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유통 중인 농산물의 중금속 함량 모니터링
Survey of Heavy Metal Contents of Circulating Agricultural Product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1 no.3 = no.205, 2009년, pp.238 - 244  

김희연 (서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김재인 (서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안전관리과) ,  김진철 (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수입식품분석과) ,  박지은 (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수입식품분석과) ,  이경진 (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수입식품분석과) ,  김성일 (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수입식품분석과) ,  오재호 (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수입식품분석과) ,  장영미 (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수입식품분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식품공전의 농산물 중금속 기준규격 설정으로 인한 사후 관리 차원에서 유통 중인 농산물 10품목에 대하여 중금속 함량을 조사하였다. 전국에서 유통 중인 다소비 농산물 쌀, 옥수수, 대두, 팥, 감자, 고구마, 배추, 무, 시금치, 파 421건을 2007년 4월부터 10월까지 구입하고 중금속 4종(As, Cd, Pb, Hg)을 수은분석기 및 ICP-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시료의 분해는 microwave법을 이용하였으며 분석 장비로 사용된 ICP-MS 및 수은분석기의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는 각각 0.002-0.025 ${\mu}g/kg$ 및 0.023 ${\mu}g/kg$로 높은 감도를 나타내었다. 10품목의 농산물에 대한 중금속 4종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납의 평균값은 쌀 0.021, 옥수수 0.020, 대두 0.028, 팥 0.034, 고구마 0.025, 감자 0.021, 배추 0.019, 시금치 0.031, 파 0.021, 무 0.011 mg/kg으로 나타났고 카드뮴은 쌀 0.021, 옥수수 0.002, 대두 0.020, 팥 0.006, 고구마 0.008, 감자 0.011, 배추 0.007, 시금치 0.035, 파 0.006, 무 0.006 mg/kg, 비소는 쌀 0.103, 옥수수 0.005, 대두 0.007, 팥 0.005, 고구마 0.005, 감자 0.004, 배추 0.007, 시금치 0.0152, 파 0.009, 무 0.006 mg/kg, 수은은 쌀 2.3, 옥수수 0.2, 대두 0.6, 팥 1.4, 고구마 0.1, 감자 0.3, 배추 0.5, 시금치 2.1, 파 0.5, 무 0.2 ${\mu}g/kg$의 결과를 보였다. 2006년에 설정된 기준규격에 대해 초과한 것은 한 건도 없었다. 또한 2005년 국민영양조사 결과보고서의 1일 섭취량을 근거로 FAO/WHO의 중금속 잠정주간섭취허용량과 비교하면 Pb, Cd 및 Hg은 각각 2.6, 8.7, 및 1.2% 수준으로 식이를 통한 안전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urvey was conducted as a surveillance program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safety guidelines for agricultural products in Korea. Concentrations of arsenic (As), cadmium (Cd), lead (Pb), and mercury (Hg) were measured in 421 samples using a mercury analyzer or ICP-MS. The average levels of P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식품공전의 농산물 중금속 기준규격 설정으로 인한 사후 관리 차원에서 유통 중인 농산물 10품목에 대하여 중금속 함량을 조사하였다. 전국에서 유통 중인 다소비 농산물 쌀, 옥수수, 대두, 팥, 감자, 고구마, 배추, 무, 시금치, 파 421건을 2007년 4월부터 10월까지 구입하고 중금속 4종(As, Cd, Pb, Hg)을 수은분석기 및 ICP-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개정된 식품공전에서는 시험용액의 제조에 산분해법, microwave 분해법 및 건식회화법을 제시하고 있다(5). 본 연구에서는 산분해법 및 microwave 분해법에 대한 비교실험을 하였다.
  • 2005년에 식품의약품안전청을 중심으로 농림부 및 환경부와 함께 평야지역 및 폐광인근지역을 포함하여 유통·수입 농산물 등, 우리나라 농산물 10종에 대한 중금속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이들에 대한 중금속 기준규격을 설정하였다(3). 본 연구에서는 서울, 인천, 대전을 중심으로 유통되는 농산물 중 기준규격이 설정된 쌀, 대두, 팥, 옥수수, 고구마, 감자, 배추, 시금치, 파, 무에 대하여 비소, 납, 카드뮴, 수은 등 4종의 중금속 함량을 조사하여 중금속 오염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금속 오염의 어떤 특징 때문에, 어떤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가? 각종 산업체로부터 발생되고 있는 중금속 물질로 인한 대기, 수질, 토양 등의 환경오염이 날로 심각해지면서 인체 또한 중금속 오염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게 증가되었다. 중금속은 자연적 또는 인위적인 방법으로 쉽게 분해되거나 제거되지 않으며 저농도일지라도 인체에 유입되었을 경우 축적되어 심각한 건강상의 위해를 끼칠 우려가 있다. 또한 오염원의 분포가 광범위하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토양, 농업용수, 농산물 등에 대한 실태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고 동물이나 인체에 미치는 독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1,2). 식품의 중금속 오염은 식품의 수확, 가공, 포장 등의 과정에서 우발적으로 일어나기도 하지만, 대부분 오염된 물과 토양 또는 대기 오염이 심한 지역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에서 일어난다.
산분해법의 단점은? 분해방법에 따라 회수율 실험결과는 Table 3과 같다. 산분해법의 경우 분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많은 양의 산을 사용하기 때문에 안전에 우려가 있었다. 그에 비해 microwave 분해법은 밀폐 용기 내에서 조작하기 때문에 저 비점 원소의 휘발이 적고 분해 시간이 빠르며, 조작환경과 시약으로부터의 오염이 적고, 적은 양의 산을 사용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microwave 분해법의 장점은? 산분해법의 경우 분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많은 양의 산을 사용하기 때문에 안전에 우려가 있었다. 그에 비해 microwave 분해법은 밀폐 용기 내에서 조작하기 때문에 저 비점 원소의 휘발이 적고 분해 시간이 빠르며, 조작환경과 시약으로부터의 오염이 적고, 적은 양의 산을 사용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Sastre 등(7)는 중금속의 전처리 방법 중 microwave법과 국제표준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11466의 습식분해법 을 비교한 결과, 유기물이 높은 시료 내 중금속을 모니터링 목적으로 조사할 때는 microwave법이 우수한 전처리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ee TJ, Kim KC, Shin IC, Han KS, Shim TH, Ryu MJ, Lee JK. Survey on the contents of trace heavy metals in agricultural products of Gangwon-do. Rep. Inst. Health Environ. 7: 75-87 (1996) 

  2. Park JS, Lee MK. A study on contents of heavy and trace metal of the agricultural products around mines located in Chollanamdo. Korean J. Food Nutr. 15: 64-69 (2002) 

  3. Lee JO, Sho YS, Oh KS, Kang KM, Suh JH, Lee EJ, Lee YB, Park SS, Kim HY, Woo GZ. Heavy metal survey of agricultural products in Korean circulation market, Annu. Rep. KFDA, Korea 9: 953 (2005) 

  4. KFDA,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p. 9-1-5 (2008) 

  5. KFDA,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p. 10-6-13 (2008) 

  6. FAPAS. Metallic contaminants in powdered rice-Report to participants in food analysis performance assessment scheme. The Food Analysis Performance Assessment Scheme, The Food and Environment Research Agency, Sand Hutton, York, UK (2007) 

  7. Sastre J, Sahuquillo A, Vidal M, Rauret G. Determination of Cd, Cu, Pb, and Zn in environmental samples: Microwave-assisted total digestion versus aqua regia and nitric acid extraction. Anal. Chim. Acta 462: 59-72 (2002) 

  8. U.S. EPA. EPA Method 3052, Microwave assisted acid digestion of siliceous and organically based matrices. Envioronment Protectoin Agency. OH, USA (1995) 

  9. Lee JO, Kim MH, Sho YS, Lee YD, Chung SY, Park SK, Kang MC, Park HJ. The monitoring of heavy metals in foods -Heavy metal contents in cereals-, Annu. Rep. KFDA, Korea 6: 76-82 (2002) 

  10. Park JS, Na HS. Analysis of trace metal in agricultural products, Korean J. Food Nutr. 13: 595-601 (2000) 

  11. Nam HS, Won YJ, Seo IW, Yoon CY, Lee DM, Park DH, Lee HM, Kim SS, Kim HJ, Lee KY. Study on hazardous metal contents of circulating vegetables in Korea, Annu. Rep. KFDA, Korea 6: 162-168 (2002) 

  12. Kim MH, Chang MI, Chung SY, Sho YS, Hong MK. Trace metal contents in cereals, pulses, and potatoes and their safety evalua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364-368 (2000) 

  13. Ministry of Agriculture, Fisheries and Food(MAFF). Survey of lead and cadmium in foods. Food surveillance paper No. 113. publ HMSO, London, UK. pp. 1-6 (1997) 

  14. Ikebe K, Nishimune T, Tanaka R. Contents of 17 metal elements in food determin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ry (cereals, pulses, and processed foods, seaweeds and seeds). J. Food Hyg. Sco. Jpn. 32: 48-53 (1991) 

  15. Australia Food Authority. The 1992 Australian market basket survey - a total diet survey of pesticides and contaminants, Australia (1992) 

  16. Ikebe K, Nishimune T, Sueki K. Contents of 17 metal elements in food determin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ry (vegetables, fruits, potatoes and fungi). J. Food Hyg. Soc. Jpn. 31: 382-393 (1990) 

  17. Reilly C. Metal Contamination of Food. Blackwell Science Ltd. London, UK. pp. 81-94 (2002) 

  18. WHO. Environmental Health Criteria 3-Lead.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Switzerland. pp. 30-40 (1977) 

  19. Ros JPM, Sloof W. Integrated criteria documents cadmium. Report of National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RIVM 758476004, Bilthven, The Netherlands (1985) 

  20. Cuadrado C, Kumpulainen J, Carbajal A, Moreiras O. Cereals contribution to the total dietary intake of heavy metals in Madrid, Spain. J. Food Compos. Anal. 13: 495-503 (2000) 

  21. WHO: Cadmium (Environmental Health Criteria 134),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Switzerland. pp. 131-195 (1992) 

  22. Kim SH, Jang MI, Moon GI, Oh HS, An KA, Cho MJ, Kang SM, Kim JA, Yoo SY, Lee KY. Studies on Heavy Metal Contamin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Soils and Irrigation waters in Abandoned mines of Daegu.Kyungpook province. Annu. Rep. KFDA. 8: 388-397 (2004) 

  23. D'Ilio S, Alessandrelli M, Cresti R, Forte G, Caroli S. Arsenic contents of various types of rice as determined by plasma based techniques. Microchem. J. 73: 195-201 (2002) 

  24. Roychowdhury T, Tokunaga H, Ando M. Survey of arsenic and other heavy metals in food composites and drinking water and estimation of dietary intake by the villagers from an arsenicaffected area of West Bengal, India. Sci. Total Environ. 308: 15-35 (2003) 

  25. Reilly C. Metal Contamination of Food. 2nd Ed. Elsevier Applied Science. London, UK. (1991) 

  26. WHO. Environmental Health Criteria 18-Arsenic.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Switzerland. pp. 43-50 (1989) 

  27. FAO. Summary of evaluations performed by the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JECFA). International Life Science Institute, Geneva. Switzerland (1994) 

  28. Kim MH, Sho YS, Kim EJ, Chung SY, Hong MK. Studies on heavy metal contamin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soils and irrigation waters in abandoned mines. J. Food Hyg. Safety 17: 178-182 (2002) 

  29. Lee JK, Chang KE, Seo IW, Yoon CY, Paek OJ, Kim PS, Lee HM, Kim MJ, Roh HJ, Kim SS, Cho BS. Study on hazardous metal contents of circulating vegetables in Korea. Annu. Rep. KFDA. 7: 328-332 (2003) 

  30. MHW.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Report. 3rd ed.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Korea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