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과학수업의 심리적 학습 환경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비교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psychological learning environments in science instruction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9 no.5, 2009년, pp.492 - 500  

박현주 (조선대학교) ,  서호남 (여수문수중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과학수업의 심리적 학습 환경에 대한 중학생과 교사들이 인식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 중학생 503명과 담당 과학교사 16명이었다. 연구자료는 '교사에 의해 조성되는 심리적 학습 환경 측정도구(PLEIS)'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학생과 교사의 인식과 성별 인식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독립표본 T-검증을, 특성에 따른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ANOVA)을 하였다. 중학생들의 과학 수업의 심리적 환경에 대한 인식은 성별, 과학성취도, 과학선호도, 자아효능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나, 과학교사들의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학생들과 과학교사들간의 인식 차이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교사가 과학수업의 심리적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을 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 of psychological learning environments as well as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This study sampled 503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16 teachers who taught them. 'Psychological Learning Environment Instrum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과학수업의 심리적 학습 환경에 대한 학생의 인식을 과학성취도, 과학선호도, 과학효능감에 따라서 조사하고, 학생과 교사의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그를 통하여 과학교사가 학생들에게 보다 나은 교육환경을 조성하여 효율적인 학교 교육과정의 목표설정과 바람직한 과학 교수활동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과학 수업에 대한 심리적 학습 환경에 대한 중학생과 교사의 인식을 심리적 학습 환경 검사지를 이용하여 조사하고, 학생과 교사간의 인식 차이를 조사하였다.
  • 예를 들면, 교사가 자신의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을 100점 만점 중 80점의 수준으로 인식한다고 가정했을 때 실제로 학생들이 그 수업에서 느끼는 심리적 인식은 교사의 인식과는 차이가 있는, 그 이상 혹은 그 이하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과학수업의 심리적 학습 환경에 대한 학생의 인식을 과학성취도, 과학선호도, 과학효능감에 따라서 조사하고, 학생과 교사의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그를 통하여 과학교사가 학생들에게 보다 나은 교육환경을 조성하여 효율적인 학교 교육과정의 목표설정과 바람직한 과학 교수활동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용남이 초·중·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무엇인가요? 최용남(1997)은 초·중·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 관련 태도와 과학 수업 환경에 대한 인식과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과학 수업의 즐거움과 과학에 대한 직업적 관심에서 초등학생이 가장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과학 수업환경에 대하여 초등학생의 인식이 가장 긍정적이며, 고등학생의 인식이 가장 부정적인 것으로 조사 되었다. 실제 수업 환경에 대한 인식과 과학 관련 태도와의 상호관계는 유의미하였다. 특히, 학생의 수업 참여정도와 교사의 지원, 질서와 조직, 규칙의 명확성은 학생들이 인식하는 과학 수업의 즐거움과 유의미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는 무엇을 의미하는 개념인가요? 학생의 내적 동기가 보장되지 않는 학습활동은 오래 지속되기 어렵다. 흥미는 주제에 대한 자발적 탐색활동으로서 개인적 특징이나 정서적 상태를 의미하는 개념으로, 내적 동기의 유형이다. 학습에 대한 흥미는 지속적이고 자발적인 학습과 효과를 결정짓는 변인으로서 상황적 흥미(situated interest)와 개인적 흥미(individual interest)로 구분된다(Hidi, 1990).
학습에 대한 흥미는 어떤 변인으로서 무엇으로 구분되나요? 흥미는 주제에 대한 자발적 탐색활동으로서 개인적 특징이나 정서적 상태를 의미하는 개념으로, 내적 동기의 유형이다. 학습에 대한 흥미는 지속적이고 자발적인 학습과 효과를 결정짓는 변인으로서 상황적 흥미(situated interest)와 개인적 흥미(individual interest)로 구분된다(Hidi, 1990). 상황적 흥미는 실제 학습상황에서 발생하는 흥미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개인적 흥미의 발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Krapp, Hidi, & Renninger, 199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강순자, 양정은, 여성희 (2002). 중학생의 과학성취도와 자기조절학습. 학습환경과의 상관관계, 한국생물교육학회, 30(2), 190-196 

  2. 노태희, 최용남 (1996). 초 ${\cdot}$ 중 ${\cdot}$ 고등학생들의 과학 수업 환경인식 및 태도와의 관계성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2), 217-225 

  3. 박기성 (2004). 과학교사에 의해 조성되는 심리적학습 환경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과 과학과 관련된 태도 변화.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박중길 (2008). 무용전공 대학생의 지각된 학습환경에 따른 무용수업 흥미.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 47(3), 439-449 

  5. 윤혜경 (1993). 과학 실험 수업의 사회심리적 환경과 성취도와의 관계 조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 이광성 (2000). 수업환경 결정요인과 사회과 고급사고력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시민교육연구, 30(3),147-164 

  7. 이선경 (2003). 과학수업환경 중 교사요인에 대한인식과 과학에 대한 태도 및 과학 성취도의 관계. 이 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 이연우, 우종옥, 김정률 (1996). 중학생들의 자료해석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환경변인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1996년도 학술발표회 

  9. 이재천 (1998). 과학교사에 의해 조성되는 심리적 학습환경이 학생들의 정의적 인식 및 인지적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0. 이재천, 김범기 (1998). 과학수업에서 교사에 의해 조성되는 심리적 학습 환경 측정 도구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13-325 

  11. 이재천, 김범기 (1999). 과학교사에 의해 조성되는 심리적 학습 환경이 학생들의 과학성취도에 미치는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2), 315-328 

  12. 이현남 (1988). 효과적 학습을 위한 심리적 학습환경에 관한 고찰. 초등교육연구, 2, 33-41 

  13. 정원식 (1983). 현대교육심리학. 서울: 교육출판사 

  14. 조하희 (1998). 학습환경과 심리적 제변인가의 상관연구. 광운대학교 인문사회과학논문집, 27, 171-198 

  15. 최용남 (1997). 과학 수업 환경에 대한 인식 및 과학관련 태도와의 관계성 조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Bergin, D. A. (1999). Influence on classroom interest. Educational Psychology, 34(2), 87-98 

  17. Borich, G. D. (1988). Effective teaching methods. Columbus, OH: Merrill Publishing Company 

  18. Brookover, W. B., Schweitzer, J. H., Schneider, J. M., & Beady, C H. (1978). Elementary school social climate and school achievement.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15(2), 301-358 

  19. Brophy, J. E., & Good, T. (1986). Teacher behavior and student achievement. In M. C. Wittrock. (Eds).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third edition (pp.328-375). New York, NY: Macmillian 

  20. Coleman, J. S. (1968). The concept of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Harvard Educational Review, 38, 7-32 

  21. Crawford, M., & MacLeod, M. (1990). Gender in the college classroom: An assessment of the "Chilly climate" for women. Journal of Research, 24(3), 101-122 

  22. Fraser, B. J., & Fisher, D. L. (1982). Predicting of students' outcomes from their perception of classroom psychosocial environment.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19(4), 498-518 

  23. Haladyna, T., & Shaughnessy, J. (1982).Attitudes toward science: A quantitative synthesis. Science Education, 66(4), 547-563 

  24. Hattie, J. (1992). Measuring the effects of schooling. Australian Journal of Education, 36(1), 5 

  25. Hidi, S. (1990). Interest and its contribution as a mental resource for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0(4), 549-571 

  26. Fuller, F. F. (1969). Concerns of teachers: A developmental conceptualization.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6(2), 207-224 

  27. Krapp, A., Hidi, S., & Renninger, K. A. (1992). Interest, learning and development. In K.A. Renninger, S. Hidi, & A. Krapp (Eds.), The role of interest in learning and development (pp.3-25).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8. Kremer, B. K., & Walberg, H. J. (1981).Synthesis of social and psychological influences on science learning. Science Education, 65(1), 11-23 

  29. Marshall, W. (1994). Ecological assesment: A collaborate approach to planning instructional interventions. Interventions in School & Clinic, 29(3), 161-164 

  30. Moos, R. H. (1979). Assessing the social environments of sheltered care settings. Gerontologist, 19(1), 74-82 

  31. Shirey, L. L., & Reynolds, R. E. (1988). Effects of interest on attention and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0(2), 159-166 

  32. Walberg, H. J., & Anderson, G. J. (1968). Classroom climate and group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Science, 2(3), 175-1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