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냉동감자의 저장 중 미생물학적, 영양학적 및 물성 품질 특성의 변화
Microbiological, Nutritional, and Rheological Quality Changes in Frozen Potatoes during Storage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9 no.6 = no.196, 2007년, pp.663 - 668  

하지형 (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  하상도 (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  강윤석 (건국대학교 생명공학과) ,  홍권표 (건국대학교 생명공학과) ,  배동호 (건국대학교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 12개월 동안 미생물 정량시험을 통해 감자의 미생물학적인 안전성을 평가하였고 영양성분 및 일반성분 분석에 의한 영양적, 물성적인 평가를 실시하였다. 미생물학적 품질변화 평가에서 상온 냉장 저장 감자의 총호기성균(total aerobic bacteria)은 24주(6개월) 동안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48주(12개월) 동안 저장한 냉동저장 감자도 균수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생감자는 초기 총균수가 $5.3\;\log_{10}\;CFU/g$이며 물 세척 시 약 90%(1 log) 감소하여 $4.2\;\log_{10}\;CFU/g$가 되었다. 냉동저장 감자의 초기 총균수는 약 $2\;\log_{10}\;CFU/g$ 수준(g당 약 100마리) 이였다. 반면 상온저장 감자의 진균수(yeasts and molds)는 2개월(8주)까지 증가하다가(최대치: $3.22\;\log_{10}\;CFU/g$) 그 이후부터 감소 추세를 보였고 냉장저장 감자도 12주차 때, 최대치 $2.80\;\log_{10}\;CFU/g$를 보인 후 감소 추세를 보였다. 냉동저장 감자는 원 제품부터 진균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6개월(24주차)가지 불검출 상태를 유지하다가 그 이후부터 효모만 약 $1.5\;\log_{10}\;CFU/g$ 수준까지 증가하였다. 영양학적 품질변화 평가에서는 수분, 지방, 당, vitamin C, $B_1$, $B_2$의 함량 변화를 분석하였다. 상온 냉장저장 감자는 2개월(8주)간 수분함량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차는 없었다. 냉동저장 감자(whole potato)는 상온 냉장 저장감자(80% 전후)에 비하여 수분함량이 다소 낮았으며(60% 전후) 저장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Frozen shoe string potato를 제외한 나머지 상온, 냉장, 냉동저장 감자에서는 지방함량이 0.002-0.01%로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Frozen shoe string potato에서는 유지가 검출되었으며, 4주차까지 다소 감소하다가 그 후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상온저장 감자의 당 함량은 저장 4주차까지 증가하다가 그 후 급격히 감소하였고, 냉장저장 감자의 당 변화량은 상온저장 감자보다 작았지만 이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냉동저장 감자는 12개월간 당 함량이 조금씩 감소하였으나 상온, 냉장저장 감자에 비해 변화량이 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감자의 vitamin C 함량은 가공된 냉동감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온 냉장저장 감자의 vitamin C 함량은 4주차 이후부터 급격한 감소를 보였으나 냉동저장 감자의 경우 더욱 서서히 감소하였다. Vitamin C와 같이 생감자의 vitamin $B_1$, $B_2$, 함량은 가공된 냉동감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온 냉장저장 감자의 vitamin $B_1$, $B_2$ 함량은 각각 6, 4주차 이후부터 급격한 감소를 보였으나, 냉동저장 감자의 경우 48주(12개월)저장 중 함량변화가 없었다. 물성적 품질변화 평가에서 상온 냉장저장 감자의 무게와 부피는 24주간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냉동저장 감자의 무게와 부피 변화는 48주간 전혀 없었다. 상온 냉장저장 감자의 조직의 강도(hardness)는 24주간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냉동저장 감자는 48주간 hardness의 변화가 전혀 없었다. Frozen mashed 감자는 저장기간이 지날수록 응집력(cohesiveness)이 조금씩 떨어졌으나 다른 시료들은 전혀 변화가 없었다. 모든 시료의 저장기간 동안 색깔 변화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감자의 미생물학적, 영양학적, 물성 품질을 오래 동안 유지하기 위해서는 냉동저장이 상온이나 냉장저장보다 우수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d the microbial, nutritional, and rheological changes in potatoes, during storage at room, low, and freezing temperatures for 6 months. No significant changes in total aerobic plate counts were observed for any of the samples in the assessment of microbiological quality changes.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 정량 시험을 통해 생감자 및 냉동 감자의 저장 중 미생물학적인 품질 변화를 평가하였고, 영양성분 및 일반 성분 분석에 의한 영양적 평가와 물성적인 평가를 동시에 평가하여 냉동감자의 저장 중 품질 특성을 비교 확인하였다.

가설 설정

  • 1)Values with the same letters (a-g) do not differ significantly (p < 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o SB. Problems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in Jeju white potato marketing. Korean J. Agr. Manag. Pol. 30: 743-765 (2003) 

  2. Lim JH, Choi JH, Hong SI, Jeong MC, Kim DM. Quality change of fresh-cut potatoes during storage depending on the packaging treatm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933-938 (2005) 

  3. Yang YJ, Jeong JC, Byoun KE, Kim BT. Processing quality and storageability of potato (Solanum tuberosum L.) tubers affected by storage temperatures and sprout inhibitors. Korean J. Hort. Sci. Technol. 14: 104-105 (1996) 

  4. Jeong JC, Park KW, Yang YJ.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and reconditioning on the processing quality of potato (Solanum tuberosum L.) tubers. Korean J. Hort. Sci. Technol. 37: 362-368 (1996) 

  5. Ohlsson T. Minimal processing preservation methods of the future: An overview. Trends Food Sci. Tech. 5: 341-344 (1994) 

  6. Ahvenainen R. New approaches in improving the shelf life of minimally processed fruit and vegetables. Trends Food Sci. Tech. 7: 179-186 (1996) 

  7. Hwang TY, Son SM, Lee CY, Moon KD. Quality changes of fresh-cut packaged fuji apple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469-473 (2001) 

  8. Brecht JK. Physiology of lightly processed fruits and vegetables. Hort. Sci. 30: 18-21 (1995) 

  9. Hwang TY, Moon KD.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esh-cut potatoes with natural antibrowning treatment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183-187 (2006) 

  10. KFDA.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pp. 178-182 (2006) 

  11. Kang KH, Noh BS, Seo JH, WD. Food Analytics. Sungkyunkwan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pp. 109-110 (1998) 

  12. Ha SD, Kim AJ. Technical trends in safety of jeotgal. Food Sci. Ind. 38: 46-64 (2005) 

  13. Woo SK. Changes in physiolog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potatoe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Nutr. 12: 297-304 (1983) 

  14. Alejandro GM, Patricia MD, Rickey YY. Kinetic model for carbon partitioning in Solanum tuberosum tubers stored at 2^{\circ}C$ and the mechanism for low temperature stress-induced accumulation of reducing sugars. Biophys. Chem. 65: 211-220 (1997) 

  15. Montanez-Sanz JC, Ortiz-Cisneros J, Reyes-Vega M, Contreras- Esquivel JC, Aguilar CN. Biochemical and textural changes in potato tissue during water immersion at low temperatures. Food Sci. Biotechnol. 12: 233-237 (2003) 

  16. Yoon JT, Kwon HJ, Hong GP, Ahn MS, Heu NK, Lim HT, Kim KH. The change of nutrient composition in the edible potato varieties during storage. Korean J. Hort. Sci. Technol. 17: 467-469 (1999) 

  17. Nourian F, Ramaswamy HS, Kushalappa AC. Kinetics of quality change associated with potatoes stored at different temperatures. Lebensm.-Wiss. -Technol. 36: 49-65 (2003) 

  18. Cheong JKCWY, Govinden N. Quality of potato during storage at three temperatures. pp. 175-179. In: Proceedings of the 3rd Annual Meeting of Agricultural Scientists. November 17-18, Reduit, Mauritius. Reduit Food and Agricultural Research Council, Reduit, Mauritius (1999) 

  19. Jeon TW, Cho YS, Lee SH, Cho SM, Cho HM, Chang KS, Park HJ. Studies on the biological activitie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igments extracted from Korean purple-fleshed potato.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47-254 (2005) 

  20. Chung HJ, Cho SJ, Chung JH, Shin TS, Son HS, Lim ST. Phys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cowpea and acorn starches in comparison with corn and potato starches. Food Sci. Biotechnol. 7: 269-275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