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계 고등학교 의상과 교육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고자 전국의 전문계 고등학교 의상과 교육현황을 자료를 통해 조사하고, 의상과 교육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을 설문지를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문계 고등학교 의상과는 전국 10개교이며 학과 명칭이 다양했다. 교사의 교원자격 표시과목은 의상, 가정 등이고, 실습실은 각 학교마다 2~7개가 설치되었다. 전문교과 단위 수는 82~112단위로, 의복재료관리, 복식디자인, 서양의복구성은 10개 학교에서, 한국의복구성은 9개 학교에서 개설하였고, 홈패션, 편물, 한국무늬, 자수과목의 개설 빈도는 낮았다. 학생의 의상과 선택 동기는 대학진학 가능성이 가장 컸고 만족도는 보통이었다. 전문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이었고, 이론과 실습 모두 다소 어렵고, 이론과 실습시간의 비율은 적당하다고 인식했다. 서양의복구성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자수/편물은 폐지되기를 원했고, 패션코디가 개설되기를 희망했다. 실습시설에 대해 보통의 만족을 보였고, 현장실습은 다소 필요하다고 인식했다. 대부분 졸업 후 진학을 희망했고, 실습시설 및 기자재 확충 요구가 가장 높았다. 교사는 전문교과 교육과정에 대해 보통으로 만족하고 불만족 이유는 산업체와의 거리감 때문이 가장 많았다. 교과서의 개선이 필요하며, 이론과 실습 모두 다소 어렵게 느꼈고, 이론과 실습의 비율은 적당하고, 전문교과 교과목 수는 보통이라고 인식했다. 서양의복구성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자수/편물 과목의 폐지를 바랬으며, 패션CAD의 개설을 희망했다. 실습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이며, 현장실습의 필요성은 보통이라고 하였다. 학생의 진로로 취업보다 진학이 전망이 밝다고 인식하였고, 진학위주로 교육하고 있었다. 연수 내용으로 유행하는 패턴 연수가 가장 필요하다고 하였다. 애로사항으로 수업 외 업무과중을 들었으며 교원 수의 증가를 원했다. 의상과 교육은 직업교육과 계속교육의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직업교육을 위해 산업체 현장실습과 같은 산학연계 등을 통해 취업에 힘쓰고 이를 위해 다양한 실습 프로그램을 개발해 실습수업을 활성화 해야 할 것이다. 또한 현실적으로 대학 진학을 원하는 학생들이 많으므로 계속교육에 대한 요구도 무시할 수 없어 동일계 전형을 통한 대학 입학도 적극 지원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의상과 전문교과의 내용수준을 교사와 학생 모두 다소 어렵게 느끼고 있으므로 교과내용 수준의 조정이 필요하며 중요도와 선호도에 따른 교과목의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증원이 필요하며,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의상과는 의상전공 교사가 담당해야하며, 교사의 재교육으로 다양하고 정기적인 연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전문계 고등학교 의상과 교육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고자 전국의 전문계 고등학교 의상과 교육현황을 자료를 통해 조사하고, 의상과 교육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을 설문지를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문계 고등학교 의상과는 전국 10개교이며 학과 명칭이 다양했다. 교사의 교원자격 표시과목은 의상, 가정 등이고, 실습실은 각 학교마다 2~7개가 설치되었다. 전문교과 단위 수는 82~112단위로, 의복재료관리, 복식디자인, 서양의복구성은 10개 학교에서, 한국의복구성은 9개 학교에서 개설하였고, 홈패션, 편물, 한국무늬, 자수과목의 개설 빈도는 낮았다. 학생의 의상과 선택 동기는 대학진학 가능성이 가장 컸고 만족도는 보통이었다. 전문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이었고, 이론과 실습 모두 다소 어렵고, 이론과 실습시간의 비율은 적당하다고 인식했다. 서양의복구성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자수/편물은 폐지되기를 원했고, 패션코디가 개설되기를 희망했다. 실습시설에 대해 보통의 만족을 보였고, 현장실습은 다소 필요하다고 인식했다. 대부분 졸업 후 진학을 희망했고, 실습시설 및 기자재 확충 요구가 가장 높았다. 교사는 전문교과 교육과정에 대해 보통으로 만족하고 불만족 이유는 산업체와의 거리감 때문이 가장 많았다. 교과서의 개선이 필요하며, 이론과 실습 모두 다소 어렵게 느꼈고, 이론과 실습의 비율은 적당하고, 전문교과 교과목 수는 보통이라고 인식했다. 서양의복구성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자수/편물 과목의 폐지를 바랬으며, 패션CAD의 개설을 희망했다. 실습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이며, 현장실습의 필요성은 보통이라고 하였다. 학생의 진로로 취업보다 진학이 전망이 밝다고 인식하였고, 진학위주로 교육하고 있었다. 연수 내용으로 유행하는 패턴 연수가 가장 필요하다고 하였다. 애로사항으로 수업 외 업무과중을 들었으며 교원 수의 증가를 원했다. 의상과 교육은 직업교육과 계속교육의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직업교육을 위해 산업체 현장실습과 같은 산학연계 등을 통해 취업에 힘쓰고 이를 위해 다양한 실습 프로그램을 개발해 실습수업을 활성화 해야 할 것이다. 또한 현실적으로 대학 진학을 원하는 학생들이 많으므로 계속교육에 대한 요구도 무시할 수 없어 동일계 전형을 통한 대학 입학도 적극 지원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의상과 전문교과의 내용수준을 교사와 학생 모두 다소 어렵게 느끼고 있으므로 교과내용 수준의 조정이 필요하며 중요도와 선호도에 따른 교과목의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증원이 필요하며,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의상과는 의상전공 교사가 담당해야하며, 교사의 재교육으로 다양하고 정기적인 연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suggest effective management of clothing department in vocational high schools. Bibliographic research on ten vocational high schools' clothing departments was done. Also a survey was done to figure out what students and teachers think of clothing department educatio...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suggest effective management of clothing department in vocational high schools. Bibliographic research on ten vocational high schools' clothing departments was done. Also a survey was done to figure out what students and teachers think of clothing department edu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are ten clothing departments in vocational high schools countrywide. 1493 students are enrolled in the department and they are taught by 51 teachers. Each school has two to seven laboratories. Professional subject time assignment of clothing department varies from 82 to 112 hours. Students chose clothing department in order to enter the university and their satisfaction on the department was "fair." Students' satisfaction level of professional education courses was "fair" and they felt difficulties both in theory and practice. Students answered that Embroidery/Knitting courses should be closed and Fashion Coordination be opened. Students were "fairly" satisfied with facilities for practice and felt job training was necessary. Most of them wanted to enter university after high school graduation. Teachers answered professional education curriculum was "fair." They found it necessary to improve the textbooks and felt both theory and practice difficult. They wanted Embroidery/Knitting courses to be closed and Fashion CAD course to be installed. From the teachers' view, students' prospect was better to enter university than to get a job. Teachers suffered from too much teaching-unrelated workload and wanted the number of teachers to be increased.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vocational high schools should concentrate their efforts on making students continue to study by extending the way to enter the same department of university as depart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s. In addition, they should develop various practice programs through field practice and educational-industrial relationship to help students get jobs. Both teachers and students think that the clothing department curriculum is difficult now. Therefore, the level of the curriculum should be adjusted. Finally, it wa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teachers and to carry out teachers' training to raise quality in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suggest effective management of clothing department in vocational high schools. Bibliographic research on ten vocational high schools' clothing departments was done. Also a survey was done to figure out what students and teachers think of clothing department edu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are ten clothing departments in vocational high schools countrywide. 1493 students are enrolled in the department and they are taught by 51 teachers. Each school has two to seven laboratories. Professional subject time assignment of clothing department varies from 82 to 112 hours. Students chose clothing department in order to enter the university and their satisfaction on the department was "fair." Students' satisfaction level of professional education courses was "fair" and they felt difficulties both in theory and practice. Students answered that Embroidery/Knitting courses should be closed and Fashion Coordination be opened. Students were "fairly" satisfied with facilities for practice and felt job training was necessary. Most of them wanted to enter university after high school graduation. Teachers answered professional education curriculum was "fair." They found it necessary to improve the textbooks and felt both theory and practice difficult. They wanted Embroidery/Knitting courses to be closed and Fashion CAD course to be installed. From the teachers' view, students' prospect was better to enter university than to get a job. Teachers suffered from too much teaching-unrelated workload and wanted the number of teachers to be increased.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vocational high schools should concentrate their efforts on making students continue to study by extending the way to enter the same department of university as depart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s. In addition, they should develop various practice programs through field practice and educational-industrial relationship to help students get jobs. Both teachers and students think that the clothing department curriculum is difficult now. Therefore, the level of the curriculum should be adjusted. Finally, it wa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teachers and to carry out teachers' training to raise quality in educ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