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일 착용 콘택트렌즈의 연속 착용에 따른 세균 오염
Microorganism Contamination from Wearing One-Day Disposable Contact Lenses According to Wearing Time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6 no.2, 2010년, pp.152 - 156  

최강원 (영남대학교 생물학과) ,  장우영 (대구보건대학 안경광학과) ,  이종욱 (영남대학교 생물학과) ,  김수정 (대구보건대학 임상병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성 콘택트렌즈 종류의 하나인 일회용 렌즈는 사용상 편리함을 주는 반면 다양한 안과적 감염성 질환을 초래한다. 안 질환을 유발하는 미생물로는 Acanthamoeba, Bacteria, Fungi 등이 있다. 렌즈 착용시 손을 이용함으로 다양한 미생물 오염은 근절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다양한 미생물의 오염으로 인해 감염성 각막염을 유발하나 정확한 미생물 동정은 미비한 상태이다. 이런 이유로 렌즈를 세척하기 위해 흔히 사용하는 식염수와 ReNu Solution (Bausch and Lomb Company, USA)의 2그룹으로 나누고 식염수와 ReNu Solution을 사용하여 1, 3, 5 10 그리고 15일에 따라 미생물 오염의 정도를 살펴보고 분리되는 미생물을 동정하고자 하였다. 대구시 D대학 안경광학과 재학생들의 안과적 건강상태를 조사한 후 그룹별 10명씩 지정하였다. 일일 착용렌즈를 1일, 3일, 5일 10일, 그리고 15일에 따라 사용 후 배지에서 세균을 배양하였다. 배양된 집락을 선택하여 그람 염색한 결과, Gram-positive cocci 33%, Gram-negative cocci 2%, Gram-positive bacilli 34%, 그리고 Gram-negative bacilli 31%로 나타냈고 이러한 세균을 동정하기 위해 API kit와 VITEK system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콘택트렌즈의 착용에 의해 유발되는 각막염의 원인세균으로 알려진 S. aureus, P. aeruginosa 등이 분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성렌즈의 하나인 일일 착용렌즈의 착용시 세척액에 따른 일반세균의 분포와 일회용 렌즈의 연속 착용에 따른 병원성 세균을 조사함으로 콘택트렌즈의 사용시 위생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sposable contact lenses, which are one type of soft contact lenses, provide convenience in use, but also cause various ocular infectious diseases. Microorganisms that cause eye diseases include Acanthamoeba, bacteria, Fungi, and so on. It is impossible to prevent microorganism contamination comp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eruginosa 등이 분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성렌즈의 하나인 일일 착용렌즈의 착용시 세척액에 따른 일반세균의 분포와 일회용 렌즈의 연속 착용에 따른 병원성 세균을 조사함으로 콘택트렌즈의 사용시 위생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그러나 소비층은 경제적인 이유로 일일 착용렌즈를 연속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일일 착용렌즈의 연속적인 사용기간과 연속사용에 따른 세척액 종류에 대해서는 전혀 조사된 바가 없다. 이런 이유로 본 연구진은 일회용 렌즈 중에서 일일 착용렌즈의 착용시간을 달리하고, 렌즈 세척액으로 식염수와 보존액을 구분하여 미생물 오염 정도 및 오염균을 조사하고자 한다.
  • 렌즈 세척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세척액으로 식염수와 세척과 살균을 함께 할 수 있는 ReNu Solution을 이용하여 세척액으로 사용하였다. 이에 본 연구진은 콘택트렌즈의 세척에 이용될 수 있는 식염수와 ReNu Solution을 그룹을 달리 하여 미생물의 오염 정도를 조사하였고 일회용 렌즈 중 일일 착용렌즈를 장기간 착용시 렌즈 내 미생물 오염이 얼마나 증가하는지도 함께 조사하였다. 콘택트렌즈 세척시 사용하는 식염수와 ReNu Solution을 1, 3, 5, 10 그리고 15일별로 조사한 결과 식염수를 사용한 그룹에서는 70-90% 정도의 미생물 오염을 보인 반면 보존액을 사용한 그룹에서는 40-50% 정도의 미생물 오염 정도를 나타냈다(Fig.
  • 일일 착용렌즈를 1일 착용 후 렌즈케이스에 렌즈를 보관한다. 익일 아침 렌즈 착용 후 케이스를 회수하고 회수한 렌즈케이스 내 미생물의 분포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런 방법으로 각각 3, 5, 10 그리고 15일 착용 후 익일 아침에는 렌즈케이스를 모두 회수하여 렌즈와 렌즈케이스에서 증식하는 세균을 배양하고자 렌즈케이스 내 식염수와 ReNu액을 E-tube에 담은 후 3,000 rpm, 10분간 원심 분리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콘택트렌즈는 어떻게 분류되는지 세부적으로 설명하시오. 콘택트렌즈 착용 목적은 시력 교정과 미용상의 이유로 젊은 층에서 안경을 대신하여 사용빈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4, 7, 11). 콘택트렌즈는 경성 콘택트렌즈와 연성 콘택트렌즈로 나뉘며 연성 콘택트렌즈의 종류는 연속 착용렌즈(extended soft contact lens), 겸용 착용렌즈(flexible soft contact lens), 일일 착용렌즈(daily soft contact lens), 그리고 일회용 렌즈(disposable soft contact lens)로 구분이 되고 일회용 렌즈(disposable soft contact lens)는 사용기간에 따라 한달 착용렌즈(one-month disposable contact lens), 2주 착용렌즈(two-weeks disposable contact lens), 그리고 일일 착용렌즈(one-day disposable contact lens)로 구분된다(12). 생활패턴의 변화로 인해 쉽게 사용하고 버릴 수 있는 일회용 렌즈의 사용인원이 다른 콘택트렌즈 사용자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연성 콘택트렌즈 착용으로 인한 각막 염의 주요 원인균은? 병원을 내원하는 많은 안질 환자를 대상으로 병원성 세균을 분리 동정한 결과 콘택트렌즈 착용자에서 많은 질병이 유발되었으며 그 중 Pseudomonas aeruginosa 확진에 의한 각막궤양환자 20례가 조사되었다(12). 연성 콘택트렌즈 착용으로 인한 각막 염의 주요 원인균은 Staphylococcus aureus, P. aeruginosa와 Enterobacter aerogenes 등이며 이런 감염성 각막염은 심각할 경우 시력상실로 이어지고 있다(7). 외안부 감염의 원인균으로 Moraxella lacunata가 보고되었으며(8) 과거 콘택트 렌즈 착용자 중에서 아메바성 각막염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이런 이유로 인해 콘택트 렌즈 착용과 아메바성 각막염과의 관련성에 대해 여러 연구진에 의해 조사되었다(4, 13).
감염성 안 질환을 일으키는 미생물의 주범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그러나 일회용 렌즈는 사용과 관리의 편리함으로 인해 젊은 세대에 많은 수요가 있으나 장기 사용으로 인한 안 질환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그 원인으로는 기존 렌즈에 비해 산소 투과율이 낮아 저산소증을 유발함으로 다양한 감염성 안 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 16). 안 질환을 유발하는 미생물의 주범으로는 Acanthamoeba 원충, Bacteria, Fungi 등을 의심할 수 있다. 병원을 내원하는 많은 안질 환자를 대상으로 병원성 세균을 분리 동정한 결과 콘택트렌즈 착용자에서 많은 질병이 유발되었으며 그 중 Pseudomonas aeruginosa 확진에 의한 각막궤양환자 20례가 조사되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Kang, J.Y., Hahn Y.H., and M.W. Chang. 1996. Development of keratitis by soft contact lenses contaminated with Candida albicans. J. Korean Ophthalmol. Soc. 37, 945-952. 

  2. Betty, A.F., F.S. Daniel, and S.W. Alice. 2007. Bailey and Scott's Diagnostic Microbiology. Mosby. 

  3. Brewitt, H. 1997. Contact lenses. Infections and hygiene. Ophthalmologe 94, 311-316. 

  4. Choi, Y.K., T.W. Hahn, H.W. Tchah, and Y.H. Hahn. 1998. Microbial contamination of contact lens storage cases in contact lens-induced keratitis patients. J. Korean Ophthalmol. Soc. 39, 2917-2923. 

  5. Dejaco-Ruhswurm, I., U. Scholz, G. Hanselmayer, and C. Skorpik. 2001. Contact lens induced keratitis associated with contact lens wear. Acta Ophthalmol. Scand. 79, 479-483. 

  6. Erie, J.C., M.P. Nevitt, D.O. Hodge, and D.J. Ballard. 1993. Incidence of ulcerative keratitis in a defined population from 1950 through 1988. Arch Ophthalmol. 111, 1665-1671. 

  7. Han, S.H., S.M. Park., and T.S. Yu. 2005. Microbe pollution condition on soft contact lenses. J. Korean Oph. Opt. Soc. 10, 313-321. 

  8. Jang, S.S. and J.O. Kang. 1998. A case of septicemia caused by Moraxella lacunata. Korean J. Infect. Dis. 30, 586-590. 

  9. Kim, S.J. 2009. Identification and distribution of the pathogenic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Edible Ice in North area of Daegu, Korea. Kor. J. Microbiol. 45, 86-90. 

  10. Kown, J.L. and J.S. Park. 2002. Comparison of automated systems for identification of Vibrio species. Kor. J. Microbiol. 38, 62-66. 

  11. Lee, G.J. 2003. Bacterial contamination of contact lens salines used by contact lens wearers. Kor. J. Vision Sci. 5, 53-65. 

  12. Lee, J.M., T.Y. Kim, and T.Y. Choi. 1998. Clinical analysis of 20 cases with Pseudomonas corneal ulcers in contact lens wearers. Korean J. Infect. Dis. 30, 185-189. 

  13. Park, Y.M., T.W. Hahn, S.H. Choi, J.S. Lee, and J.E. Lee. 2007. Acanthamoeba keratitis related to cosmetic contact lenses. J. Korean Ophthalmol. Soc. 48, 991-994. 

  14. Radford, C.F., D.C. Minassian, and J.K. Dart. 1998. Disposable contact lens use as a risk factor for microbial keratitis. Br. J. Ophthalmol. 82, 1272-1275. 

  15. Sung, K.R., J.Y. Kim, J.C. Kim, T.W. Han, Y.H. Hahn, and H.W. Tchah. 1999. Change of conjunctival flora after disposable contact lens wear. Korean J. Ophthalmol. 40, 3286-3291. 

  16. Tchah, H.W., J.C. Kim, T.W. Hahn, and Y.H. Hahn. 1998. Epidemiology of contact lens related infectious keratitis (1995.4 -1997.9) : Multi-center study. J. Korean Ophthalmol. Soc. 39, 1417-1426. 

  17. http://www.optic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601. 2008. The Korean Optical New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