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상미디어 연출 특성에 따른 공간 표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ace Expression According to the Production Characteristics of Reflex Media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13 no.6 = no.47, 2004년, pp.175 - 183  

유재엽 (부산경상대학 산업디자인과 실내디자인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makes progress, the role of Image has much influence on human being in space as a medium for information delivery and a means of artistic communication. These influences are appeared as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such as the reproducibility of rea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전시공간에서는 홀로그래픽과 레이저, 비디오아트 등이 빛에 의한 이미지의 환영과 재현성을 바탕으로 인간의 눈에 비친 세상모습을 객체화하고 추상화하여 작업의 영상으로 지각과 환영, 이미지와 실재라는 주제로 공간에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다. 이것은 인간의 지각과감각에게 사고의 확장이라는 측면을 제공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보기 (seeing)와 시간, 공간이라는 여러 구성요소들이 자리 매김하고 있는데 본 연구는 날로 그 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영상미디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공간에서 나타나고 있는 영상의 연출구성요소와 조형적 특성을 분류하고 이를 통해 공간에서 보여지는 영상미디어 연출의 표현 특성으로서의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 사례분석과정은 먼저 시대별 영상미디어연출구성의 공간적용성과 공간화에 대한 상관성을 염두에 두고 영상과 시공간의 상호관계에서 나올 수 있는 공간조형의 표현 원리에 의한 시각적 조형성(회화성과 오브제 요소)적용과 공간지각측면의 환영 성을 이루는 요소들의 특성과 시공간과의 관계, 공간에서 영상메세지가 소통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후 시공간 연관성을 어떻게 이루어 나가는지 영상미디어매체 특성에 따라 나타나는 공간 표현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Van de van, Space in Architecture, 고성용 역, 기문당, 1987 

  2. 이영훈, 뉴미디어 아트와 시간, 재원출판사, 2004 

  3. 마이클러시저, 심철웅 역, 뉴미디어 아트, 시공사, 2003 

  4. 로이 애스콧, 이원곤 역, Technoetic Arts, 연세대, 2002 

  5. 프랑크 포빼르저, 박숙영 역, 전자시대 예술, 예경, 1999 

  6. 최경란, 공간속의 디자인, 효홈, 2003 

  7. 이준일 외, 영상매체학 개론,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3 

  8. 황현탁, 한국영상산업론, 나남, 1995 

  9. 우에죠 노리오 저, 구종상. 최은옥 역, 영상학원론, 이진출판사, 1995 

  10. 임석재, 미니멀리즘과 상대주의 공간, 시공사, 1999 

  11. 김태국 역, 건축의 공간, 1991 

  12. 김선영, 현대공간의 비 물질화 경향과 초표피 건축에 관한 연구, 실내학회, 2002. 10 

  13. 서울시립미술관 시티팀, 미디어-시티, 서울, 2002 

  14. 정용도, 디지털 영상예슬 코드 읽기, 아이공, 2003 

  15. 이원곤, 영상기계와 예술, 현대미술사, 1996 

  16. 송남실, 미술관을 통해 살펴본 미디어 아트의 소통의식, 서양미술사 학회 제 118집 

  17. 정용도, 상호작용성 시대의 미술과 문화, 삼성미술관 연구논문집 제1호, 2000, 삼성미술관 

  18. 김영호, 오브제의 기호학적 해석, 서양미술사학회, 제14집, 2000 

  19. http://www.kcaf.or.kr/lecture/docent/2003/docent_030703.ht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