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인터넷 건강정보 이용 후의 건강관련 행태 경로 분석
The Analysis of Health Related Behavior after Using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원문보기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예방의학회지, v.41 no.2, 2008년, pp.121 - 127  

조희숙 (강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  김화종 (강원대학교 IT 특성학부) ,  송예리아 (강원도 건강증진사업지원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ealth information such as the general health information, the health product information, and the hospital information, and we want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internet health information and the health related behavior by analyzing the process aft...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사회보험제도 하에서 자유로이 의사를 선택 할 수 있는 의료제도는 의료소비자들로 하여금 국외의 인터넷 건강정보의 이용양상과는 다른 이용행 태를 보일 수 있다.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인터넷 건강정보 이용 후의 건강관련 행태 및 의료이용 행태 경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존재한다. 그러나이 연구는최근 1년간 이용한 인터넷 건강정보를 이용 목적별로 구분하고 각 정보 이용 후의 행태 경로를 제시 함으로써 인터넷 건강정 보와 건강 관련 행 태와의 관련성 을 이 해하고자 시도되었다. 분석결과, 일반 건강정보 탐색의 경우-68.
  • 첫째, 인터넷 건강정보는 건강관련 행태에 있어서 비전문가적 의뢰단계를 대신하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전문가적 의뢰단계로 간주하여 더 이상의 추가적 인 노력을 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정보의 신뢰도를 포함한 질적 수준을 향상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 한다. 둘째, 인터넷 건강정보가 기존에 이루어지고 있는 의료이용 및 환자-의사와의 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측면의 개발이 필요하다.
  • 본 연구는 지 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인터넷 건강정보 이용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설계되었다. 그러나 전화 조사 방법을 적용함에 있어 발생하는 제한점, 즉 전화 보유율의 차이, 전화번호부등재 누락 및 전화를 거 절하는 경우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1년 동안의 정보 이용과 건강관련 행태 경험을 회상해야 하는 점에서 기억에 의한 편견이 존재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Jadad AR, Gagliardi A. Rating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Navigating to knowledge or to Babel? JAMA 1998; 279(8): 611-614 

  2. Kassirer JP. The next transformation in the delivery of health care. N Engl J Med 1995; 332(1): 52-53 

  3. Rodney MC. Sociology of Medicine, 2nd ed. New York: McGraw-Hill; 1978. p. 661-662 

  4. Bass SB, Ruzek SB, Gordon TF, Fleisher L, McKeown-Conn N, Moore D. Relationship of Internet health information use with patient behavior and self-efficacy: Experiences of newly diagnosed cancer patients who contact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s Cancer Information Service. J Health Commun 2006; 11(2): 219- 236 

  5. Brennan PF, Moore SM, Bjornsdottir G, Jones J, Visovsky C, Rogers M. Heart care: An internet-based information and support system for patient home recovery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CABG) surgery. J Adv Nurs 2001; 35(5): 699-708 

  6. Eysenbach G. Consumer health informatics. BMJ 2000; 320(7251): 1713-1716 

  7. Ybarra ML, Suman M. Help seeking behavior and the Internet: A national survey. Int J Med Inform 2006; 75(1): 29-41 

  8. Gustafson DH, Hawkins R, Boberg E, Pingree S, Serlin RE, Graziano F, et al. Impact of a patient-centered, computer-based health information/support system. Am J Prev Med 1999; 16(1): 1-9 

  9. Cline RJ, Haynes KM. Consumer health information seeking on the Internet: The state of the art. Health Educ Res 2001; 16(6): 671-692 

  10. Impicciatore P, Pandolfini C, Casella N, Bonati M. Reliability of health information for the public on the World Wide Web: Systematic survey of advice on managing fever in children at home. BMJ 1997; 314(7098): 1875-1879 

  11. Dickerson S, Reinhart AM, Feeley TH, Bidani R, Rich E, Garg VK, et al. Patient internet use for health information at three urban primary care clinics. J Am Med Inform Assoc 2004; 11(6): 499-504 

  12. Wilkins ST, Navarro FH. Has the Web really empowered health care consumers? The truth is customers may not have changed as much as we think. Mark Health Serv 2001; 21(3): 5-9 

  13. Lorence DP, Park H, Fox S. Assessing health consumerism on the web: A demographic profile of information-seeking behaviors. J Med Syst 2006; 30(4): 251-258 

  14. Ryu SW, Ha YJ. Usage of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Health Welf Policy Forum 2004; 11: 71-87. (Korean) 

  15. Kim HJ, Park HA. Selection criteria and utilization of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by consumers. J Korean Soc Med Inform 2004; 10(1): 55-68. (Korean) 

  16. Susannah F. Health Information Online. Pew Internet & American Life Project [cited 2007 June 13]. Available from: URL:http:// pewinternet.org/pdfs/PIP_Healthtopics_May05 .pdf 

  17. Cho KW, Kam S, Chae YM. Analysis of internet usage patterns of health consumers for internet health information assessment criteria. J Korean Soc Health Educ Promotion 2007; 24(2): 15-28. (Korean 

  18. Michael K. Likelihood of teen and adult engagement in online activities. 2005. [cited 2007 June 13]. Available from URL: http://www.clickz.com/Show Page.html? page3523376 

  19. Bundorf MK, Wagner TH, Singer SJ, Baker LC. Who searches the internet for health information? Health Serv Res 2006; 41(3 Pt 1): 819-836 

  20. Baker L, Todd HW, Singer S, Bundorf K. Use of the internet and e-mail for health care information, results from a national survey. JAMA 2003; 289(18): 2400-2405 

  21. Cotten SR, Gupta SS. Characteristics of online and offline health information seekers and factors that discriminate between them. Soc Sci Med 2004; 59(9): 1795-1806 

  22. Bae SS. Health-related behaviors: Theoretical models and research findings. Korean J Prev Med 1993; 26(4): 508-533. (Korean) 

  23. Chae Y, Lee S, Cho W. Information searching behavior of health care consumers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Korean J Prev Med 2001; 34(4): 389-398. (Korean) 

  24. Madden M, Fox S. Finding answers online in sickness and in health. Pew Internet & American Life Project. [cited 2007 June 13]. Available from URL::http://www.pewinternet. org/pdfs/PIP_Health_Decisions_2006.pdf 

  25. Song TM. The Evaluation of National Health Promotional Information System.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5. p. 117-122.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