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장에서 분리한 Bacillus licheniformis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의 특성 및 정제
Characterization and Purification of the Bacteriocin Produced by Bacillus licheniformis Isolated from Soybean Sauce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9 no.7 = no.111, 2009년, pp.994 - 1002  

정성엽 (창원대학교 대학원 생명공합협동과정) ,  최정이 (창원대학교 대학원 생명공합협동과정) ,  주우홍 (창원대학교 생물학과) ,  서현효 (진주산업대학교 환경공학과) ,  나애실 (창원대학교 보건의학과) ,  조용권 (창원대학교 보건의학과) ,  문자영 (창원대학교 보건의학과) ,  하권철 (창원대학교 보건의학과) ,  백도현 (창원대학교 보건의학과) ,  강대욱 (창원대학교 보건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집한 간장시료에서 형태학적인 특성에 따라 상이한 30주의 미생물을 분리하고 MRS 액체배지에서 $37^{\circ}C$, 24시간 배양한 후 회수한 배양 상등액 중 paper disc법으로 항균활성이있는 것을 일차 선별하여 proteinase K 처리에 의해 항균활성이 사라지는 시료 하나를 최종적으로 선별하였다. 선별한 분리주를 생화학적 분류와 분자계통학적 분류를 통해 동정한 결과 B. lichenifirnus로 나타났다. 이 균주의 생장온도와 배지의 초기 pH 에 따른 세포생장 및 박테리오신 활성을 조사한 결과 배양온도는 $37^{\circ}C$, 배지의 초기 pH는 7.0에서 박테리오신의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B. lichenifirnus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은 Bacill sogaerucey, Lactobacillus bulgaricus, Lactobacillus plantaum, Micrococcus Iateus, Paenibacillus polymyxa 및 Pediococcus dextrinicus 등에 대해서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pH 3.0${\sim}$11.0에 이르는 거의 전 pH 영 역에서 20시간 이상 처리하여도 그 항균활성을 완전히 잃지 않아 비교적 넓은 pH 범위 내에서 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Acetone, acetonitrile, chloroform, ethanol 처리 및 $20{\sim}100^{\circ}C$C에서 60분간 가열시에도 높은 항균활성을 유지하였다. 여러 가수분해효소에 대한 내성을 조사한 결과 trypsin, a-chymotrypsin, pepsin, a -amylase 및 carboxypeptidase A 등은 항균활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lipase는 항균활성을 약간 감소시켰으며 proteinase K는 항균활성을 완전히 사라지게 하였다. 75% 황산암모늄 침전, 양이온교환크로마토그래피, 역상 HPLC 등의 과정을 통해 정제된 박테리오신의 상대비활성(specific activity)은 배양상등액에서 보다 약 75배 증가하였고 회수율은 13.5%였다. 역상 HPLC를 통해서 정제된 박테리오신의 분자량을 tricine SDS-PAGE을 통해서 확인한 결과 약 2.5 kDa으로 나타났으며 염색 시 단일 band로 나타나 순수하게 정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bacteriocin-producing bacterium identified as Bacillus licheniformis was isolated from soybean sauce. Antibacterial activity was confirmed by paper disc diffusion method, using Micrococcus luteus as a test organism. The bacteriocin also showed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Bacillus sphaericu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는 김치와 장류 등 전통적으로 자연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식품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이들 식품이 국민건강을 좌우하는 기초식품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세균을 분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발효식품인 간장으로부터 박테리오신 생산균을 분리하고, 박테리오신 생산을 위한 이 균주의 배양조건 확인 및 분리균주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의 물리 .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정제한 후 tridne-SDS-PAGE로 분자량을 추정하였다.

가설 설정

  • 1)Final concentration of solvent was 50% (v/v).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iswas, S. R. and M. C. Johnson, and B. Roy. 1991. Influence of growth condition on the production of a bacteriocin, pediocin AcH by Pediococcus acidilactici H. Appl. Enuiron. Microbial. 57, 1265-1267 

  2. Chang, J. Y., H. H. Lee, I. C. Kim, and H. C. Chang. 2001. Characterization of bacteriocin produced by Bacillus licheniformis cy2.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410-414 

  3. Cho, J. S., S. J. Jung, Y. M. Kim, and U. H. Chun. 1994. Detection of the bacteriocin from lactic acid bacteria involved in kimchi fermentation.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2, 700-706 

  4. Cherif, A. H. Ouzari, D. Daffonchio, H. Cherif, K. B. Slama, A. Hassen, S. Jaoua, and A. Boudabous. 2001. Thuricin 7: a novel bacteriocin produced by Bacillus thuringiensis BMG1.7, a new strain isolated from soil. Lett. Appl. Microbiol. 32, 243-247 

  5. Daeschel, M. A. and M. C. Mckenney. 1990. Bactericidal activ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C11. Food Microbiol. 7, 91-98 

  6. Kojic, M., J. Svircevic, and A. Banna. 1991. Bacteriocin producing strain of Lactococcus lactis susbsp diacitilactis S50. Appl. Environ. Microbiol. 57, 1853-1837 

  7. Klaenhammer, T. R. 1993. Genetics of bacteriocin produced by lactic acid bacteria. FEMS Microbiol. 12, 39-86 

  8. Kim, H. T., J. Y. Park, G. G. Lee, and J. H. Kim. 2003. Isolation of a bacteriocin-producing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 from Kimchi. Food Sci. Biotechnol. 12, 166-170 

  9. Kim, H. T., J. Y. Park, G. G. Lee, and J. H. Kim. 2004. Isolation of a bacteriocin-producing Lactobacillus sakei strain from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560-565 

  10. Lee, N. K., H. W. Kim, H. I. Chang, C. W. Yun, S. W. Kim, C. W. Kang, and H. D. Paik. 2006. Probiotic properties of Lactobacillus plantarum NK81 isolated from Jeotgal, a Korean fermented food. Food Sci. Biotechnology 15, 227-213 

  11. Lee, H. J., C. S. Park, Y. J. Joo, S. H. Kim, J. H. Yoon, Y. H. Park, I. K. Hwang, J. S. Ahn, and T. I. Mheen. 1999.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teriocin-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J. Microbiol. Biotechnol. 9, 282-291 

  12. Lee, H. J., Y. J. Joo, C. S. Park, S. H. Kim, I. K. Hwang, J. S. Ahn, and T. I. Mheen. 1999.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bacteriocin produced by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H-559 isolated from Kimchi. J. Biosciengen and Bioengineering 88, 153-159 

  13. Lim, S. M. and D. S. Im. 2007. Bactericidal effect of bacteriocin of Lactobacillus plantarum K11 isolated from Dongchimi on Escherichia coli O157. J. Food Hyg. Safety 22, 151-158 

  14. Liu, W. and J. N. Hansen. 1990. Some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nisin, a small-protein antibiotic produced by Lactococcus lactis. Appl. Environ. Microbiol. 56, 2551-2558 

  15. Lee, J. G., Go. J. Lee, and S. M. Lim. 2005. Partial purification of bacteriocin produced by Enterococcus faecium MJ-14 isolated from Meju. J. Food Hyg. Safety 20, 211-216 

  16. Mehta, A. M. K. A. Patel, and P. J. Dave. 1983.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the inhibitory protein isolated from Lactobacillus acidophilus AC1. Microbios. 38, 78-81 

  17. Naclerio, G., E. Ricca, M. Sacco, and De. M. Felice. 1993. Antimicrobial activity of a newly identified bacteriocin of Bacillus cereus. Appl. Environ. Microbiol. 59, 4313-4316 

  18. Paik, H. D. S. S. Bae, S. H. Park, and J. G. Pan. 1997. Identification and partial characterization of tochicin, a bacteriocin produced by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tochigiensis. J. Ind. Microbiol. Biotechnol. 19, 294-298 

  19. PaiK, H. D., K. M. Koo, J. G. Kim, and N. K. Lee. 2003. Optimization for lacticin SA72 production by Lactococcus lactis SA72 isolated from Jeotgal. Kor. J. Microbiol. Biotechnol. 31, 46-50 

  20. Paik, H. D. 1996. Bacteriocins: assay, biochemistry, and mode of action. J. Food Sci. Nutr. 1, 269-277 

  21. Susan, F. B. and T. R. Klaenhamer. Detection and activity of lactacin B, a bacteriocin produced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Appl. Environ. Microbiol. 45, 1801-1815 

  22. Sahl, H. G. 1991. Pore formation in bacterial membranes by cationic lantibiotics, pp.347-358, In Jung, G. and H. G. Sahl (eds.), Nisin and Novel lantibiotics. ESCOM Science Publishers B.V., Leiden 

  23. Vaughan, E. E. C. Daly, and G. F. Fitzgerald. 1992. Identification and characterzation of helveticin V-1829, a bacteriocin produced by Lactobacillus helveticus 1829. J. Appl. Bacteriol. 73, 299-308 

  24. Yang, E. J., J. Y. Chang, H. J. Lee, J. H. Kim, D. K. Chung, J. H. Lee, and H. C. Chang. 2002. Characterization of the antagonistic activity against Lactobacillus plantarum and induction of bacteriocin produc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