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배기간에 따른 콩나물의 아미노산 조성 변화
Amino Acid Composition Changes in Soybean Sprouts during Cultiv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7 no.5, 2010년, pp.681 - 687  

송범석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식품공학팀) ,  김민정 (한국식품연구원 미래전략기술연구본부) ,  김강성 (용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본 연구는 국내산 나물콩(쥐눈이, 수박태, 유태, 백태)의 재배기간에 따른 아미노산 조성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 되었다. 재배기간에 따른 시료 콩나물의 총 아미노산 함량 분석 결과 모든 시료에서 1일째 다소 감소하였으나 재배기간이 증가할수록 완만히 증가하였다. 재배일수에 따른 콩나물 부위 별 아미노산 조성분석 결과 0일차 원료콩의 전체 아미노산 중 glutamic acid과 aspartic acid이 30% 이상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쥐눈이는 5일 이후 그리고 나머지 품종들은 3일째 이후부터 배축과 뿌리의 aspartic acid 함량이 급격하게 증가한 반면 자엽의 glutamic acid는 현저히 감소하였다. 또한 aspartic acid 함량비는 부위별로는 배축, 뿌리, 자엽의 순으로 높았으며 품종별로는 유태, 백태, 쥐눈이, 수박태 순으로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examined changes in the amino acid composition of soybean sprouts of four different Korean soybean cultivars (Yutae, Jinunee, Subaktae, and Baktae). Total amino acids levels in all samples 1 day after cultivation were lower than those in soybeans but increased at cultivation times greater then 3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통콩(쥐눈이, 수박태, 유태 및 백태)을 이용하여 제조한 콩나물의 재배 시기 및 부위(자엽, 배축, 뿌리)별 아미노산 조성 변화 평가를 통해 전통콩의 품종별 생육 특성 및 영양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산 나물콩(쥐눈이, 수박태, 유태, 백태)의 재배기간에 따른 아미노산 조성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재배기간에 따른 시료 콩나물의 총 아미노산 함량 분석 결과 모든 시료에서 1일째 다소 감소하였으나 재배기간이 증가할수록 완만히 증가하였다.

가설 설정

  • 2)nsMeans in the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엇이 발아과정 중 호흡과 대사작용으로 인해 영양성분 및 기능성 물질의 변화로 기인되는가? 콩나물에는 콩과 비교하여 소화·분해가 용이한 에너지원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고(9), 무기질(10), 비타민C와 유리아미노산(11), 단백질(12), 효소(13) 및 파이토케미컬(14)의 함량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발아과정 중 호흡과 대사작용으로 인해 영양성분 및 기능성 물질의 변화로 기인되는데, 특히 콩에는 함유되어 있지 않은 비타민 C가 생성되며 비타민 B2는 거의 2배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5,16).
콩나물은 무엇인가? 콩나물은 대두를 물에 담가 불린 후 어두운 곳에서 고온다습하게 하여 발아시킨 것으로 고려시대 이전부터 고유의 전통식품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으며(1,2), 생육기간이 짧고 재배가 쉬울 뿐만 아니라 가격도 저렴하여 대중적인 식품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고려 말 발간된 의서인 향약구급방 (鄕藥救急方)에는 건조콩나물이 약용으로 쓰였다고 기술되어 있으며(3), 현대인의 건강에 도움이 되는 isoflavone, 섬유소, 비타민 등의 기능성 성분을 다량 함유하는 웰빙 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다(4-6).
콩나물은 언제부터 고유의 전통식품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는가? 콩나물은 대두를 물에 담가 불린 후 어두운 곳에서 고온다습하게 하여 발아시킨 것으로 고려시대 이전부터 고유의 전통식품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으며(1,2), 생육기간이 짧고 재배가 쉬울 뿐만 아니라 가격도 저렴하여 대중적인 식품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고려 말 발간된 의서인 향약구급방 (鄕藥救急方)에는 건조콩나물이 약용으로 쓰였다고 기술되어 있으며(3), 현대인의 건강에 도움이 되는 isoflavone, 섬유소, 비타민 등의 기능성 성분을 다량 함유하는 웰빙 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다(4-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im KS, Kim SD, Kim JK, Kim JN, Kim KJ. (1982) Effect of blue light on the major components of soybean-sprouts. Korean J. Nutr. Food, 11, 7-12 

  2. Park IK, Kim SD. (2003) Sugar and free amino acid content of chitosan-treated soybean sprouts. J. Chitin Chitosan, 8, 105-110 

  3. Choi SD, Kim YH, Nam SH, Shon MY.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sprout cultivated with extract of Korean Glycyrrhiza glabra. Korean J. Food Preserv., 9, 174-178 

  4. Branca F, Lorenzetti S. (2005) Health effects of phytoestrogen. Forum Nutr., 57, 100-111 

  5. Kim YH, Lee JH, Koo BK, Lee HS. (2007) Isoflavone rich bean sprouts improves hyperlipidemi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248-1256 

  6. Tripathi AK, Misra AK. (2005) Soybean - A consummate functional food: A review. J. Food Sci. Technol., 42, 111-119 

  7. Kim SD, Kim SH, Hong EH. (1993) Composition of soybean sprout and its nutritional value. J. Korean Soybean Res., 1, 1-9 

  8. Kim YG, Im TG, Park SS, Heo NC, Hong SS. (2000) Effect of the defatted sesame seed extract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sprou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742-746 

  9. Yang CB. (1982) Changes of nitrogen compounds and nutritional evaluation of soybean sprout-Part V. Relationship of among trypsin inhibitor activity, digestibility and nutritional value. J. Korean Agric. Chem. Soc., 25, 8-13 

  10. Eun JH, Eom JH, Kim DJ. (2009) Change and estimated availability of NDF binding trace minerals in soybean sprouts depending on cultivation peri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333-337 

  11. Kim SD, Jang BH, Kim HS, Ha KH, Kang KS, Kim DH. (1982) Studies on the changes in chlorophyll, free amino acid and vitamin C content of soybean sprouts during circulation periods. Korean J. Nutr. Food, 11, 57-62 

  12. Yang CB, Park SK, Yoon SK. (1984) Changes of protein during growth of soybean sprout.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472-474 

  13. Kumar V, Rani A, Pandey V, Chauhan GS. (2006) Changes in lipoxygenase isozymes and trypsin inhibitor activity in soybean during germination at different temperatures. Food Chem., 99, 563-568 

  14. Plaza L, De Ancos B, Cano MP. (2003) Nutritional and health-related compounds in sprouts and seeds of soybean (Glycine max), wheat (Triticum aestivum.L) and alfalfa (Medicago sativa) treated by a new drying method. Eur. Food Res. Technol., 216, 138-144 

  15. Chavan JK, Kadam SS. (1989) Nutritional improvement of cereals by sprouting. Crit. Rev. Food Sci. Nutr., 28, 401-437 

  16. Jang HK. (1995) Soybean sprouts.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Nutr. Dietetics, 9, 30-32 

  17. Kim WJ, Kim NM, Sung HS. (1984) Effect of germination on phytic acid and soluble minerals in soymilk.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358-362 

  18. Byun SM, Huh NE, Lee CY. (1977) Asparagine biosynthesis in soybean sprouts. J. Korean Agric. Chem. Soc., 20, 33-42 

  19. Jeon SH, Lee KA, Byuon KE. (2005) Studies on changes of isoflavone and nutrients during germination of soybean varieties. Korean J. Human Ecol., 14, 1-5 

  20. Yang CB. (1981) Changes of nitrogen compounds and nutritional evaluation of soybean sprout-Part II. Changes of amino acid composition. J. Korean Agric. Chem. Soc., 24, 94-100 

  21. Yang CB. (1981) Changes of nitrogen compounds and nutritional evaluation of soybean sprout-Part II. Changes of free amino acid composition. J. Korean Agric. Chem. Soc., 24, 101-104 

  22. A.O.A.C. (198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p.31 

  23. Kim JG, Kim SK, Lee JS. (1988) Fatty acid composition and electrophoretic patterns of protein of Korean soybea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263-271 

  24. Choi SD, Kim YH, Nam SH, Shon MY, Choi JH. (2003) Changes in major taste components of soybean sprout germinated with extract of Korean Panax ginseng. Korean J. Life Sci., 13, 273-279 

  25. Lee JD, Hwang YH, Cho HY, Kim DU, Choung MG. (2002)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related with soybean sprouts between Glycine max and G. Soja. Korean J. Crop Sci., 47, 189-19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