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물체 플라보노이드 성분 분석을 위한 적정 가수분해 조건
Determination of Optimum Hydrolysis Conditions for Flavonoid Analysis in Plant Leave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7 no.2, 2010년, pp.261 - 266  

박진순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과) ,  황인욱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과) ,  정호철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과) ,  김숙경 (경북대학교 식품생물산업연구소) ,  정신교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물체의 플라보노이드 성분 함량 분석에 필요한 적정 가수분해 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은행잎을 이용하여 중심합성법으로 설계한 산 가수분해 시간과 HCl 농도에 따라 myricetin, quercetin, kaempferol 함량을 HPLC로 분석하고, SAS의 반응표면분석법으로 산 가수분해 조건의 최적화를 시도하였다. HCl 0.5~2.5 M, 0.5~2.5시간 범위 내에서 10개의 구간을 잡아서 최적화한 결과 1.5~1.9 M의 HCl 농도와 1.4~2.0시간의 가수분해 조건에서 myricetin, quercetin, kaempferol 성분이 가장 높았다. Superimposing하여 구한 식물체의 플라보노이드의 적정 가수분해 조건은 HCl 1.5 M, 1.5시간이었으며, 이 조건에서 구한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예측치와 측정치는 95% 이상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한 적정 가수분해 조건을 이용하여 녹차잎, 무화과잎, 상동나무잎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하여 보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idic hydrolysis conditions prior to HPLC analysis of plant flavonoids was investigated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using leaves of Ginkgo biloba L. Ten hydrolysis conditions using 0.5-2.5 M HCl and 0.5-2.5 hr hydrolysis time were chosen to form a central composite rotatable design (CCR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풍부한 은행잎을 이용하여 식물체 중에 존재하는 myricetin, quercetin, kaempferol 배당체와 같은 주된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함량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HPLC 방법으로 분석하는데 필요한 적정 가수분해 조건을 반응표면분석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으로 조사하였으며, 나아가 수종의 식물에 대하여 구한 적정 가수분해 조건을 적용하여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하고 그 타당성을 검토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Haveteen, B. (1983) Flavonoids, a class of natural products of high pharmacological potency. Blochem. Pharmacol., 32, 1141-1148 

  2. Middleton, E.J. and Kandaswami, C. (1993) The impact of plant flavonoids on mammalian biology: Implications for immunity, inflammation and cancer The flavonoids. Chapman & Hall, London., 636-638 

  3. Hasler A., Sticher, O. and Meier, B. (1992) Identification and determination of the flavonoids from Ginkgo biloba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 Chromatogr., 605, 41-48 

  4. Hasler A., Sticher, O. and Meier, B. (1990)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five widespread flavonoid aglycones. J. Chromatogr., 508, 236-240 

  5. Hertog, M.G.L., Hollman, P.C.H. and Venema, D.P. (1992) Optimization of a quantitative HPLC determination of potentially anticarcinogenic flavonoids in vegetables and fruit. J. Agric. Food. Chem., 40, 1591-1598 

  6. Hertog, M.G.L., Hollman, P.C.H. and Van de Putte, B. (1993) Content of potentially anticarcinogenic flavonoids of tea infusions, wines, and fruit juices. J. Agric. Food Chem., 41, 1242-1246 

  7. Kim H.Y. and Kang M.H. (2003) Flavonoid content of some Korean medicinal plants. Food Sci. Biotechnol., 12, 687-690 

  8. Lee, T.B. (1980) Encyclopedia of Flora of Korea. Hyang Mun Publishing Co. Seoul, Korea 

  9. Tang, C., Wei, X. and Chunhua, Y. (2003) Analysis of ginkgolides and bilobalide in Ginkgo biloba L. extract injection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evaporative light scattering detection, J. Pharmaceut. Biomed., 33, 811-817 

  10. Jaracz, S., Malik, S. and Nakanishi, K. (2004) Isolation of ginkgolides A, B, C, J and bilobalide from G. biloba extracts. Phytochemistry, 65, 2897-2902 

  11. Goh, L.M.L. and Barlow, P.J. (2004) Flavonoid recovery and stability from Ginkgo biloba subjected to a simulated digestion process. Food Chem., 86, 195-202 

  12. Harborne, J. and Williams, C.A. (1975) The Flavonoids, part 1. Academic Press. New York, p.376-441 

  13. Sergio, L.C.F., Roy, E.B., Erik, G.P.S., WaIter, N.L.S., Cristina, M.Q., Jorge, M.D., Jailson, B.A., Marcia, C.B., lsabel, C.S.F.J., Benicio, B.N., (2007) Statistical designs and response surface techniques for the optimization of chromatographic systems. J. Chromatogr. A., 1158, 2-14 

  14. Wang, H. and Helliwell, K, (2001) Determination of flavonols in green and black tea and green tea infusion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Food Res. Int., 34, 223-22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