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0 no.4, 2009년, pp.15 - 31
이주희 (동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정현주 (동신대학교)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hips between the stress of families with autistic children, the social adaptation of autistic children and whether this relationship is moderated by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The subjects were mothers of autistic children attending a special school for child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자폐성 장애아동의 문제는 더 이상 가족 내부에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닌 이유는? | 가족의 역량강화도 물론 중요하지만 ‘도움’의 의미로서의 사회적 지지는 여전히 중요하다. 특히 현대사회는 핵가족화로 인하여 자폐성 장애아동의 양육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가족구성원이 점점 줄어들고 있어서 자폐성 장애아동의 문제는 더 이상 가족 내부에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또한 자폐성 장애아동 가족의 경우 심리적 위축으로 인해서 일반가족과 비교해서 사회적 관계망이 협소하다. | |
자폐성 장애인의 경우 장애정도에 합당한 사회적 관심과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는? | 자폐성 장애는 대부분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으며, 그 증상과 문제가 살아가는 동안 점진적으로 회복되기는 하지만 완전히 고쳐지지는 않는다는 점에서 자폐성 장애인 본인은 물론 그 가족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다. 또한 자폐성 장애는 대부분 중복장애를 수반하며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다는 면에서 다른 장애유형보다 더 중증의 장애로 간주되어야 하지만, 자폐성 장애의 경우 신체적 발달이나 외모상 일반인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기 때문에 비장애인으로 오해의 소지가 많고, 이러한 이유로 자폐성 장애인의 경우 장애정도에 합당한 사회적 관심과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서 가족의 고충이 매우 크다. | |
자폐성 장애아동과 어머니를 대상으로 가족의 스트레스와 자폐성 장애아동의 사회적응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동시에 가족스트레스가 자폐성 장애아동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가족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완충해 주는지를 검증한 본 연구의 의의는? | 본 연구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로서의 가족을 다루고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보았을 때, Costigan et al.(1997)이 지적했듯이 가족과 가족구성원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의 경우, 전체로서 가족을 다루고 있는 경우가 매우 빈약하다. 전체가족을 개입단위로 볼 때 가지는 장점은 서비스 전달과정에 가족의 참여(family involvement)를 촉진시키는데 용이하며, 개입의 결과에 있어서도 보다 효과적이며 지속적으로 개입 결과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전체가족을 개입단위로 볼 때, 가족의 욕구를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개별화되고 통합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관점을 제공하게 한다(석말숙, 2008). 둘째, 가족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를 동시에 조절변수로 선정함으로써 가족 내부적 요인과 외부적 요인을 함께 살펴보고 있다. 이는 앞에서 제시한 가족탄력성과 관련되어 존재하는 사회적 지지의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다. |
김미경(2000) 정신장애인 가족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법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미혜 (2006) 기혼 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미옥 (2001) 장애아동가족의 적응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순규(2006). 빈곤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 발달모형,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안자(2005) 가족레질리언스가 한부모 가족의 가족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원표(2006). Amos를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 서울 :사회와 통계
남향자(2004). 노인의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대처의 조절효과.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민현순(2007) 뇌손상자 가족적용 향상을 위한 가족탄력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배인숙(1993) 자폐아동의 적응행동 수준과 그 어머니들의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명석 (2005) 장애인 형제의 사회적응에 관한 가족탄력성 효과. 대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문경애 (1999) 치매노인 가족의 적응모형 구축.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석말숙(2008). 우리나라 장애아동 가족지원 정책의 실태와 가족중심실천을 위한 과제. 파라장애포럼학술집, 43-63
송자경 (2003) 간질아동과 가족의 적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오명자(2007) 중년기 여성의 주부생활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지혜 (2008).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백석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선애 (2004) 만성 질환아동가족의 가족 탄력성이 가족 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숙자(2005)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지현(2005) 사회적 지지 정도가 정신 장애인의 자아 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인숙. 강영택. 김계옥. 정동영. 박경숙 (2003). KISE-SAB 요강. 안산 : 국립특수교육원.
최현정 (2007) 뇌성마비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 기준과 그 근거.한국임상심리학회지 : 임상. 19 (1) : 161- 177
흥은미(2005) 발달장애아동 사회성향상 요인분석.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Amalca, E. S., S. Smith-Adcock & ViIlares, E. (2006) From Family Deficit to Family Strength Viewing Families' Contributions to Children's Learning from a Family Resilience Perspective Professional school counseling, 9(3), 177- 189
Costigan, C. L., Floyd. F. J., Harter, K. S. M., & McClintock. J. C. (1997). Family Process and Adaptation to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Disruption and Resilience in Family ProblemSolving Interaction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1(4), 515-529
McCubbin, H. I., McCubbin, M. A., Tompson, A. I., Sae-Young Han & AlIen, Chad T. (1997) Families under Stress : What Makes Them Resilient Journal of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89(3), 2- 11
Renty, J., & Roeyers, H. (2007). Individual and Marital Adaptation in M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their Spouses : The Role of Social Support and Coping Strategies.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7(7), 1247-1255
Walsh. F. (2002). A Family Resilience Framework Innovative Practice Applications. Family Relations, 51(2), 130-137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