지식경영) 시대이다. 이 같은 지식정보화 시대에는 누구나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검색서비스를 이용하여 필요한 자료 및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더 이상 단순한 정보의 획득이 개인, 기업, 국가의 경쟁력이 될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지식정보화라는 시대적 요구는 사회 각 분야에서 지식경영 시스템(Knowledge Management System) 등을 통해 급속도로 변화되고 있으며 여러 학문분야에서도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디자인분야는 아직까지 일반적인 디자인 자료에 대한 단편(일차원)적인 검색서비스 수준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전제품, 생활용품, 의류제품, 식료품관련 회사들의 각 제품에 대한 CI/BI에 대해서 형태, 색상, 심미적 요소, 선호 이미지 언어, 만족도 등을 조사한 자료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디자이너가 새로운 제품에 대한 CI/BI 작업을 수행하는데 있어 유용한 자료 및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검색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특히, 제안된 시스템은 디자이너가 특정 BI/CI를 개발해야 하는 경우 기존 BI/CI에 대한 다양한 검색결과는 유용한 디자인 컨셉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기존 디자인에 대한 디자인요소(형태, 색상, 심미적 요소, 선호 이미지 언어)들의 이차원 범주형자료 분석결과인 분할표(Cross Table)는 디자이너가 새로운 디자인지식을 창출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In the past era, acquisition and utilization of useful information was the main origin of competition. Nowadays, unlike that era, is the era of knowledge information(management) in which we should create a new knowledge on the basis of information and apply it to the field of practice. And more acqu...
In the past era, acquisition and utilization of useful information was the main origin of competition. Nowadays, unlike that era, is the era of knowledge information(management) in which we should create a new knowledge on the basis of information and apply it to the field of practice. And more acquisition of information is no more the competitive power of any person, any company and any nation because in such the era of knowledge management, anyone can access and get the information he needs, utilizing internet-based searching system. Such demands of the times of knowledge management change rapidly in each field through knowledge management system and researches about knowledge management are actively processed in various academic branches. However, in our field of design, researches about those demands(knowledge management) still remain on the level of one-dimensional searching service for general data about design. Therefore, in this study, we developed building database of researches on form, color, aesthetical elements, preference image word, satisfaction etc. about CI/BI of home electronics goods, living goods, apparels, and food goods companies, also suggesting searching system through which you can obtain useful data and information helpful for designers to process CI/BI works of new product by using that database. Especially, in case of developing specific CI/BI, various search results through help of suggested system will supply a useful design concept. And more, cross table which is the result of analysis two-dimensional categorical data about existing design factors(such as form, color, aesthetical elements, preference image word, and satisfaction) will make contribution for designers to create a new design knowledge.
In the past era, acquisition and utilization of useful information was the main origin of competition. Nowadays, unlike that era, is the era of knowledge information(management) in which we should create a new knowledge on the basis of information and apply it to the field of practice. And more acquisition of information is no more the competitive power of any person, any company and any nation because in such the era of knowledge management, anyone can access and get the information he needs, utilizing internet-based searching system. Such demands of the times of knowledge management change rapidly in each field through knowledge management system and researches about knowledge management are actively processed in various academic branches. However, in our field of design, researches about those demands(knowledge management) still remain on the level of one-dimensional searching service for general data about design. Therefore, in this study, we developed building database of researches on form, color, aesthetical elements, preference image word, satisfaction etc. about CI/BI of home electronics goods, living goods, apparels, and food goods companies, also suggesting searching system through which you can obtain useful data and information helpful for designers to process CI/BI works of new product by using that database. Especially, in case of developing specific CI/BI, various search results through help of suggested system will supply a useful design concept. And more, cross table which is the result of analysis two-dimensional categorical data about existing design factors(such as form, color, aesthetical elements, preference image word, and satisfaction) will make contribution for designers to create a new design knowledg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전제품, 생활용품, 의류제품, 식료품관련 회사들의 각 제품에 대한 CI/BI에 대해서 형태, 색상, 심미적 요소, 선호 이미지 언어, 만족도 등을 조사한 자료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디자이너가 새로운 제품에 대한 CI/BI 작업을 수행하는데 있어 유용한 자료 및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검색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방대하게 산재되어 있는 디자인 관련 자료들 중에서 국내 가전제품사, 의류제품사, 생활용품사, 식품제품사를 대상으로 각 제품들의 그래픽 디자인 부분인 B1 와 CI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그림 1]의 오른쪽 부분과 같이 다양한 자료검색 및 정보제공이 가능한 디자인 지식창출음 위한 검색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단순히 BI/CI관련 자료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검색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다양한 통계적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이용고객인 디자이너가 특정 BI/CI 개발을 위한 새로운 디자인 지식을 창출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정보 제공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범위는 [그림 2]와 같이 가전제품, 생활용품, 의류제품, 식료품관련 회사들의 각 제품에 대한 CI/BI에 대해서 색상, 형태, 표현형태, 심미적 요소, 이미지 언어3)에 대한 조사자료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디자이너가 새로운 제품에 대한 CI/BI 작업을 수행하는데 있어 유용한 자료 및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검색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으로 제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필요성과 디자인 지식경영의 과정을 도식화 한 [그림 3]에서 알 수 있듯이 연구의 최종목표는 디자이너에게 고객만족을 실현시킬 수 있는 디자인 개발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절에서는 이들 세 부분에 대한 개발 프로세스와 구체적인 내용 및 기능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진 수집된 1차 자료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이들 자료를 웹 싸이트에서 검색 가능토록 한 다음 서비스 이용자들이 지속적으로 자료를 추가로 온라인 상에서 자동으로 입력시킬 수 있도록 설계하여 구현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검색시스템의 이용자 및 관리자가 새로운 BI/CI관련 자료를 웹 페이지를 통해 쉽게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계전문가가 아닌 디자이너와 이용자가 간단한 버튼 조작에 의해 원하는 통계 분석결과를 쉽게 얻을 수 있도록 BI/CI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연동하여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부분의 통계분석 모듈(Module)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다면 본 연구의 결과인 검색시스템은 다소 미흡한 점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디자이너가 BI/CI과 관련된 실제 디자인 작업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자료 및 정보를 제공해주는 디자인 지식창출을 위한 검색시스템의 구현을 연구목적으로 하였기 때문에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시스템의 검색서비스 및 신규자료입력을 위한 홈페이지 부분과 CI/BI 검색부분 그리고 디자인지식창출을 위한 통계분석 부분으로 나누어 제공되는 결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제안 방법
본 연구의 검색 서비스는 가전제품, 생활용품, 의류제품, 식료품관련 제품의 BI/CI에 대해서 [표 4]와 같은 요소들로 구성된 다섯 개 변수(컬러, 형태, 표현형태, 심미적 조형요소, 이미지 언어)에 대한 일차원(1개 변수)검색과 두 개 이상의 변수들에 대한 선택적 다차원검색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디자인(BI/CI) 지식 창출을 위한 통계적 분석은 검색시스템의 경우와 유사하게 네 개 제품군에 대한 [표 4]의 각 변수들에 대해서 일차원 통계분석 결과와 이용자가 선택한 임의의 두 변수들에 대해서 범주형 자료분석 결과인 이차원 분할표(Cross Table)8)를 제공한다.
[그림 8]은 본 연구에서 제안한 지식창출을 위한 디자인 DB 검색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디자이너가 홈페이지를 통해 정보를 요구한 경우 최초 수집하여 정제된 자료의 집합체인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는 검색엔진과 분석솔루션에 의해 정보가 제공되도록 설계·구현하였다.
제안된 검색시스템은 생활용품, 가전제품, 의류제품, 식품군에 대해서 각 제품의 BI/CI에 대한 컬러, 형태, 표현형태, 심미적 조형 요소, 이미지언어의 일차원 검색서비스와 전체 제품군에 대해서 여러 변수들에 대한 다차원 검색을 지원하는 종합검색의 기능을 제공한다.
다섯째, 초기 자료 수집과정에서 디자인 개발시기를 조사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함으로써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여러 디자인 요소들에 대한 디자인 패턴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또는 고객들의 선호패턴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등에 대한 시계열적인 자료분석을 통해 시대적 선호패턴에 따른 디자인지식 창출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에서 제안한 검색서비스를 지원하는 홈페이지는 크게 [그림 10]와 같이 다섯 가지(도움말, DB구축, 생활용품, 가전제품, 의류제품, 식품, 종합검색) 주 메뉴(main menu)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시스템은 http://mystat.co.kr/bi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
성능/효과
4%(35/68)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전체 159개 중에서 사각형 형태이면서 표현 형태가 자연형인 BI/CI의 빈도수(해당 개수)는 35개임을 알 수 있다.
첫째, 디자이너가 디자인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관련자료를 쉽게 검색할 수 있으므로 인해 자료수집을 위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후속연구
제안된 시스템은 디자이너가 특정 BI/CI를 개발해야 하는 경우 기존 BI/CI에 대한 다양한 검색결과는 유용한 디자인 컨셉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기존 디자인에 대한 디자인요소(형태, 색상, 심미적 요소, 선호 이미지 언어)들의 이차원 범주형 자료 분석결과인 분할표(Cross Table)는 디자이너가 새로운 디자인지식을 창출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방대한 디자인 요소들과 제품 카테고리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이를 일목요연하게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단순히 일차원 검색이 아닌 다차원 검색과 정확한 통계적 분석기법을 통해서 실질적으로 디자이너가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데 활용 가능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특히, 구축된 자료에 대한 이차원 범주형자료 분석결과는 디자이너가 새로운 BI/CI 개발을 위한 아이디어를 창출할 때 과거 개발된 BI/CI 관련 자료에 대한 전문디자이너들의 다양한 평가결과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디자인 지식 창출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디자이너에게 특정 회사나 제품에 대한 BI/CI를 개발해야 하는 경우 유용한 디자인 컨셉을 제공할 것이다. 특히, 다섯 가지 디자인요소들에 대한 일·이차원 통계적 분석결과들은 디자이너에게 새로운 디자인지식을 창출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특히, 다섯 가지 디자인요소들에 대한 일·이차원 통계적 분석결과들은 디자이너에게 새로운 디자인지식을 창출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따라서 분야에 관계없이 지식정보화 시대에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관련분야의 정확한 자료를 수집하여 올바른 통계적 자료분석을 통해 정보를 획득하고 정보와 과거 지식(개인이나 집단의 노하우, 경험 등)을 결합하여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여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이차원 분석결과는 디자이너가 새로운 BI/CI 개발을 위한 아이디어를 창출할 때 과거 개발된 BI/CI 관련 자료에 대한 전문디자이너들의 다양한 선호정도 및 평가결과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지식 창출이 가능할 것이다.
둘째, 단순한 자료검색뿐만 아니라 방대한 량의 데이터베이스 자료에서 통계적 기법을 통해 분석된 결과가 제공됨으로 인해 디자이너 개개인에게 새로운 디자인 패러다임 및 지식창출의 계기를 부여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넷째, 객관적인 자료로부터 보다 정확한 여러 정보를 추출하여 정보로부터 새로운 디자인 지식을 창출함으로써 창의적 디자인 개발을 기대할 수 있다.
고객들의 선호패턴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등에 대한 시계열적인 자료분석을 통해 시대적 선호패턴에 따른 디자인지식 창출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