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지형' 및 '난지형' 마늘의 저장온도에 따른 품질 특성
The Qualities of Northern and Southern Ecotype Garlic Bulbs at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5 no.5, 2008년, pp.635 - 641  

배로나 (서울대학교 농생명과학공동기기원) ,  최선영 (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 ,  홍윤표 (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지형 '재래(6쪽)' 마늘과 난지형 서산산 ’대서’종을 수확, 예건하여 수분함량 $60{\sim}65%$ 되도록 저장 전처리를 한 후 상온 저장, $0^{\circ}C$ 저장, 그리고 빙점 근접 저장 온도인 $-4^{\circ}C$에서 저장하면서 품질을 조사하였다. 무게 감소율은 모든 저장 온도에서 난지형 마늘이 한지형 마늘보다 감소율이 컸으며, 저장 온도별로는 두 품종 모두 실온저장이 가장 크고, $0^{\circ}C$ 저장, 그리고 $-4^{\circ}C$ 저장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지형 마늘 $-4^{\circ}C$ 저장구는 저장 10개월 동안 무게 감소율이 5% 이하였다. 맹아율은 두 품종 모두 실온 저장에서 가장 높았고 $0^{\circ}C$ 저장, $-4^{\circ}C$ 저장 순이었으며 실온 저장에서는 난지형 마늘이 한지형 마늘보다 맹아율이 높았다. 반면, 한지형 마늘은 저장 10개월까지 $0^{\circ}C$ 저장, $-4^{\circ}C$ 저장구에서 맹아율이 50% 이하로 나타났다. 병충해율은 두 품종 모두 실온 저장에서 병충해 발생이 가장 많았고, 0$^{\circ}C$ 저장, $-4^{\circ}C$ 저장에서는 20% 이하였으며, 저장 6개월 이후로는 실온 저장구에서 난지형 마늘보다 한지형 마늘에서 병충해 발생이 많았다. 황색도를 나타내는 Hunter 'b' 값은 난지형 마늘의 경우 $-4^{\circ}C$ 저장 처리구가 가장 낮았고 $0^{\circ}C$ 저장, 실온 저장 순이었으며, 한지형 마늘은 $0^{\circ}C$$-4^{\circ}C$가 큰 차이 없이 높고 실온저장이 낮았다. 호흡량과 에틸렌 발생량은 두 품종 모두 실온 저장구가 가장 많았고 $0^{\circ}C$$-4^{\circ}C$ 저장구는 증가량이 매우 적었다. 동해 발생을 조사한 결과 한지형 마늘에서는 동해 발생이 없었고, 난지형 마늘에서 $-4\circ}C$ 저장시에 $0{\sim}5.3%$의 동해발생이 있었다. 저장 중 enzymatic pyruvic acid 함량은 한지형 마늘에서 높았으며, 저장기간 동안 함량이 증가하였다. Fructan 함량은 $0^{\circ}C$$-4^{\circ}C$에서 저장시 감소가 많이 되었으며, 상온 저장은 감소를 지연시켰다. 한지형 마늘의 경우 실온 및 $0^{\circ}C$에서 저장하는 것보다 무게 감소율 및 맹아율이 적고 동해가 없는 빙점 근접 저장인 $-4^{\circ}C$에서 저장하는 것이 10개월 동안 좋은 품질을 유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ptimal sub-zero temperature for storage of two garlic cultivars, the northern ecotype 'Jaerae' and the southern ecotype 'Daeseo'. These cultivars of garlic bulbs were stored at different temperature (room temperature, $0^{\circ}C$, and $-4...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산지가 서산인 한지형 ‘재래’마늘과 도입종인 난지형 ‘대서’ 마늘을 빙점 근접 온도에서 저장하여 동해를 입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저장 가능한 최저 온도 조건을 구명하여 저장중의 손실을 최소로 줄이고, 난지형 마늘과 한지형 마늘의 온도별 저장에 의한 품질의 차이점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지형 마늘과 난지형 마늘은 어디서 생산되는가? 마늘은 생태형에 따라 크게 한지형과 난지형으로 구분되는데, 한지형은 다소 추운 지방에서 재배되고 난지형은 온난한 남쪽에서 재배된다(10). 생태형이 다른 마늘은 품질 및 저장성에서 차이를 보이는데, 난지형 마늘은 한지형에 비해 매운맛이 적고 저장성이 약해 저온저장을 한다.
마늘을 장기저장하기 위한 방법으로 무엇이 있는가? 마늘은 저장시 호흡작용에 의해 장기저장시 발아와 중량 감소 등의 변화가 있어서 장기저장을 위한 방법으로는 저온저장법(13), 환경기체조절 포장법(15), 화학약제 처리법(16), 방사선 조사법(17) 등이 있다. 저온저장법은 현재 가장 실용화가 잘 되어 있어 많이 이용되는 방법이다.
마늘 보관방법 중 화학약제 처리법의 특징은 무엇인가? 화학약제 처리법은 수분증발을 방지 처리와 생장 조절물질을 이용한 노화 및 발아 억제법이 있다. 마늘의 발아억제를 위해서 maleic hydrazide (MH)-30 약제를 살포하여 이듬해 4, 5월까지 싹이 트지 않게 저장하였으나, 종자용 마늘에는 사용이 불가능하고, 처리효과의 조절과 신경성 경련을 유발하는 안전성에 문제점이 있어서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16). 또한, 감마선 조사(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im, M.G., Kim, S.Y., Shin, W.S. and Lee, J.S.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garlic juice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H7.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752-755 

  2. Harris, J.C., Cottrell, S.L., Plummer, S., Lloyd, D. (2001) Antimicrobial properties of Allium sativum (garlic). Appl. Microbiol. Biotechnol., 57, 282-286 

  3. Belman, S. (1983) Onion and garlic oils inhibit tumor promotion. Carcinogenesis, 4, 1063-1067 

  4. Cavagnaro, P.F., Camargo, A., Galmarini, C.R. and Simon, P.W. (2007) Effect of cooking on garlic (Allium sativum L.) antiplatelet activity and thiosulfinates content. J. Agric. Food Chem., 55, 1280-1288 

  5. David, K. (1991) The effect of dietary garlic on the develop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Trends Food Sci. Tech., 2, 141-144 

  6. Stroll, A. and Seebeck, E. (1951) Chemical investigation on alliin, the specific principle of garlic. Adv. Enzymol., 11, 377-400 

  7. Lee, J.M., Cha, T.Y., Kim, S.H., Kwon, T.K, Kwon, J.H. and Lee, S.H. (2007) Optimization of hot-water extraction condition of garlic using 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Preserv., 14, 385-393 

  8. Stroll, A. and Seebeck, E. (1949) Uber din enzymatischen abau des allins und die eigenschaften der alliinase. Helv. Chim. Acta., 32, 197-198 

  9. Park, Y.K. and Kang, Y.H. (2000) Enzymatic maceration of vegetables with cell separating enzyme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7, 184-188 

  10. Pyo, H.K., Chung, J.I. and Lee, K.H. (1975) Vegetables. Hyangmun Press. Korea. p. 254 

  11. Hwang, J.M. (1988) Effects of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before and after planting on bulb dormancy and development in garlic (Allium sativum L.).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 Seoul, Korea 

  12. Jo, J.S. (1990) Food materials. Gijeunyungusa. Seoul, Korea, p. 154-155 

  13. Park, M.H., Kim, J.P. and Shin, D.H. (1988) Studies on the optimal conditions for the storage of fresh garlic bulb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213-217 

  14. Park, M.H., Kim, J.P. and Shin, D.B. (1988) Studies on cold resistance of garlic bulbs at subzero temperature.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200-204 

  15. Hong, S.I., Kim, Y.J. and Park, N.H. (1994) Changes of gas composition in package of fresh peeled garlic by packaging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713-717 

  16. USDA (1980) Technical Bulletin, 1934, 1-13 

  17. Kwon, J.H., Byun, M.W. and Cho H.O. (1985)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dose and timing of treatment after harvest on the storeability of garlic bulbs. J. Food Sci., 50, 379-381 

  18. Choi, S.T., Chang, K.S., Lim, B.S., Lee, C.S. and Kim, Y.B. (1998) Effect of storage and marketing condition on biochemical property changes of garlic (Allium sativum L.). Korean J Food Preserv., 5, 111-117 

  19. Jang, H.S. and Hong, G.H. Change of physicochemical quality according to its storage temperature in garlic (Allium sativum L.) Korean J. Food Preserv., 5, 119-123 

  20. Fennema, O.R., Powrie, W.D. and Marth, E.H. (1983) Lowtemp. Preservation of foods and living matter. Marcel Dekker. New York, U.S.A. p.121 

  21. ASHRAE (1977) Hand book and Product directory.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 Inc. New York, U.S.A. p. 19. 1 

  22. Lovelock, J.E. and Bishop, M.W.H. (1959) Prevention of freezing damage to living cells by dimethyl sulphoxide. Nature, 183, 1394-1395 

  23. Jeong, Y.C. and Park, K.W. (1994) Effects of variety and bulb size on the quality changes during storage of garlic (Allium sativum L.). J. Korean. Soc. Hort. Sci., 40, 131-138 

  24. Lee, W.S. (1974) Studies on dormancy of Korean local garlics. J. Korean Soc. Hort. Sci., 15, 118-141 

  25. Park, Y.B. (1988) Effect of planting time, seed bulb storage temperature and long day treatment on the growth of northern and southern type garlic in Cheju. Ph.D. thesis. Cheju Univ., Cheju, Korea 

  26. Choi, S.T., Chang, K.S., Lim, B.S., Lee, C.S. and Kim, Y.B. (1998) Effect of storage and marketing condition on biochemical property changes of garlic (Allium sativum L.). Korean J Food Preserv., 5, 111-11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