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olubility parameter를 이용한 다층 클렌징 오일에 관한 연구
Study of Multi-layer Cleansing Oil Using Solubility Parameter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26 no.3 = no.76, 2009년, pp.240 - 247  

박찬익 (대구한의대학교 화장품약리학과) ,  김보애 (LG생활건강 화장품연구소) ,  양재찬 (LG생활건강 화장품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thod to evaluate solubility parameter interactions of cosmetic ingredients in formulations. This experimentation relates to the fabrication of new multi-layer cleansing oil which can remove make-up products such as lipstick, foundation, mascara, eye shado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다층 클렌징 오일의 조성을 위해 기존의 2상 (2-phase)과는 달리 화장품 조성물의 비중(Specific gravity)과 명확한 층 분리에 관여하는 중요한 요소로써 solubility parameter (S.P.)를 고려하여 상품화 가치가 높은 3층 클렌징 오일의 최적 처방을 결정하였다. 다층 제형이 가능한 몇 가지 오일을 적용해본 결과 S.
  • 본 연구는 유성성분의 메이크업을 피부에 유해한 부작용을 남기지 않고 물로 헹구어내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메이크업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새로운 처방 개발을 목표로 한다. 서로 다른 특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혼합한 후 분리가 되도록 하는 기술로 종래 제품의 경우에는 물과 기름의 분리 특성을 이용한 2상 (2-phase)의 개발이 많이 이루어져 왔으며 그대 부분은 포인트 메이크업 리무버 또는 헤어스프레이 등으로 개발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강윤석 화장품 생활건강용품 과학1, p.68, 신광출판사, 서울 (2008) 

  2. 이희경, 김재연, 김태진, 강수정, 이재영, 원성호, 김남기, 김철결, 고창웅, 화장품부작용의 대응방안, 한국EHS 평가학회지, 1(1), 101(2003) 

  3. 김춘자, 피부미용학, p.115, 훈민사, 서울(2003) 

  4. 심미자, 김금희, 전문직 여성의 피부관리 및 화장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인체예술학회지, 4(2), 211(2003) 

  5. 김종임, 세안에 대한 연령별 인지도 조사연구, 대한피부미용학회지, 5(2), 15 (2007) 

  6. K. Watanabe, M. Masuda, K. Nakamura, T. lnaba, A. Noda, T. Yanagida and T. Yanaki, A new makeup remover prepared with a system comprising dual continuous channels (bicontinuous phase) of silicone oil and water, IFSCC Magazine, 7(4), 143 (2005) 

  7. Tsuda, H., Market and technical trend of cleansing oils, International Journal of Cosmetic Sci,, 27(4), 251 (2005) 

  8. Jhon Burke, Solubility parameters: Theory and application, AlC book, 3, 13-58 (1984) 

  9. C. D. Vaughan, Using solubility parameters in cosmetics formulation, J. Soc. Cosmet. Chem, 36, 319 (1985) 

  10. C. D. Vaughan, Solubility Parameters for Characterizing New Raw Materials, C&T, p.57, 108, (1993) 

  11. David H. Pashley, Kelli A. Agee, Ricardo M. Carvalho, Kwang-Won Lee, Franklin 

  12. Hee-jung Yang, jae-Hyun Kim, Wan-Goo Cho, Soo-Nam Park, The Stability of Emulsions Formed by Phase Inversion with Variation of HLB of Surfactant, J. Kor. Oil Chem Soc., 26(2), 117 (2009) 

  13. W. C. Giffin, Classification of Surface Active Agents by HLB, J Cosmet. Chem, 1, 311 (1949)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