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면역체 분석을 위한 탄저균 유전자 발현 라이브러리의 구축
Construction of the Genomic Expression Library of Bacillus anthracis for the Immunomic Analysi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6 no.1, 2010년, pp.21 - 26  

박문규 (한양대학교 분자생명과학부) ,  정경화 (한양대학교 분자생명과학부) ,  김연희 (국립보건원 감염병연구센터) ,  이기은 (국립보건원 감염병연구센터) ,  채영규 (한양대학교 분자생명과학부) ,  윤장원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중개시스템생체학 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탄저균(Bacillus anthracis)은 탄저(Antrax)의 원인균으로 사람은 물론, 초식동물인 소, 양, 말 등에서 급성의 폐사성 전염병을 일으킨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탄저 치료 및 예방법은 항생제 치료와 약독화 백신주를 토대로 하고 있으나, 항생제 내성주의 출현 및 잔류 병원성이 문제시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인체에 적용 가능하며 보다 안전한 탄저 치료제 및 백신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최근 탄저균 아포 및 영양세포, 그리고 탄저독소(Anthrax toxins)에 대한 동시 면역을 유도하는 다가백신 개발이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탄저균에 대한 새로운 다가백신 후보물질 발굴을 위하여, 탄저균에 대한 전장 유전자 발현 라이브러리(whole genomic expression library)를 구축하였다. 라이브러리 구축을 위하여, 탄저균(ATCC 14578) 게놈 DNA를 Sau3AI으로 부분 제한효소 처리였고, 유도 발현이 가능한 pET30abc 벡터에 접합시킴으로써, 총 $1{\times}10^5$개에 해당하는 대장균 BL21(DE3) 유래의 전장 유전자 발현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다. 염기서열분석을 통한 중복성(redundancy) 확인 결과, 111개의 무작위 클론 중 56개(50.5%)가 탄저균 유전자로 확인되었으며, 17개(15.3%)는 벡터 유전자였고, 38개(34.2%)는 BLAST 탐색에서 일치하는 유전자를 찾지 못하였다. 또한 웨스턴 분석을 통하여 단백질 유도발현을 확인하였으며, 탄저균 항혈청에 대한 colony blot으로부터 양성반응을 보이는 일부 클론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물들은, 구축된 전장 유전자 발현 라이브러리가 향후 탄저균에 대한 면역체(immunome) 분석을 위해 적용 가능함을 암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causative agent of Anthrax, Bacillus anthracis causes an acute fatal disease in herbivores such as cattle, sheep, and horses as well as humans. The therapeutics and prevention of anthrax currently available are based on antibiotics and the live attenuated vaccine strains, which may be proble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면역체(immunome) 분석을 통하여(5, 12, 19) 탄저균에 존재하는 새로운 면역원성 항원의 발굴을 위한 첫 단계로서, 대장균 유래의 탄저균 전장유전자 발현 라이브러리(whole genomic expressin library) 구축을 시도하였다. 구축된 유전자 발현 라이브러리들에 대하여 무작위 DNA 염기서열분석을 통하여 클론 중복성을 조사하였고, 단백질 유도발현 여부를 확인하였음은 물론, 탄저균 항혈청을 이용한 colony blot을 통하여 양성반응을 보이는 클론이 존재함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결과는, 구축된 탄저균 유전자 발현 라이브러리가 향후 새로운 in vivo-induced 면역원을 탐색하기 위한 탄저 면역체(immunome)분석에 적용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 이들 클론을 포함하는 -80℃ 분획으로부터 분리된 플라즈미드는 IPTG 첨가에 의해 단백질 유도발현이 가능하며, 프로테아제(protease)가 결핍된 대장균 BL21(DE3)에 도입하였고, 그 결과물인 클론들을 유전자 발현 라이브러리로서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약 105개의 유전자 발현 라이브러리를 구축할 수 있었고, 클론 중복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이들 중 111개의 무작위 클론들로부터 분리된 플라즈미드에 대한 삽입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염기서열 분석결과, 111개 중 56개(50.
  • 효율적인 탄저후보백신의 개발을 위하여, 새로운 면역원의 발굴은 필수적이며, 특히 in vivo-induced 탄저균 항원의 발굴은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면역체(immunome) 분석을 통하여(5, 12, 19) 탄저균에 존재하는 새로운 면역원성 항원의 발굴을 위한 첫 단계로서, 대장균 유래의 탄저균 전장유전자 발현 라이브러리(whole genomic expressin library) 구축을 시도하였다. 구축된 유전자 발현 라이브러리들에 대하여 무작위 DNA 염기서열분석을 통하여 클론 중복성을 조사하였고, 단백질 유도발현 여부를 확인하였음은 물론, 탄저균 항혈청을 이용한 colony blot을 통하여 양성반응을 보이는 클론이 존재함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인체에 적용 가능하며 보다 안전한 탄저 치료제 및 백신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최근 탄저균 아포 및 영양세포, 그리고 탄저독소(Anthrax toxins)에 대한 동시 면역을 유도하는 다가백신 개발이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탄저균에 대한 새로운 다가백신 후보물질 발굴을 위하여, 탄저균에 대한 전장 유전자 발현 라이브러리(whole genomic expression library)를 구축하였다. 라이브러리 구축을 위하여, 탄저균(ATCC 14578) 게놈 DNA를 Sau3AI으로 부분 제한효소 처리였고, 유도 발현이 가능한 pET30abc 벡터에 접합시킴으로써, 총 1×105개에 해당하는 대장균 BL21(DE3) 유래의 전장 유전자 발현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사용되는 탄저의 치료 및 예방법의 문제점은? 탄저균(Bacillus anthracis)은 탄저(Antrax)의 원인균으로 사람은 물론, 초식동물인 소, 양, 말 등에서 급성의 폐사성 전염병을 일으킨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탄저 치료 및 예방법은 항생제 치료와 약독화 백신주를 토대로 하고 있으나, 항생제 내성주의 출현 및 잔류 병원성이 문제시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인체에 적용 가능하며 보다 안전한 탄저 치료제 및 백신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최근 탄저균 아포 및 영양세포, 그리고 탄저독소(Anthrax toxins)에 대한 동시 면역을 유도하는 다가백신 개발이 보고된 바 있다.
탄저균이 보유한 2종의 병원성 플라즈미드는? 2001년 미국에서 탄저아포가 바이오테러에 이용되었으며, 5명의 사망자를 포함하여 22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였음이 보고된 바 있다(11). 탄저균은 pXO1와 pXO2로 명명된 2종의 병원성 플라즈미드를 보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XO1은 칼슘-칼모듈린(calmodulin)의존성 아데닐산 시클라아제(adenylate cyclase) 활성에 의하여 피부부종을 유발하는 edema factor (EF, 89 kDa)와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kinases (MAPKKs)의 활성을 저해하여 치사를 유발하는 lethal factor (LF, 90 kDa), 그리고, 숙주표적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수용체(TEM8과 CMG2)에 결합하여 EF와 LF를 세포 내부로 이동시키는데 관여하는 protective antigen (PA, 83 kDa)을 암호화하고 있는 반면(4, 15, 17), pXO2는 백혈구 등의 탐식작용으로부터 탄저균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협막(poly-D-glutamic acid capsule) 생성에 관여하는 capABC 유전자를 암호화하고 있다(6, 8).
탄저균의 병원성 플라즈미드인 pXO1와 pXO2의 특징을 비교하면? 탄저균은 pXO1와 pXO2로 명명된 2종의 병원성 플라즈미드를 보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XO1은 칼슘-칼모듈린(calmodulin)의존성 아데닐산 시클라아제(adenylate cyclase) 활성에 의하여 피부부종을 유발하는 edema factor (EF, 89 kDa)와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kinases (MAPKKs)의 활성을 저해하여 치사를 유발하는 lethal factor (LF, 90 kDa), 그리고, 숙주표적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수용체(TEM8과 CMG2)에 결합하여 EF와 LF를 세포 내부로 이동시키는데 관여하는 protective antigen (PA, 83 kDa)을 암호화하고 있는 반면(4, 15, 17), pXO2는 백혈구 등의 탐식작용으로부터 탄저균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협막(poly-D-glutamic acid capsule) 생성에 관여하는 capABC 유전자를 암호화하고 있다(6, 8). 따라서, 병원성 탄저균으로부터 이들 2종의 플라즈미드에 대한 실험적 결손유도는 현저한 병원성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koachere, M., R. Squires, A. Nour, L. Angelov, J. Brojatsch, and E. Abel-Santos. 2007. Identification of an in vivo inhibitor of Bacillus anthracis spore germination. J. Biol. Chem. 282, 12112- 12118. 

  2. Aulinger, B., M. Roehrl, J. Mekalanos, R. Collier, and J. Wang. 2005. Combining anthrax vaccine and therapy: a dominantnegative inhibitor of anthrax toxin is also a potent and safe immunogen for vaccines. Infect. Immun. 73, 3408-3414. 

  3. Basha, S., P. Rai, V. Poon, A. Saraph, K. Gujraty, M. Go, S. Sadacharan, M. Frost, J. Mogridge, and R. Kane. 2006. Polyvalent inhibitors of anthrax toxin that target host receptors. Proc. Natl. Acad. Sci. USA 103, 13509-13513. 

  4. Collier, R.J. and J.A. Young. 2003. Anthrax toxin. Annu. Rev. Cell. Dev. Biol. 19, 45-70. 

  5. De Groot, A.S. and J.A. Berzofsky. 2004. From genome to vaccine--new immunoinformatics tools for vaccine design. Methods 34, 425-428. 

  6. Drysdale, M., S. Heninger, J. Hutt, Y. Chen, C. Lyons, and T. Koehler. 2005. Capsule synthesis by Bacillus anthracis is required for dissemination in murine inhalation anthrax. EMBO J. 24, 221-227. 

  7. Friedlander, A. and S. Little. 2009. Advances in the development of next-generation anthrax vaccines. Vaccine 27, 28-32. 

  8. Green, B., L. Battisti, T. Koehler, C. Thorne, and B. Ivins. 1985. Demonstration of a capsule plasmid in Bacillus anthracis. Infect. Immun. 49, 291-297. 

  9. Hicks, R., A. Bhattacharjee, B. Koser, and D. Traficantes. 2004. The anthrax protective antigen (PA63) bound conformation of a peptide inhibitor of the binding of lethal factor to PA63: As determined by trNOESY NMR and molecular modeling. J. Med. Chem. 47, 5347-5355. 

  10. Inglesby, T., D. Henderson, J. Bartlett, M. Ascher, E. Eitzen, A. Friedlander, J. Hauer, J. McDade, M. Osterholm, and T. O'Toole. 1999. Anthrax as a biological weapon: medical and public health management. JAMA 281, 1735-1745. 

  11. Jernigan, D., P. Raghunathan, B. Bell, R. Brechner, E. Bresnitz, J. Butler, M. Cetron, M. Cohen, T. Doyle, and M. Fischer. 2002. Investigation of bioterrorism-related anthrax, United States, 2001: epidemiologic findings. Emerg. Infect. Dis. 8, 1019-1028. 

  12. Kudva, I.T., R.W. Griffin, J.M. Garren, S.B. Calderwood, and M. John. 2005. Identification of a protein subset of the anthrax spore immunome in humans immunized with the anthrax vaccine adsorbed preparation. Infect. Immun. 73, 5685-5696. 

  13. Little, S. and G. Knudson. 1986. Comparative efficacy of Bacillus anthracis live spore vaccine and protective antigen vaccine against anthrax in the guinea pig. Infect. Immun. 52, 509-512. 

  14. Mikesell, P., B. Ivins, J. Ristroph, and T. Dreier. 1983. Evidence for plasmid-mediated toxin production in Bacillus anthracis. Infect. Immun. 39, 371-376. 

  15. Moayeri, M. and S.H. Leppla. 2004. The roles of anthrax toxin in pathogenesis. Curr. Opin. Microbiol. 7, 19-24. 

  16. Mock, M. and A. Fouet. 2001. Anthrax. Annu. Rev. Microbiol. 55, 647-671. 

  17. Mourez, M. 2004. Anthrax toxins. Rev. Physiol. Biochem. Pharmacol. 152, 135-164. 

  18. Rasko, D., M. Altherr, C. Han, and J. Ravel. 2005. Genomics of the Bacillus cereus group of organisms. FEMS Microbiol. Rev. 29, 303-329. 

  19. Rollins, S., A. Peppercorn, J. Young, M. Drysdale, A. Baresch, M. Bikowski, D. Ashford, C. Quinn, M. Handfield, and J. Hillman. 2008. Application of in vivo induced antigen technology (IVIAT) to Bacillus anthracis. PloS one 3, 1824. 

  20. Stepanov, A.V., L.I. Marinin, A.P. Pomerantsev, and N.A. Staritsin. 1996. Development of novel vaccines against anthrax in man. J. Biotechnol. 44, 155-1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